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다거든요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うんです【と言うんです】。といっていました【と言っていました】。そうです
(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말하는 사람의 행동에 대한 근거로 삼음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他人の話を話し手の行動の根拠に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영수가 내일 여행을 떠난다거든요. 가서 도와줘야겠어요.
- 청소는 제가 하고 누나는 음식을 만든다거든요. 걱정하지 마세요.
- 내일 할아버지께서 집에 오신다거든요. 그래서 내일은 일찍 집에 가야 해요.
- 가: 내일이 주말인데 왜 표정이 어두워.
- 나: 모처럼의 주말인데 내일 회사에서 다 같이 등산을 간다거든요.
- 가: 날씨도 좋은데 우산을 가지고 왔네?
- 나: 일기 예보에서 저녁에는 비가 온다거든요.
- 가: 어린애도 아닌데 치과를 뭘 그렇게 무서워해.
- 나: 충치가 심해서 이를 빼야 된다거든요.
-ㄴ다고1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ために。ため어떤 행위의 목적, 의도를 나타내거나 어떤 상황의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ある行為の目的・意図を表したり、ある状況の理由・原因を表す「連結語尾」。
- 민준이가 자기도 본다고 사진을 가져갔어.
- 승규가 바람이 들어온다고 창문을 닫았네요.
- 지수가 요리를 한다고 재료를 사다 놓았습니다.
- 가: 지수는 왜 안 와?
- 나: 오늘 손님이 온다고 바쁘다더라.
- 2. といって。というように흔히 속담에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諺などにおける「その言葉通りに」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고 자기 이름도 못 읽네.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넌다고 하나하나 확인합시다.
- 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앞으로는 좋은 일만 있을 거예요.
- 가: 회의를 해도 의견이 모아지지가 않네요.
- 나: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바로 그 짝이네요.
-ㄴ다고2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のだって。んだってば(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주장을 듣는 사람에게 강조하여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話し手の考えや主張を聞き手に強調して述べる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이 배터리가 얼마나 오래 간다고.
- 이거 왜 이래? 나도 알 만큼은 다 안다고.
- 네가 그렇게 작게 말하면 잘 안 들린다고.
- 가: 엄마, 엄마는 민준이가 좋아?
- 나: 그럼, 엄마가 우리 민준이 얼마나 좋아한다고.
- 2. のだって(두루낮춤으로) 들은 사실을 되물으면서 확인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聞いた話を聞き返しながら確認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다들 집에 가니까 너도 간다고?
- 그래? 네가 그렇게 대단한 일을 한다고?
- 승규가 그렇게 예의가 바르게 행동한다고?
- 정말 웃긴다. 중요한 일은 너 혼자 다 한다고?
- 가: 네? 뭐라고요? 주무신다고요?
- 나: 어, 아버지는 주무신다고. 우리끼리 먼저 밥 먹자.
- 3. のか(두루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이 예상했던 것과 다름을 확인하고 깨닫는 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ある事実が予想したものとは異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悟ったような口調で述べ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에이, 난 또 지수가 정말 운다고.
- 난 또 언니가 무슨 대단한 일을 자기 혼자 다 한다고.
- 사이렌 소리가 하도 크길래 난 또 누가 크게 다쳐서 병원에 간다고.
- 가: 벌써부터 상 차리세요? 손님은 내일 오시기로 했잖아요.
- 나: 난 또 오늘 저녁에 손님이 오신다고.
-ㄴ다고3
참고 : 받침 없는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ㄴ다고요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1. って。だってば(두루높임으로) 자신의 말을 되풀이하거나 강조할 때 쓰는 표현.(略待上称)自分の話を繰り返したり強調したりするのに用いる表現。
- 방금 한 말은 유민 씨 딸이 그림을 잘 그린다고요.
- 수민이는 거기 안 살아요. 그 집에 안 산다고요.
- 안 들리세요?오늘 저 북한산에 간다고요.
- 가: 요즘 현금보다 신용 카드를 많이 사용하신다고요?
- 나: 네, 카드를 사용하는 게 더 편해서 주로 카드로 계산한다고요.
- 가: 지수가 언제 온다고 하셨죠?
- 나: 한 시간 후에 온다고요.
- 가: 뭐라고요? 어디서 휴가를 보낼 계획이시라고요?
- 나: 강원도에서 휴가를 보낸다고요.
- 2. んだって。んですって。ということですか【と言うことですか】(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확인하거나 따져 물을 때 쓰는 표현.(略待上称)他人の話を確認したり問いただしたりするのに用いる表現。
- 삼월인데 눈이 온다고요?
- 지수는 지난달에 이사했는데 다음 달에 또 이사간다고요?
- 새로 지은 건물인데 물이 샌다고요?
- 가: 다음 주에 시험이 있대요.
- 나: 어제 기말 시험이 끝났는데 또 시험을 친다고요?
- 3. んですよ(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듯이 말할 때 쓰는 표현.(略待上称)他人に対して自慢げに述べるのに用いる表現。
- 우리 아들은 축구를 얼마나 잘한다고요.
- 민준이는 컴퓨터를 얼마나 잘 고친다고요.
- 지수는 옷을 얼마나 예쁘게 만든다고요.
- 가: 마당에 나무가 참 많네요.
- 나: 봄에는 이 나무에서 얼마나 예쁜 꽃이 핀다고요.
-ㄴ다기에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ㄴ다길래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うので【と言うので】。というから【と言うから】
뒤 내용의 이유나 근거로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을 말할 때 쓰는 표현.
後の内容の理由や根拠として、他人から聞いた事実を述べるのに用いる表現。
- 승규 씨가 영어를 잘한다길래 문장 번역을 부탁했어요.
- 지수가 오늘부터 열심히 공부한다길래 책을 몇 권 사 줬어요.
- 고향에 폭설이 내린다길래 피해가 없는지 부모님께 전화를 드렸어요.
- 가: 갑자기 테니스 라켓은 왜 샀어요?
- 나: 민준 씨가 주말마다 테니스를 친다길래 저도 같이 하려고요.
-ㄴ다나
참고 : 주로 구어에서,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というのか。というのかな다른 사람의 말을 전하며 그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他人の話を伝えながらその内容に対する不満や面倒くさい気持ちを表す「終結語尾」。
- 자기 말로는 어릴 때부터 나를 잘 안다나?
- 민준이 말로는 지수 남편이 대기업에 다닌다나 어쩐다나.
- 내가 결혼만 해 주면 자기가 매일 요리하고 청소를 한다나?
- 승규가 동네에서는 힘이 제일 좋아서 쌀 몇 가마니도 거뜬히 든다나.
- 가: 노처녀 누나가 올해는 꼭 신랑감을 찾아 결혼한다나 뭐라나.
- 나: 글쎄, 정말 그럴지는 두고 봐야 알 것 같은데?
- 2. というのか。とか어떤 일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로 확신 없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ある事柄について無関心な態度で確信なく述べる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지수는 원하는 대학을 못 가서 방에 박혀서 운다나 봐.
- 민준이 동생은 올해 졸업하고 유학인가 뭔가를 간다나 봐.
- 옆집 아주머니 딸이 서울에서 제법 큰 음식점을 한다나 봅니다.
- 가: 휴일인데 학교에 왜 이렇게 차도 많고 사람이 많지?
- 나: 오늘 유명한 연예인들이 학교 행사에 온다나 봐.
-ㄴ다남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ㄴ다네1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といっている【と言っている】。そうだ
(예사 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等称) 話し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ことを客観化して聞き手に知らせる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숲 속의 밤은 빨리 찾아온다네.
- 자네 소식을 듣고 할머니가 밤마다 우신다네.
- 정치 이야기는 사람들을 참 불편하게 만든다네.
- 난 명절 때마다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이 난다네.
- 가: 무슨 일을 해도 요즘은 이렇게 신이 난다네.
- 나: 그래? 비결이 뭔가?
-ㄴ다네2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