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氣象廳)
발음 : [기상청 ]
명사 名詞
きしょうちょう【気象庁】
날씨의 상태를 관찰하고 예측하여 일기 예보와 같은 정보를 알리는 국가 기관.
天気の状態を観察して予測し、天気予報のような情報を知らせる国家機関。
  • 기상청 예보.
  • 기상청 홈페이지.
  • 기상청의 발표.
  • 기상청의 일기 예보.
  • 기상청에 근무하다.
  • See More
  • 기상청의 예보대로 흐린 날씨가 며칠 동안 계속되고 있다.
  • 기상청의 발표에 따르면 내일 낮부터 중부 지방 대부분에 비가 내릴 것이다.
  • 가: 눈이 너무 많이 오네. 내일도 온대?
  • 나: 글쎄, 내가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한번 확인해 볼게.
기상 특보 (氣象特報)
きしょうちゅういほう【気象注意報】。ちゅういほ【注意報】。きしょうとくほう【気象特報】
기상에 갑작스러운 변화나 이상 현상이 생겼을 때 이를 경고하기 위해 특별히 하는 보도.
気象に急激な変化や異常気象などが起こった時、それを警告するために特別に発表する報道。
  • 기상 특보 현황.
  • 기상 특보가 발효되다.
  • 기상 특보가 해제되다.
  • 기상 특보를 발표하다.
  • 기상 특보에 따르다.
  • 태풍의 북상으로 기상 특보가 전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이 국립 공원은 기상 특보의 발효 시에 안전을 위해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 가: 이제 태풍이 거의 지나갔나 보군요.
  • 나: 네. 조금 전에 기상 특보도 완전히 해제되었어요.
기상하다 (起牀 하다)
발음 : [기상하다 ]
동사 動詞
きしょうする【起床する】。めざめる【目覚める】
잠에서 깨어 잠자리에서 일어나다.
眠りから目覚め、寝床から起きる。
  • 아침에 기상하다.
  • 여섯 시에 기상하다.
  • 자리에서 기상하다.
  • 상쾌하게 기상하다.
  • 일찍 기상하다.
  • 나는 보통 아침 일곱 시에 기상해서 하루를 시작한다.
  • 민준이가 자명종 시계의 소리를 듣고 자리에서 기상했다.
  • 가: 내일은 몇 시에 기상해야 합니까?
  • 나: 아침 일곱 시에 일어나서 여덟 시까지 모든 준비를 마쳐야 합니다.
기상학 (氣象學)
발음 : [기상학 ]
활용 : 기상학이[기상하기], 기상학도[기상학또], 기상학만[기상항만]
명사 名詞
きしょうがく【気象学】
지구와 다른 행성들의 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地球や他の惑星の大気で発生する諸現象を研究する学問。
  • 항공 기상학.
  • 해양 기상학.
  • 기상학을 공부하다.
  • 기상학을 연구하다.
  • 기상학을 전공하다.
  • 나는 대학에서 기상학을 전공하고 지금은 기상청에서 근무하고 있다.
  • 서양에서는 십칠 세기부터 급속도로 과학이 발달하면서 기상학도 발전을 거듭했다.
기색 (氣色)
발음 : [기색 ]
활용 : 기색이[기새기], 기색도[기색또], 기색만[기생만]
명사 名詞
  1. 1. きしょく【気色】
    마음속의 생각이나 감정이 얼굴이나 행동에 나타나는 것.
    心の中の考えや感情が顔や行動に表れること。
    • 기뻐하는 기색.
    • 놀란 기색.
    • 당황한 기색.
    • 두려워하는 기색.
    • 부끄러운 기색.
    • See More
    • 중요한 시험을 앞둔 동생은 하루 종일 불안한 기색을 보였다.
    • 아픈 아들을 간호하던 어머니의 얼굴에는 걱정스러운 기색이 가득했다.
    • 가: 너 지수한테 많이 화가 나 있다며?
    • 나: 응. 약속에 연락도 없이 한 시간이나 늦게 나타나서는 미안한 기색도 안 보이잖아.
  2. 2. けはい【気配】
    어떤 행동이나 현상 등이 일어나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게 해 주는 눈치나 분위기.
    ある行動や現象などが起こるものと予測できる様子や雰囲気。
    • 물러날 기색.
    • 움직일 기색.
    • 일어날 기색.
    • 좋아질 기색.
    • 준비할 기색.
    • See More
    • 해가 중천에 떴지만 동생은 일어날 기색도 없이 자리에 누워만 있었다.
    • 비는 좀처럼 그칠 기색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더 세차게 내리고 있었다.
    • 가: 병원 치료를 받아 보니 어때? 좀 나아지는 기색이 있어?
    • 나: 그럼. 점점 좋아지고 있어.
기생1 (妓生)
발음 : [기ː생 ]
명사 名詞
キーセン【妓生】
(옛날에) 잔치나 술자리에서 손님에게 술을 따라 주며, 노래와 춤으로 흥을 돋우는 것을 직업으로 하던 여자.
芸妓:昔、宴会や酒席で、お客にお酒を注ぎ、歌と踊りでその場を盛り上げることを業としていた女性。
  • 아름다운 기생.
  • 예쁜 기생.
  • 기생 노릇.
  • 기생 신분.
  • 기생이 노래하다.
  • See More
  • 옛날에 양반들은 기생과 함께 술을 마시며 놀기도 했다.
  • 조선 시대의 기생은 노비와 같이 한 번 명부에 이름이 적히면 천민 신분을 벗어날 수 없었다.
  • 가: 옛날 양반들은 종종 기생집에 갔다던데요.
  • 나: 네, 맞아요. 아리따운 기생들과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 유흥을 즐겼다고 해요.
기생2 (寄生)
발음 : [기생 ]
명사 名詞
  1. 1. きせい【寄生】
    다른 동물이나 식물에 붙어서 영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살아감.
    他の動物や植物に張り付いて栄養分を奪い取りながら宿ること。
    • 기생 관계.
    • 기생 동물.
    • 기생 방식.
    • 기생 생물.
    • 기생 생활.
    • See More
    • 버섯은 다른 유기체에서 영양분을 얻으며 기생을 하는 식물이다.
    • 기생 곤충은 숙주인 식물에 붙어서 자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산다.
    • 가: 제가 왜 이런 병에 걸린 겁니까?
    • 나: 아무래도 세균의 기생 때문에 병에 걸린 것 같습니다.
  2. 2. きせい【寄生】
    자기 힘으로 살려고 하지 않고 남에게 의지하여 해를 끼치며 생활함.
    自力ではなく、他人に頼りながら害を与えて生活すること。
    • 권력에 기생을 하다.
    • 돈에 기생을 하다.
    • 체제에 기생을 하다.
    • 남에게 기생을 하다.
    • 다른 사람에게 기생을 하다.
    • 김 사장은 권력에 기생을 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 아저씨는 몇 년째 직업도 없이 부인에게 기생을 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 가: 저 사원은 일하는 모습을 도통 못 봤어.
    • 나: 저 사람은 팀에서 기생만 하는 존재나 다름없거든.
기생충 (寄生蟲)
발음 : [기생충 ]
명사 名詞
  1. 1. きせいちゅう【寄生虫】
    다른 동물에 붙어서 양분을 빨아 먹고 사는 벌레.
    他の動物にくっ付いて養分を吸い取りながら暮らす虫。
    • 기생충 질환.
    • 기생충을 박멸하다.
    • 기생충을 발견하다.
    • 기생충을 없애다.
    • 기생충을 예방하다.
    • See More
    • 대변 검사를 하면 기생충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나는 몸속의 기생충을 없애기 위해 일 년에 한 번은 약을 먹는다.
    • 가: 요즘에도 기생충 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아?
    • 나: 요즘은 위생 상태가 좋아져서 그렇게 많지는 않아.
  2. 2. きせいちゅう【寄生虫】
    (낮잡아 이르는 말로) 스스로 노력하지 않고 남에게 의지하여 해를 끼치며 살아가는 사람.
    自ら努力せず、他人に頼って害を与えながら生活する人を卑しめていう語。
    • 인간 기생충.
    • 기생충 노릇.
    • 기생충 같은 존재.
    • 기생충 생활.
    • 기생충과 같다.
    • 그 친구는 같이 밥을 먹을 때 절대로 계산을 하지 않는 인간 기생충이었다.
    • 우리 형은 서른이 넘었는데도 부모님께 용돈을 받으며 기생충 생활을 하고 있다.
    • 가: 저 사람은 우리 모임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아.
    • 나: 맞아. 늘 문제만 일으키는 게 꼭 기생충 같다니까.
기생하다 (寄生 하다)
발음 : [기생하다 ]
동사 動詞
  1. 1. きせいする【寄生する】
    다른 동물이나 식물에 붙어서 영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살아가다.
    他の動物や植物に張り付いて栄養分を奪い取りながら宿る。
    • 가축에 기생하다.
    • 곤충에 기생하다.
    • 나무에 기생하다.
    • 물고기에 기생하다.
    • 사람에 기생하다.
    • See More
    • 사람의 피부에 기생충이 기생하면 피부 질환이 생길 수 있다.
    • 아저씨는 가축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가축에 기생하는 벌레를 잡아 죽였다.
    • 가: 이 벌레는 다른 벌레의 몸에 기생하나요?
    • 나: 네. 그건 다른 벌레에게서 영양분을 빨아 먹으며 자라는 곤충이에요.
    • 문형 : 1이 2에/에게 기생하다
  2. 2. きせいする【寄生する】
    자기 힘으로 살려고 하지 않고 남에게 의지하여 해를 끼치며 생활하다.
    自力ではなく、他人に頼りながら害を与えて生活する。
    • 기생하는 무리.
    • 권력에 기생하다.
    • 독재자에 기생하다.
    • 자본에 기생하다.
    • 정권에 기생하다.
    • See More
    • 권력 주변에는 그 권력에 기생하려는 기생충 같은 무리가 있게 마련이다.
    • 정치 개혁은 구체제에 기생하던 세력의 강력한 저항으로 결국 실패하였다.
    • 가: 저 사람은 갑자기 부자가 되었네요.
    • 나: 사실 정권에 기생해서 불법으로 돈을 모았다는 말이 있어요.
    • 문형 : 1이 2에/에게 기생하다
    • 유의어 붙어살다
기선1 (汽船)
발음 : [기선 ]
명사 名詞
きせん【汽船】。じょうきせん【蒸気船】
증기 기관의 힘으로 움직이는 배.
蒸気機関の力で動く船。
  • 커다란 기선.
  • 기선 여행.
  • 기선 회사.
  • 기선의 갑판.
  • 기선의 모양.
  • See More
  • 이 배는 천 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커다란 기선이다.
  • 기선에서 뱃고동 소리가 난 지 얼마 뒤에 배가 출항하였다.
  • 가: 배가 곧 떠날 시각이니 이제 기선에 오르시지요.
  • 나: 그래요. 미리 배 안에서 자리 잡고 있어야겠어요.
기선2 (機先)
발음 : [기선 ]
명사 名詞
きせん【機先】。せんせいこうげき【先制攻撃】
운동 경기나 싸움 등에서 상대편의 기세를 억누르기 위해 먼저 행동하는 것.
スポーツ競技や戦いなどで、相手の勢いを抑えるために、先に行動すること。
  • 기선이 꺾이다.
  • 기선을 꺾다.
  • 기선을 빼앗기다.
  • 기선을 잡다.
  • 기선을 제압하다.
  • 전투가 시작되자 우리 부대는 우렁차게 소리를 질러서 기선을 꺾었다.
  • 우리 축구 팀은 전반전에서 두 골이나 넣으며 상대 팀의 기선을 제압했다.
  • 가: 반드시 경기 초반부터 기선을 잡도록 하게.
  • 나: 예. 그럼 제가 선제공격을 해서 상대의 기를 꺾어 놓겠습니다.
기성 (旣成)
발음 : [기성 ]
명사 名詞
きせい【既成】
이미 이루어져 있는 것.
すでにできあがっていること。
  • 기성 권력.
  • 기성 문화.
  • 기성 언론.
  • 기성 질서.
  • 기성 체제.
  • 기성 체제에 반발하는 젊은 정치인들이 모여 새로운 정당을 만들었다.
  • 시민 혁명으로 기성 권력층이 무너지고 시민 계층이 권력을 잡게 되었다.
  • 가: 감독님, 이번에 새로 만드신 영화가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하던데요?
  • 나: 네. 획일적인 기성 문화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