1 (hop)
명사 名詞
ホップ
맥주의 원료가 되는 맛이 쓴 열매가 열리는 풀.
ビールの原料となる味の苦い実のなる草。
  • 이 들어가다.
  • 을 넣다.
  • 을 사용하다.
  • 을 재배하다.
  • 을 추가하다.
  • 이 맥주는 쓴 맛을 더하기 위해 을 많이 넣었다.
  • 술이 금방 부패하지 않도록 이 원료로 사용되었다.
  • 가: 사장님, 이 가게의 맥주는 맛이 더 상쾌한 것 같아요.
  • 나: 아마도 직접 재배한 을 사용해서 그런 것 같아요.
2
발음 : [홉 ]
활용 : 홉이[호비], 홉도[홉또], 홉만[홈만]
의존 명사 依存名詞
  1. 1. ごう【合】
    곡식, 가루, 액체 등의 부피를 재는 단위.
    穀物や粉、液体などの体積を量る単位。
    • .
    • .
    • 밀가루 두 .
    • 참기름 서 .
    • 을 재다.
    • 주량이 센 그는 맥주 열 홉도 거뜬히 마셨다.
    • 그는 자신이 직접 만든 참기름 일 을 병에 담아 사람들에게 선물했다.
    • 가: 소주 한 병 사 오너라.
    • 나: 두 들이로 사 오면 되나요?
    • ※ 한 홉은 한 되의 10분의 1로 약 180밀리리터에 해당한다.
    • 참고어 되², 말⁵, 섬³
  2. 2. ごう【合】
    땅 넓이의 단위.
    土地面積の単位。
    • 삼십 .
    • 오십 .
    • 아홉 홉의 공간.
    • 을 재다.
    • 을 측정하다.
    • 그는 앞 마당에 열 정도의 텃밭을 가꾸었다.
    • 그는 이백 정도의 땅에 혼자 살 집을 지었다.
    • 가: 공간이 어느 정도 되나요?
    • 나: 열 정도니 한 평 정도죠.
    • ※ 1홉은 1평의 10분의 1이다.
(紅)
발음 : [홍 ]
명사 名詞
くれない【紅】
잘 익은 고추나 피의 빛깔과 같이 짙은 빨간색.
よく熟した唐辛子や血の色のように濃い赤色。
  • 을 띠다.
  • 을 더하다.
  • 으로 꾸미다.
  • 으로 바꾸다
  • 으로 칠하다
  • 그 색에 을 더해 보면 좋을 것 같아.
  • 이나 황이나 멀리서 보면 비슷한 색깔로 보여.
  • 입술에 에 가까운 립스틱을 발르면 화사해 보일 거야.
  • 가: 흑보다는 으로 칠하는 것이 더 좋지 않아?
  • 나: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그 색이 없어서요.
  • 가: 어떤 색감을 찾으세요?
  • 나: 잘 익은 앵두 같은 은 없나요?
홍길동 (洪吉童)
발음 : [홍길똥 ]
명사 名詞
ホン・ギルトン【洪吉童】
허균의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귀신같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재주를 가진, 의적의 우두머리이다.
許筠(ホ・ギュン)の小説「洪吉童(ホン・ギルトン)伝」の主人公。鬼のように神出鬼没な才能がある義賊の親分。
홍길동전 (洪吉童傳)
발음 : [홍길똥전 ]
명사 名詞
ホンギルトンでん【洪吉童伝】
조선 시대에 허균이 지은 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 서자 홍길동이 의적이 되어 활약하다 율도국이라는 이상 사회를 건설한다는 이야기로 신분의 차별과 부패한 정치를 비판하고 있다.
朝鮮王朝時代に許筠(ホ・ギュン)が書いた韓国最初のハングル小説。庶子の洪吉童(ホン・ギルトン)が義賊になって活躍し、栗島国(ユルドクク)という理想の社会を作る物語で、身分差別と腐敗した政治を批判している。
홍당무 (紅唐 무)
발음 : [홍당무 ]
명사 名詞
  1. 1. あかだいこん【赤大根】
    껍질은 붉으나 속은 흰 무.
    外皮は赤で、中が白い大根。
    • 홍당무를 넣다.
    • 홍당무를 먹다.
    • 홍당무를 썰다.
    • 홍당무를 사용하다.
    • 홍당무를 자르다.
    • 아이는 샐러드의 홍당무를 집어 먹었다.
    • 홍당무의 껍질을 벗기자 무와 구별이 가지 않았다.
    • 가: 샐러드에 들어 있는 이 붉은 껍질의 야채는 뭐죠?
    • 나: 홍당무입니다. 샐러드에 넣으면 맛있어요.
  2. 2. にんじん【人参】
    단맛이 나는 원뿔 모양의 붉은색 뿌리를 먹는 채소.
    野菜で、甘味のする円錐形の赤い根を食べるもの。
    • 홍당무를 넣다.
    • 홍당무를 먹다.
    • 홍당무를 썰다.
    • 홍당무를 익히다.
    • 홍당무를 자르다.
    • 엄마는 홍당무를 갈아 주스를 만들었다.
    • 유민이는 냄비에 홍당무와 양파, 감자, 닭을 넣고 볶았다.
    • 가: 김밥에 넣게 홍당무 한두 개만 사 오렴.
    • 나: 네, 엄마.
  3. 3. せきめん【赤面】
    (비유적으로) 수줍거나 창피하여 붉어진 얼굴.
    (比喩的に)はにかんだり、恥ずかしくて赤くなった顔。
    • 홍당무가 되다.
    • 홍당무라고 놀리다.
    • 홍당무로 변하다.
    • 홍당무처럼 빨갛다.
    • 공연 중에 실수한 배우는 얼굴이 홍당무가 되었다.
    • 선생님의 질문에 당황한 학생은 얼굴이 홍당무로 변했다.
    • 가: 너 얼굴이 왜 이래? 홍당무처럼 빨개.
    • 나: 술을 좀 마셨더니 얼굴이 빨개졌네.
홍두깨
발음 : [홍두깨 ]
명사 名詞
  1. 1. あやまき【綾巻き】
    구겨진 옷감을 두드려서 매끄럽게 만들 때 쓰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도구.
    しわのついた衣類を打って伸ばすときに用いる、固い木材の道具。
    • 홍두깨를 잡다.
    • 홍두깨로 두드리다.
    • 홍두깨로 밀다.
    • 홍두깨로 옷을 펴다.
    • 홍두깨로 치다.
    • 할머니는 홍두깨로 두드려 옷의 주름을 폈다.
    • 홍두깨로 옷감을 다듬이질하는 소리가 온 집안에 울려 퍼졌다.
    • 가: 다리미가 없었을 땐 어떻게 옷을 폈는지 몰라.
    • 나: 홍두깨로 두드려서 펴곤 했지.
  2. 2. ホンドゥケ
    소의 볼기에 붙은 살코기.
    牛の臀部についている肉。
    • 홍두깨를 굽다.
    • 홍두깨를 먹다.
    • 홍두깨를 팔다.
    • 홍두깨로 만들다.
    • 홍두깨로 요리하다.
    • 어머니는 홍두깨로 장조림을 만들어 주셨다.
    • 지방이 없는 홍두깨는 익히면 결을 이루며 찢어졌다.
    • 가: 어떤 부위의 쇠고기를 사 올까요?
    • 나: 장조림 만들게 홍두깨로 사 오렴.
홍등가 (紅燈街)
발음 : [홍등가 ]
명사 名詞
いろまち【色町】。ゆうかく【遊郭】。ゆうり【遊里】
붉은 등이 켜져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들이 있는 가게들이 늘어선 거리.
紅灯のともっている町という意味で、金をもらって体を売る女性のいる店が立ち並ぶ町。
  • 홍등가가 들어서다.
  • 홍등가를 출입하다.
  • 홍등가로 변하다.
  • 홍등가에 다니다.
  • 홍등가에서 일하다.
  • 경찰은 홍등가에서 일어나는 호객 행위를 단속했다.
  • 주민들은 홍등가가 마을에 들어서는 것을 반대했다.
  • 가: 공무원이 최근 물의를 일으켰다는 사건은 무엇입니까?
  • 나: 한 공무원이 홍등가에 출입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문제가 된 것입니다.
홍보 (弘報) ★★
발음 : [홍보 ]
명사 名詞
こうほう【広報】
널리 알림. 또는 그 소식.
広く知らせること。また、そのお知らせ。
  • 상품 홍보.
  • 신제품 홍보.
  • 대대적인 홍보.
  • 적극적인 홍보.
  • 홍보 담당자.
  • See More
  • 각 대학은 신입생 유치를 위해 홍보에 열을 올렸다.
  • 유명 운동 선수는 광고를 통해 운동화 홍보를 했다.
  • 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배우가 방한을 했다며?
  • 나: 응. 새로 개봉할 영화 홍보를 하려고 한국에 왔대.
홍보물 (弘報物)
발음 : [홍보물 ]
명사 名詞
こうほうし【広報誌】。こうほうぶつ【広報物】。ピーアールし【PR誌】
어떤 사실이나 제품 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든 것.
ある事実や製品などを広く知らせるために作ったもの。
  • 광고 홍보물.
  • 선거 홍보물.
  • 홍보물을 나누어 주다.
  • 홍보물을 배포하다.
  • 홍보물을 부착하다.
  • See More
  • 회사는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홍보물을 배포했다.
  • 새로 오픈한 가게를 알리기 위해 주인은 홍보물을 사람들에게 나눠 주었다.
  • 가: 이번 특강을 많은 학생들에게 알릴 방법 없을까?
  • 나: 각 건물마다 홍보물을 붙여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