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득하다 ★★
발음 : [가드카다 ]
활용 : 가득한[가드칸], 가득하여[가드카여](가득해[가드캐]), 가득하니[가드카니], 가득합니다[가드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 1. いっぱいだ【一杯だ】양이나 수가 정해진 범위에 꽉 차 있다.数や量が決められた範囲に溢れんばかりに満ちている。
- 가득하게 고이다.
- 가득하게 채워지다.
- 군침이 입 안에 가득하다.
- 눈에 눈물이 가득하다.
- 술잔에 술이 가득하다. See More
- 우리 집 마당에는 간장과 고추장으로 가득한 항아리가 여러 개 있다.
- 주전자에는 물이 가득해서 한 손으로 들기에 너무 무거웠다.
- 밥솥에는 열 명이 먹고도 남을 만큼 밥이 가득했다.
- 가: 제가 술 한 잔 따라 드릴게요.
- 나: 그래. 가득하게 채워 봐라.
- 문형 : 1이 2에 가득하다 , 1로 2가 가득하다
- 큰말 그득하다
- 2. いっぱいだ【一杯だ】빈 곳이 없을 정도로 무엇이 많다.空いている部分がないほど物事が多い。
- 볼거리가 가득하다.
- 사람들이 가득하다.
- 재미있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 행운이 가득하다.
- 교실이 학생으로 가득하다. See More
- 여러 가지 음식으로 가득한 식탁은 보기만 해도 배가 불렀다.
- 요즘 뉴스를 듣고 있으면 세상에 나쁜 사람만 가득한 것 같다.
- 운동장에는 축구, 달리기, 배드민턴 등을 즐기는 시민으로 가득했다.
- 가: 항상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바랄게.
- 나: 고마워.
- 문형 : 1이 2에 가득하다 , 1로 2가 가득하다
- 큰말 그득하다
- 3. いっぱいだ【一杯だ】냄새나 빛, 소리 등이 공간에 널리 퍼져 있다.においや光、音などが空間に満ちている。
- 담배 연기가 가득하다.
- 봄기운이 가득하다.
- 봄 내음이 가득하다.
- 열기가 가득하다.
- 커피 향기가 가득하다. See More
- 방안에는 햇살이 가득해 따뜻하고 포근했다.
- 크리스마스를 앞둔 거리는 흥겨운 캐럴 소리로 가득했다.
- 식당 안은 매운 연기와 고기 냄새로 가득했다.
- 문형 : 1이 2에 가득하다 , 1로 2가 가득하다
- 큰말 그득하다
- 4. いっぱいだ【一杯だ】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강하다.ある感情や思いなどが強い。
- 반가움이 가득한 목소리.
- 수심이 가득한 얼굴.
- 애정이 가득한 눈길.
- 걱정이 가득하다.
- 꿈과 사랑이 가득하다. See More
- 할머니는 노여움이 가득한 표정으로 우리를 노려보았다.
- 우는 아이를 외면하고 출근하는 엄마의 마음은 미안함으로 가득했다.
- 나는 여자 친구를 만날 생각으로 머릿속이 가득해서 수업에 집중할 수 없었다.
- 문형 : 1이 2에 가득하다, 1로 2가 가득하다
- 큰말 그득하다
가득히 ★★
발음 : [가드키 ]
부사 副詞
- 1. いっぱい【一杯】。いっぱいに【一杯に】。ぎっしり。ぎっしりと。なみなみ。なみなみと양이나 수가 정해진 범위에 꽉 찬 모양.何かの数量が決められた範囲に詰まっている様子。
- 가득히 넣다.
- 가득히 담다.
- 가득히 따르다.
- 가득히 붓다.
- 가득히 차다. See More
- 컵에 물을 가득히 따르다가 물이 넘칠 뻔했다.
- 어머니께서는 솥에 물을 가득히 붓고 국을 끓이셨다.
- 가: 떠나기 전에 차에 기름부터 넣어 둬야 하지 않을까?
- 나: 응. 벌써 가득히 채워 놓았지.
- 2. いっぱい【一杯】。いっぱいに【一杯に】。ぎっしり。ぎっしりと。ぎっちり。ぎっちりと빈 곳이 없을 정도로 무엇이 많은 모양.何かが隙間なく詰まっている様子。
- 가득히 넣다.
- 가득히 담다.
- 가득히 메우다.
- 가득히 싣다.
- 가득히 차다.
- 아저씨께서는 붕어빵을 봉지 가득히 담아 주셨다.
- 밤새 내린 하얀 눈이 마당 가득히 쌓여 밖으로 걸어 나갈 수가 없다.
- 가: 왜 버스에 타지 않고 가만히 서 있나요?
- 나: 이미 차 안이 사람들로 가득히 차서 들어갈 공간이 없어요.
- 3. いっぱい【一杯】。いっぱいに【一杯に】냄새나 빛, 소리 등이 공간에 널리 퍼져 있는 상태.においや光、音などが空間に一杯に満ちている状態。
- 가득히 메우다.
- 가득히 서리다.
- 가득히 울리다.
- 가득히 퍼지다.
- 방문을 여니 연기가 방 안을 가득히 메우고 있어 숨이 막혔다.
- 식품 코너에서 할인 판매를 한다는 안내 방송이 매장 안을 가득히 울렸다.
- 가: 맛있는 냄새가 온 집안 가득히 퍼지고 있어요.
- 나: 저녁 반찬으로 불고기를 만들었단다.
- 4. いっぱい【一杯】。いっぱいに【一杯に】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강한 모양.ある感情や考えが強い様子。
- 가득히 담다.
- 가득히 서리다.
- 가득히 실리다.
- 가득히 차다.
- 그녀는 한이 가득히 서린 목소리로 지난 일을 회상했다.
- 어머니의 편지에는 아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가득히 실려 있었다.
- 가: 이건 나의 사랑을 가득히 담아 만든 도시락이야.
- 나: 네가 직접 준비한 음식이라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아.
가뜩
발음 : [가뜩 ]
부사 副詞
そうでなくても。それでなくても。ただでさえ
그러지 않아도 매우.
そうでなくても。それでなくても。
- 가뜩 어려운 형편.
- 가뜩 기분도 안 좋은데.
- 가뜩 몸도 피곤한데.
- 가뜩 심란한데.
- 가뜩 일도 잘 안 되는데.
- 가뜩 시간도 없는데 제출해야 할 과제가 하나 더 생겼다.
- 그는 가뜩 장사도 안 되는데 손님이 시비를 걸어 기분이 안 좋았다.
- 가: 무슨 기분 안 좋은 일 있니?
- 나: 가뜩 힘들어 죽겠는데 사장님이 야근을 하라고 하셔서.
- 유의어 가뜩이나
가뜩이나 ★
발음 : [가뜨기나 ]
부사 副詞
そうでなくても。それでなくても。ただでさえ
그러지 않아도 매우.
そうでなくても。それでなくても。
-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
- 가뜩이나 골치가 아픈데.
- 가뜩이나 속상한데.
- 가뜩이나 화가 나 있는데.
- 가뜩이나 힘든데.
- 가뜩이나 집도 좁은데 살림이 늘어나 집이 더 좁아졌다.
- 가뜩이나 어려운 집안 형편에 아버지마저 실직을 하셔서 살기가 더 힘들어졌다.
- 가: 나 오늘부터 다이어트를 시작할 거야.
- 나: 가뜩이나 말라서 보기 싫은데 여기서 살을 더 뺀다고?
- 유의어 가뜩
가뜬하다
발음 : [가뜬하다 ]
활용 : 가뜬한[가뜬한], 가뜬하여[가뜬하여](가뜬해[가뜬해]), 가뜬하니[가뜬하니], 가뜬합니다[가뜬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 1. みがるだ【身軽だ】。きがるだ【気軽だ】다루기가 가볍고 간편하다.扱いやすく簡便である。
- 가뜬한 복장.
- 가뜬하게 들다.
- 가뜬하게 짐을 꾸리다.
- 옷차림이 가뜬하다.
- 짐이 가뜬하다.
- 우리는 가뜬한 복장으로 뒷산에 올라 만개한 봄꽃을 구경했다.
- 아버지는 무거운 짐을 가뜬하게 들어 선반에 올리셨다.
- 가: 승규야, 이것 좀 들어 줄 수 있니?
- 나: 이 정도쯤이야 나 혼자서도 가뜬하게 할 수 있지.
- 문형 : 1이 가뜬하다
- 2. すっきりしている。かるがるとしている【軽々としている】몸이나 마음이 가볍고 상쾌하다.心身状態が軽くて気分が爽快である。
- 가뜬한 마음.
- 가뜬하게 떠나다.
- 마음이 가뜬하다.
- 몸이 가뜬하다.
- 심신이 가뜬하다. See More
- 목욕을 하고 났더니 한결 몸이 가뜬한 게 기분이 좋아졌다.
- 나는 밀린 일을 처리하고 가뜬한 마음으로 휴가를 떠났다.
- 가: 너 오늘 기분이 굉장히 좋아 보인다?
- 나: 과제를 다 끝냈더니 마음이 가뜬한 게 날아갈 것 같아.
- 문형 : 1이 가뜬하다
가뜬히
발음 : [가뜬히 ]
부사 副詞
- 1. てがるく【手軽く】다루기가 가볍고 간편하게.扱いやすく、簡単に。
- 가뜬히 다루다.
- 가뜬히 들다.
- 가뜬히 업다.
- 가뜬히 옮기다.
- 가뜬히 움직이다.
- 우리는 가뜬히 도시락을 싸서 공원으로 나들이를 갔다.
- 나는 가방을 가뜬히 메고 가벼운 걸음으로 산을 올랐다.
- 가: 너 그렇게 불편한 옷을 입고 운동할 수 있겠니?
- 나: 그러게요. 집에 가서 좀 가뜬히 입고 다시 와야겠어요.
- 2. かろやかに【軽やかに】몸이나 마음이 가볍고 상쾌하게.身も心も軽く爽やかに。
- 가뜬히 성공하다.
- 가뜬히 우승하다.
- 가뜬히 이기다.
- 가뜬히 제치다.
- 가뜬히 해내다.
- 우리 팀은 시합에서 가뜬히 상대를 꺾고 결승에 올라갔다.
- 이제 초등학생이 된 동생은 애국가를 사 절까지 가뜬히 외운다.
- 가: 너 이 수학 문제 풀 수 있겠어?
- 나: 물론이지. 이 정도는 가뜬히 풀 수 있어.
가라앉다 ★★
발음 : [가라안따 ]
활용 : 가라앉는[가라안는], 가라앉아[가라안자], 가라앉으니[가라안즈니], 가라앉습니다[가라안씀니다], 가라앉고[가라안꼬], 가라앉지[가라안찌]
동사 動詞
- 1. しずむ【沈む】。ちんでんする【沈殿する】。ちんぼつする【沈没する】물 등에 떠 있거나 섞여 있는 것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다.液体の上に浮いていたり、混ざっていたものが底におりる。
- 먼지가 가라앉다.
- 연기가 가라앉다.
- 물속에 가라앉다.
- 바닥에 가라앉다.
- 밑으로 가라앉다.
- 시간이 지나자 물속에 앙금들이 바닥에 서서히 가라앉았다.
- 물에 빠진 그는 자신의 몸이 점점 바다 밑으로 가라앉는 것을 느꼈다.
- 가: 집안에 불이 나서 연기 때문에 숨을 쉴 수가 없어요!
- 나: 연기가 아래로 더 가라앉기 전에 여기에서 나가야 해!
- 문형 : 1이 2에 가라앉다, 1이 2로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 2. おさまる【収まる】。しずまる【鎮まる】。しずまりかえる【静まり返る】。おちつく【落ち着く】궂은 날씨가 풀리거나 강하게 나타나던 자연 현상이 약해지다.悪天候が和らいだり強く現れていた自然現象が弱まる。
- 물결이 가라앉다.
- 바람이 가라앉다.
- 태풍이 가라앉다.
- 파도가 가라앉다.
- 폭풍우가 가라앉다.
- 창문을 두드리던 매서운 바람이 서서히 가라앉고 주위가 고요해졌다.
- 거센 폭풍우가 가라앉기 전에는 누구도 외출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 가: 언제쯤 배가 뜰 수 있을까요?
- 나: 일단 파도가 좀 가라앉아야 해요.
- 문형 : 1이 2에 가라앉다, 1이 2로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 3. しずむ【沈む】。おちつく【落ち着く】。やわらぐ【和らぐ】。きえる【消える】강한 감정이나 기분이 점점 사라지다.強い感情や気分などが次第に消えていく。
- 마음이 가라앉다.
- 분노가 가라앉다.
- 슬픔이 가라앉다.
- 화가 가라앉다.
- 흥분이 가라앉다.
- 열정적인 공연이 끝난 후에도 객석의 흥분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 우리가 잘못했다고 용서를 빌자 아버지의 화가 조금씩 가라앉기 시작했다.
- 가: 여기 앉아서 놀란 마음이 가라앉을 때까지 좀 쉬고 있으렴.
- 나: 괜찮아요. 고맙습니다.
- 문형 : 1이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 4. なおる【治る】。おさまる【治まる】。ひく【引く】。やわらぐ【和らぐ】병으로 인한 증상이 나아지다.病気による症状が好転する。
- 통증이 가라앉다.
- 기침이 가라앉다.
- 병세가 가라앉다.
- 부기가 가라앉다.
- 아픔이 가라앉다. See More
- 독감에 걸린 딸아이에게 약을 먹였더니 곧 열이 내리고 기침도 가라앉았다.
- 어제 얼굴에 축구공을 맞아서 뺨이 퉁퉁 부었었는데 오늘은 좀 가라앉아서 다행이다.
- 가: 넘어져서 다친 데는 좀 어때요?
- 나: 이제 통증이 가라앉아서 괜찮아요.
- 문형 : 1이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 5. しずむ【沈む】。しずまる【鎮まる・静まる】。おさまる【収まる】떠들썩하게 일어나던 것이 조용해지다.騒ぎなどが静まる。
- 논란이 가라앉다.
- 논쟁이 가라앉다.
- 분위기가 가라앉다.
- 소동이 가라앉다.
- 소란이 가라앉다. See More
- 두 사람이 곧 결혼할 것이라는 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 낮에 거리에서 사람들이 벌였던 소동은 저녁이 되어서야 가라앉았다.
- 가: 왜 이렇게 교실 분위기가 가라앉아 있니?
- 나: 아까 수학 선생님께 혼이 났거든요.
- 문형 : 1이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 6. しずまる【静まる】목소리나 표정 등이 활기를 잃은 상태로 되다.声や表情などが活気を失う。
- 차분하게 가라앉은 목소리.
- 목소리가 가라앉다.
- 낮게 가라앉다.
- 착 가라앉다.
- 내 말에 기분이 나빠진 승규는 가라앉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 울음을 그치며 괜찮다고 말하는 유민이의 목소리는 차분히 가라앉아 있었다.
- 가: 너는 그 사람 어디가 가장 좋니?
- 나: 낮게 가라앉은 목소리가 그의 가장 큰 매력이야.
- 문형 : 1이 가라앉다
- 준말 갈앉다
가라앉히다 ★
발음 : [가라안치다 ]
활용 : 가라앉히는[가라안치는], 가라앉히어[가라안치어/ 가라안치여](가라앉혀[가라안처]), 가라앉히니[가라안치니], 가라앉힙니다[가라안침니다], 가라앉히고[가라안치고], 가라앉히지[가라안치지]
동사 動詞
- 1. しずめる【沈める】。しずませる【沈ませる】。ちんでんさせる【沈殿させる】。ちんぼつさせる【沈没させる】물 등에 떠 있거나 섞여 있는 것을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하다.水などに浮いていたり、混ざっている物を水底に下降させる。
- 부유물을 가라앉히다.
- 불순물을 가라앉히다.
- 앙금을 가라앉히다.
- 찌꺼기를 가라앉히다.
- 물에 가라앉히다. See More
- 물에 뜨는 튜브를 물밑으로 가라앉히기는 무척 힘들다.
- 우리 해군은 전쟁에서 적함을 바다 속으로 가라앉혔다.
- 가: 물에 찌꺼기가 섞여 있네.
- 나: 찌꺼기를 가라앉히려면 컵에 물을 받아 놓고 조금만 기다리면 돼.
- 문형 : 1이 2를 가라앉히다
- 2. しずめる【静める】。おちつける【落ち着ける】。おさめる【収める・治める】。やわらげる【和らげる】강한 감정이나 기분을 약해지거나 사라지게 하다.強い感情や気分を弱くしたりなくしたりする。
- 긴장을 가라앉히다.
- 두려움을 가라앉히다.
- 마음을 가라앉히다.
- 분노를 가라앉히다.
- 화를 가라앉히다. See More
- 나는 여행에 대한 기대로 들뜬 마음을 가라앉힐 수 없었다.
- 민준이는 분노를 가라앉히지 못해서 몸을 부들부들 떨었다.
- 가: 큰일 났네! 지갑을 어디에 두었는지 모르겠어.
- 나: 흥분을 조금 가라앉히고 천천히 생각을 해 봐.
- 문형 : 1이 2를 가라앉히다
- 3. しずめる【静める】소리를 줄이거나 떠들썩하던 분위기를 조용해지게 하다.音を小さくさせたり、うるさい雰囲気を静かにさせたりする。
- 목소리를 가라앉히다.
- 분위기를 가라앉히다.
- 함성을 가라앉히다.
- 승규는 목소리를 가라앉히고 차분하게 말을 이어 나갔다.
- 민준이는 조용한 노래를 부르며 떠들썩했던 분위기를 가라앉혔다.
- 문형 : 1이 2를 가라앉히다
- 4. しずめる【鎮める】。やわらげる【和らげる】병으로 인한 증상을 나아지게 하다.病気による症状を改善させる。
- 두통을 가라앉히다.
- 부기를 가라앉히다.
- 상처를 가라앉히다.
- 염증을 가라앉히다.
- 아픔을 가라앉히다. See More
- 이 약은 통증을 가라앉힐 것이다.
- 부상을 당한 곳에 얼음을 대는 것은 부기를 가라앉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문형 : 1이 2를 가라앉히다
가라오케 (karaoke)
명사 名詞
- 1. カラオケ노래 없이 반주만 녹음된 기계.歌の伴奏だけが録音されている機械。
- 가라오케 반주.
- 가라오케 음악.
- 가라오케가 설치되다.
- 가라오케에 맞추다.
- 가라오케에서 음악이 나오다.
- 나는 가라오케 음악에 맞춰서 노래를 불렀다.
- 가라오케 반주는 직접 연주하는 악기 반주에 비하면 아무래도 어설픈 데가 있다.
- 가: 우리 집 애들은 노래 부르는 걸 정말 좋아해요.
- 나: 집에 가라오케라도 하나 들여놔야겠네요.
- 참고어 노래방
- 2. カラオケボックス。カラオケ노래 없이 반주만 녹음된 기계가 있는 술집.歌の伴奏だけが録音してある機械がある酒場。
- 가라오케를 즐기다.
- 가라오케에 가다.
- 가라오케에서 놀다.
- 가라오케에서 노래를 부르다.
- 가라오케에서 술을 마시다.
- 우리는 저녁을 먹은 후 술을 마시러 가라오케에 갔다.
- 직원들은 가라오케에 모여서 노래도 부르고 술도 마시며 놀았다.
- 가: 오늘은 어느 술집으로 갈까?
- 나: 기왕이면 노래도 부를 수 있는 가라오케가 어때?
- 참고어 노래방
가락1
발음 : [가락 ]
활용 : 가락이[가라기], 가락도[가락또], 가락만[가랑만]
명사 名詞
- 1. くだ【管】。ぼうすい【紡錘】물레로 실을 만들 때 실이 감기는 쇠로 된 꼬챙이. 또는 그 꼬챙이에 감긴 실의 뭉치.糸車で糸をつむぐとき、糸が巻きつく金軸。また、その金軸に巻きつけられた糸の塊。
- 물레의 가락.
- 가락이 굵다.
- 가락을 돌리다.
- 가락이 휘어져 있으면 물레의 회전이 고르지 못하다.
- 가락은 끝이 뾰족하기 때문에 찔리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 실이 뭉친 가락이 크면 나중에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야 한다.
- 2.가늘고 길게 늘인 물건의 낱개.細くて長く伸ばしたものの一つ。
- 국수 가락.
- 가락이 가늘다.
- 가락이 굵다.
- 가락이 길다.
- 가락이 짧다. See More
- 가락이 굵은 엿은 먹기가 힘들다.
- 이 음식점의 국수 가락은 쫄깃쫄깃하다.
- 가: 이 집 주방장은 면의 가락을 가늘게 뽑는 걸로 유명하대.
- 나: 가락이 가늘 뿐만 아니라 길기도 하다던데?
- 3. ほん【本】가늘고 길게 늘인 물건의 낱개를 세는 단위.細くて長く伸ばしたものをかぞえる単位。
- 국수 한 가락.
- 엿 세 가락.
- 국수 몇 가락을 집어 먹었더니 벌써 배가 부르다.
- 갑자기 단 것이 먹고 싶어서 엿 몇 가락을 사 왔다.
-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가락2
발음 : [가락 ]
활용 : 가락이[가라기], 가락도[가락또], 가락만[가랑만]
명사 名詞
- 1. おんちょう【音調】。ちょうし【調子】。ひびき【響き】목소리의 높낮이나 길이로 느껴지는 말의 기운.声の高低や長さで感じ取れる言葉の気運。
- 망설이는 가락.
- 처량한 가락.
- 가락을 높이다.
- 가락을 낮추다.
- 가락을 띠다.
- 선생님은 흥분하셨는지 갑자기 말의 가락을 높여 말씀하시기 시작했다.
- 사람들 앞에 나선 민준이의 목소리에는 긴장한 가락이 역력히 느껴졌다.
- 2. きょく【曲】한국에서 전통적인 노래의 수를 세는 단위.韓国で伝統的な歌の数を数える単位。
- 노래 한 가락.
- 민요 한 가락.
- 육자배기 한 가락.
- 판소리 한 가락.
- 소리 한 가락을 뽑다.
- 노인은 민요 한 가락을 구성지게 뽑았다.
- 술에 취해 흥이 난 아버지는 노래 한 가락을 뽑으셨다.
- 가: 가만히 있기 지루한데 뭐 재밌는 일 없을까?
- 나: 그러면 일단 너부터 노래 한 가락 뽑아 봐.
-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 유의어 곡조
- 3. おんちょう【音調】。きょくちょう【曲調】음악에서 음의 높낮이의 흐름.音楽で音の高低の流れ。
- 민요 가락.
- 유행가 가락.
- 육자배기 가락.
- 전통 가락.
- 판소리 가락. See More
- 우리는 흥겨운 민요 가락에 맞춰 어깨춤을 추었다.
- 들판에서는 농부들이 부르는 구성진 노래 가락이 들려왔다.
- 가수가 부르는 노래의 구슬픈 가락에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다.
- 유의어 선율
가락국수
발음 : [가락꾹쑤 ]
명사 名詞
うどん
면발이 굵은 국수.
韓国式うどん。
- 가락국수 한 그릇.
- 가락국수가 맛있다.
- 가락국수를 만들다.
- 가락국수를 먹다.
- 가락국수를 뽑다.
- 비가 오면 왠지 따끈한 가락국수를 먹고 싶은 마음이 든다.
- 우리는 고향에 가는 길에 잠시 휴게소에 들러 가락국수 한 그릇을 먹었다.
- 가: 이 진한 국물에 쫄깃한 면발, 정말 맛있다!
- 나: 이 집 가락국수가 정말 맛있다고 내가 그랬잖아.
'한국어기초사전 > 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량, 가량, 가려-, 가려내다, 가려우-, 가려움증, 가려워-, 가려져-, 가려지-, 가려지다¹, 가려지다², 가련하다 (0) | 2020.02.06 |
---|---|
가락엿, 가락지, 가랑비, 가랑이, 가랑잎, 가래¹, 가래², 가래떡, 가래질, 가래침 (0) | 2020.02.06 |
가동, 가동되다, 가동성, 가동하다, 가두, 가두다, 가드, 가드레일, 가득, 가득가득 (0) | 2020.02.06 |
가다듬다, 가닥, 가닥가닥¹, 가닥가닥², 가담, 가담하다, 가당찮다, 가당하다, 가도, 가독성 (0) | 2020.02.06 |
가늘다, 가늠, 가늠되다, 가늠하다, 가능, 가능성, 가능하다, 가다¹, 가다², 가다가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