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싶다
  1. 1. のではないかとおもう【のではないかと思う】。べきではないかとおもう【べきではないかと思う】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내용을 말하는 사람이 다소 주관적이고 불확실하게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内容を話し手がやや主観的で不確実に推測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같은 내용이지만 영화보다는 소설이 더 재미있지 않았나 싶어.
    • 아무래도 내가 선배이니 후배를 도와줘야 하지 않겠나 싶어서 후배에게 전화를 걸었다.
    • 내 생각에는 이번에는 네가 양보해야 되지 않나 싶어.
    • 가: 오늘 승규가 지수한테 지나치게 화를 낸 것 같아.
    • 나: 맞아. 그렇게 화를 낼 필요까지는 없지 않았나 싶더라.
    • ※ 주로 ‘-지 않나 싶다’, ‘-지 않았나 싶다’, ‘-지 않겠나 싶다’로 쓴다.
  2. 2. のではなかったとおもう【のではなかったと思う】。べきではなかったとおもう【べきではなかったと思う】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행동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후회하거나 걱정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について話し手が後悔する、または心配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경기에서 큰 실수를 한 선수는 내가 왜 그랬나 싶다며 아쉬워했다.
    • 방학이 끝날 때가 되자 방학 동안 난 뭘 했나 싶어서 괜히 의기소침해졌다.
    • 조금만 참을 것을 내가 괜한 짓을 했나 싶어서 후회가 된다.
    • 가: 너 요새 지수랑 어색한 것 같더라.
    • 나: 응. 나도 내가 뭘 잘못했나 싶어서 말을 걸어도 지수가 대답도 안 해.
    • ※ 동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나신 (裸身)
발음 : [나ː신 ]
명사 名詞
らしん・はだかみ【裸身】。らたい【裸体】。はだか【裸】
아무것도 입지 않은 몸.
何もまとっていない裸の身体。
  • 남자의 나신.
  • 여자의 나신.
  • 나신이 아름답다.
  • 나신을 그리다.
  • 나신을 바라보다.
  • 그는 목욕을 마치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나신을 바라보았다.
  • 나는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사람의 아름다운 나신을 그려 보고 싶었다.
  • 가: 시체는 어디에서 발견되었나요?
  • 나: 옷도 입지 않은 나신 상태로 강물 위에 떠올랐어요.
나아가-
(나아가고, 나아가는데, 나아가, 나아가서, 나아가니, 나아가면, 나아간, 나아가는, 나아갈, 나아갑니다, 나아갔다, 나아가라)→나아가다
나아가다 ★★
발음 : [나아가다 ]
활용 : 나아가, 나아가니
동사 動詞
  1. 1. すすむ【進む】。ぜんしんする【前進する】
    앞으로 향하여 가다.
    前方に向かって動く。
    • 한 걸음을 나아가다.
    • 거리로 나아가다.
    • 광장으로 나아가다.
    • 앞으로 나아가다.
    • 단상에 나아가다.
    • See More
    • 배가 앞으로 천천히 나아가기 시작했다.
    • 나는 상을 받으려고 무대로 씩씩하게 나아갔다.
    • 승규는 내가 부르는 소리에 아랑곳하지 않고 빠르게 앞으로 나아갔다.
    • 문형 : 1이 2로/에/를 나아가다
  2. 2. すすむ【進む】。しんしゅつする【進出する】
    뜻하거나 목적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가다.
    目指している方向に向かって行く。
    • 나아갈 방향.
    • 목표로 나아가다.
    •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다.
    •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다.
    •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다.
    • 통일을 향해 나아가는 데 해결해야 할 일들이 아직 많이 있다.
    • 선생님께서는 내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셨다.
    • 강한 의지를 가진 사람은 상황이나 입장에 관계없이 자신의 신조에 따라 나아간다.
    • 문형 : 1이 2로 나아가다
  3. 3. すすむ【進む】。しんてんする【進展する】。はかどる【捗る】
    일이 진행되어 가다.
    仕事が進行する。
    • 계획대로 나아가다.
    • 순조롭게 나아가다.
    • 안정되게 나아가다.
    • 이 일은 계획대로 잘 나아가고 있다.
    • 지금의 흐름대로 계속 나아가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맞게 될 수도 있다.
    • 가: 눈이 많이 와서 채소 값이 너무 비싸졌어요.
    • 나: 맞아요. 이대로 나아가다가는 채소 가격이 소고기보다 더 비싸질 것 같아요.
    • 문형 : 1이 2로 나아가다
나아져-
(나아져, 나아져서, 나아졌다, 나아져라)→나아지다
나아지-
(나아지고, 나아지는데, 나아지니, 나아지면, 나아진, 나아지는, 나아질, 나아집니다)→나아지다
나아지다 ★★
발음 : [나아지다 ]
활용 : 나아지어[나아지어/ 나아지여](나아져[나아저]), 나아지니
동사 動詞
よくなる。あらたまる【改まる】。かいぜんされる【改善される】
형편이나 상태가 더욱 좋아지다.
暮らし向きや状態などがさらによくなる。
  • 건강이 나아지다.
  • 관계가 나아지다.
  • 성적이 나아지다.
  • 생활이 나아지다.
  • 얼굴이 나아지다.
  • See More
  • 동생은 일기를 쓴 후부터 글쓰기 실력이 나아졌다.
  • 형이 회사에 취직하자 우리 집 형편이 조금 나아졌다.
  • 가: 아버지 건강은 좀 나아지셨어?
  • 나: 계속 약을 드시고 운동도 꾸준히 하셔서 많이 좋아지셨어요.
  • 문형 : 1이 나아지다
나앉다
발음 : [나안따 ]
활용 : 나앉아[나안자], 나앉으니[나안즈니], 나앉고[나안꼬], 나앉는[나안는], 나앉지[나안찌]
동사 動詞
  1. 1. 出る【出る】
    안에서 밖으로 또는 뒤쪽에서 앞쪽으로 자리를 옮겨 앉다.
    中から外へ、また後ろから前へ移って座る。
    • 마당에 나앉다.
    • 마루에 나앉다.
    • 문밖에 나앉다.
    • 밥상 앞에 나앉다.
    • 칠판 앞에 나앉다.
    • 그는 아버지의 호통 소리에 놀라 엉거주춤 방문 밖으로 나앉았다.
    • 어머니는 아들이 앉아 있는 마루로 나앉더니 아들의 손을 잡고 이야기를 했다.
    • 그녀는 마루에 나앉아서 대문을 바라보며 남편이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 그는 아랫목에 자리를 깔고 나앉아서는 한동안 아무 말 없이 우리를 바라보았다.
    • 가: 오늘 안경을 안 가져와서 칠판 글씨가 안 보여.
    • 나: 그럼 칠판 바로 앞에 나앉아서 수업을 들어.
    • 문형 : 1이 2에/로 나앉다
  2. 2.
    살 집을 잃고 쫓겨나거나 어떤 곳으로 물러나서 자리를 잡다.
    住んでいた家から追い出されて、他のことろに退いて定着する。
    • 나앉을 상황.
    • 나앉을 신세.
    • 나앉을 처지.
    • 나앉을 형편.
    • 거리에 나앉다.
    • See More
    • 우리는 가게를 팔고 시장 바닥에 나앉아 새롭게 장사를 시작했다.
    • 그는 지금 살고 있는 집에서 쫓겨나면 영락없이 거리에 나앉게 생겼다.
    • 승규는 가진 것을 모두 잃고 빈털터리가 된 채 길거리로 나앉게 되어 버렸다.
    • 지금은 비록 사업이 망해 변두리에 나앉게 되었지만 그는 희망을 잃지 않았다.
    • 가: 요즘 사업은 잘 되어 가?
    • 나: 아니. 계속 적자가 나서 이러다가는 돈을 다 잃고 길바닥에 나앉게 생겼어.
    • 문형 : 1이 2에/로 나앉다
  3. 3. やめる【辞める】。おりる【下りる】
    하던 일을 그만두거나 원래의 직책에서 물러나다.
    やっていた仕事をやめたり、役職を退いたりする。
    • 나앉게 되다.
    • 나앉게 생기다.
    • 관직에서 나앉다.
    • 자리에서 나앉다.
    • 직장에서 나앉다.
    • 승규는 큰 실수를 하는 바람에 지금 다니는 직장에서 나앉게 될 신세이다.
    • 그는 이제 사장 자리에서 나앉았고 새로운 젊은 사장이 그를 대신하게 되었다.
    • 아버지는 아들에게 맡겨 두고 가게 일에서 나앉아 있자니 불안해 죽을 지경이다.
    • 그녀는 모든 집안일에서 나앉았고 대신에 며느리가 집안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 가: 이번 사고를 잘 해결하지 못하면 과장 자리에서 나앉을 각오 하게나.
    • 나: 죄송합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꼭 해결하겠습니다.
    • 문형 : 1이 2에서 나앉다
나약하다 (懦弱/愞弱 하다)
발음 : [나ː야카다 ]
활용 : 나약한[나ː야칸], 나약하여[나ː야카여](나약해[나ː야캐]), 나약하니[나ː야카니], 나약합니다[나ː야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だじゃくだ【惰弱だ】
    뜻이나 의지가 굳세지 못하고 약하다.
    志や意志が屈強でなく、弱い。
    • 나약한 마음.
    • 나약한 모습.
    • 나약한 사람.
    • 나약한 성격.
    • 나약한 소리.
    • See More
    • 그는 조그마한 일에도 쉽게 상처를 받는 나약한 성격을 가졌다.
    • 지금처럼 나약한 정신 상태로는 그는 힘든 훈련을 이겨내기 힘들 것이다.
    • 그는 마음이 나약해서 조금만 어려운 일이 있으면 쉽게 포기해 버린다.
    • 가: 요새는 힘들어서 다 그만두고 싶어요.
    • 나: 그렇게 의지가 나약해서 무슨 큰일을 하겠니?
    • 문형 : 1이 나약하다
  2. 2. だじゃくだ【惰弱だ】
    몸이 건강하지 못하고 약하다.
    体が丈夫でなく、弱い。
    • 나약한 모습.
    • 나약한 몸.
    • 나약한 상태.
    • 나약한 신체.
    • 나약한 아이.
    • 나약하게 태어난 그는 어릴 때부터 여러 가지 병으로 오래 고생을 했다.
    • 지수는 매번 보약을 지어 먹어야 할 만큼 몸이 나약했다.
    • 가: 선생님, 저는 회사에는 당분간 못 나가겠죠?
    • 나: 네. 지금 큰 수술을 받았기 때문에 몸이 매우 나약한 상태입니다.
    • 문형 : 1이 나약하다
나열 (羅列)
발음 : [나열 ]
명사 名詞
  1. 1. られつ【羅列】
    차례대로 죽 벌여 늘어놓음.
    順序良くずらりと並べること。
    • 단순한 나열.
    • 사실의 나열.
    • 지식의 나열.
    • 나열이 되다.
    • 나열을 하다.
    • 그의 글은 의미 없는 내용들의 나열이어서 읽어 볼 가치도 없는 글이다.
    • 논문은 단순한 지식의 나열이 아니라 논리적 구성을 가지는 글이어야 한다.
    • 역사가가 만들어 내는 것은 역사적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사실들 사이의 인과 관계이다.
    • 가: 선생님, 제 보고서는 왜 낮은 점수를 받았습니까?
    • 나: 네 보고서에는 사실들이 단순히 나열만 되어 있고, 네 생각이 담겨 있지 않더구나.
  2. 2. られつ【羅列】
    나란히 줄을 지음.
    並んで列をつくること。
    • 나열이 되다.
    • 나열을 하다.
    • 점원이 오늘 팔 물건들을 진열장에 보기 좋게 나열을 하고 있었다.
    • 그는 장식장에 나열이 된 술 한 병을 꺼내서 손님에게 대접하였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