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만큼
참고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1. 1. だけ。ほど。くらい
    뒤에 오는 말이 앞에 오는 말과 비례하거나 비슷한 정도 혹은 수량임을 나타내는 표현.
    後に述べる事柄が前に述べる事柄と比例するか、ほぼ同じような程度や数量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시험의 결과는 공부하는 만큼 나오는 것 같다.
    • 과학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인간 생활이 더욱 편리해진다.
    • 지수는 용돈을 아껴 쓰는 만큼 저축이 늘어나서 보람을 느꼈다.
    • 아버지께서는 항상 노력하는 만큼 성공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 가: 지수야, 너 왜 저녁을 다 안 먹고 남겼니?
    • 나: 저는 먹는 만큼 살이 쪄서 식사량을 줄여야겠어요.
  2. 2. から。ので。だけに
    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述べる事柄が後に述べる事柄の理由や根拠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승규가 다니는 회사는 주말에도 일을 하는 만큼 월급을 더 준다.
    • 이번 경기는 점수 차이가 나는 만큼 긴장하지 않고 지금처럼만 하면 우승은 문제없어.
    • 유기농 식품은 화학 비료나 농약을 안 쓰는 만큼 건강에 좋다.
    • 손으로 쓰는 편지는 정성이 담겨 있는 만큼 받는 사람에게 감동을 준다.
    • 파도와 해일이 예상되는 만큼 그 지역에서는 피해가 없도록 대비를 해야 한다.
    • 가: 여러분, 이 지역 공장에서 폐수를 배출한다는 제보가 있는 만큼 조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나: 네, 알겠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해 맡은 곳을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는 모양이다
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
다른 사실이나 상황으로 보아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거나 어떤 상태라고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他の事実や状況から判断して現在その事態が起こっているか、ある状況であると推測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저 집은 가구를 옮기는 걸 보니 이사를 하는 모양이에요.
  • 식당에 사람이 많은 걸 보니 음식이 맛있는 모양이다.
  •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걸 보니 바람이 세게 부는 모양이에요.
  • 승규가 하루 종일 웃는 얼굴로 다니던데 좋은 일이 있는 모양이야.
  • 사람들 옷이 흠뻑 젖었던데 비가 많이 내리는 모양이다.
  • 가: 이 영화는 몇 좌석 안 남아서 뒷줄에 앉아서 봐야 할 것 같아요.
  • 나: 그래요? 사람들이 많이 보는 걸 보니 영화가 재미있는 모양이네요.
-는바
어미 語尾
たところ
뒤에 오는 말과 관련하여 이미 이루어진 어떤 상황을 배경이나 근거로 미리 제시할 때 쓰는 연결 어미.
次に述べる事柄と関連して、すでに実現しているある状況を背景や根拠として前もって提示するのに用いる「連結語尾」。
  • 감독관이 자리에 없는바 노동자들은 쉬엄쉬엄 일을 했다.
  • 발표가 시작되었는바 객석의 자리들이 하나하나 채워졌다.
  • 동업자의 조언대로 실천했는바 큰 문제 없이 거래가 성사되었다.
  • 지수는 늘 남자 친구와의 결혼 계획을 이야기하는바 조만간 결혼을 할 것 같다.
  • ※ 주로 문어에서,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바, -던바, -은바
-는 바람에
はずみに。ひょうしに【拍子に】。ので。ため。せいで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가 뒤에 오는 말의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述べる事柄が後に述べる事柄の原因や理由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삼촌은 내가 어릴 적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시는 바람에 얼굴도 뵌 적이 없다.
  • 길이 너무 막히는 바람에 늦었어요.
  • 비가 오는 바람에 소풍을 못 가게 되었다.
  • 가: 지금이 몇 신데 라면을 먹어?
  • 나: 야근하느라 저녁도 못 먹는 바람에 배고파 죽겠어.
  • ※ 주로 앞의 말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겠-’ 뒤에 붙여 쓴다.
  • 유의어 -는 탓, -는 통에
-는 반면에
はんめん【反面】。が。けど。にひきかえ
앞에 오는 말과 뒤에 오는 말이 서로 반대되는 사실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と後にくる言葉の内容が相反する事実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승규는 수학을 잘하는 반면에 외국어는 못하는 편이다.
  • 민준이네 회사는 월급을 많이 주는 반면에 업무량도 많다.
  • 아이가 과자는 좋아하는 반면에 밥을 잘 먹지 않아 끼니 때마다 엄마가 밥을 먹이려고 애썼다.
  • 기술의 발전으로 쌀의 생산량은 증가하는 반면에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어 문제이다.
  • 자동차는 이동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지비가 들고 사고의 위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가: 오늘이 지수 생일이었는데, 생일 파티를 한 식당 분위기가 별로였다고 해서 조금 다퉜어.
  • 나: 남자들은 음식의 맛을 중요시하는 반면에 여자들은 분위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지.
  •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쓰고, ‘-는 반면’으로도 쓴다.
  • 참고어 -ㄴ 반면에, -은 반면에
-는 법이다
ものだ
앞의 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그렇게 정해져 있거나 그런 것이 당연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動作や状態がすでに決められたものであるか、それが当然だ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겨울이 가면 봄이 오는 법이다.
  • 잘못을 하면 벌을 받는 법이다.
  •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법이다.
  • 가: 제 것보다 언니 옷이 더 예쁜 것 같아요.
  • 나: 원래 남의 떡이 커 보이는 법이야.
  •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 법이다, -은 법이다
-는 사이
あいだ・ま【間】。うち【内】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일어나는 중간의 어느 짧은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
ある行動や状況が起こる間の短い時間を表す表現。
  • 잠깐 방심하는 사이에 사고가 생길 수 있다.
  • 기회는 눈 깜짝하는 사이에 지나간다.
  • 갈팡지팡하는 사이에 많은 시간이 흘러갔다.
  • 사람들이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불은 커져 갔다.
  • 가: 쟤는 언제 온 거야?
  • 나: 네가 잠깐 조는 사이에 왔어.
  • ※ ‘있다’, ‘없다’, ‘계시다’,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는 수가 있다
ことがある。かのうせいがある【可能性がある】。かねない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일이 생길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생길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事態が起こる可能性が大きくはないが、起こりえるということを表す表現。
  • 가 보았던 길이라도 깜빡 길을 헤매는 수가 있다.
  • 약도 과하면 독이 되는 수가 있다.
  • 너 그렇게 자꾸 까불다가 맞는 수가 있어.
  • 가: 아빠, 저 내일 친구들이랑 스케이트 타러 갈 거예요.
  • 나: 자칫하면 다치는 수가 있으니 조심해라.
  •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는 말할 것도 없고
はいうまでもなく【は言うまでもなく】。はもちろん。ばかりか
앞에 오는 말과 비교하였을 때 앞의 말은 당연히 그러하고 뒤에 오는 말 역시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内容と比べた時、前の内容は当然そうであって、後の内容もそう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나는 여름에는 말할 것도 없고 겨울에도 땀이 많이 나.
  • 이 코미디 영화는 재미는 말할 것도 없고 깊은 감동까지 준다.
  • 화재가 나면 재산 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사람의 목숨까지 위험할 수 있다.
  • 가: 지수는 캐나다에서 자랐으니까 영어는 잘하겠지?
  • 나: 그럼. 영어는 말할 것도 없고 프랑스어도 정말 유창해.
는 물론
はもちろん
앞에 오는 말을 포함하여 전체 문장의 내용이 당연히 그러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を含めて文全体の内容が当然そうであるという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나는 책상 정리는 물론 방 청소까지 모두 끝내 놓았다.
  • 저는 한국 요리를 배워서 불고기는 물론 파전도 만들 수 있어요.
  • 이 책은 아이는 물론 어른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동화예요.
  • 가: 승규야, 숙제는 다 하고 노는 거니?
  • 나: 당연하지요. 숙제는 물론 예습까지 해 놓은걸요.
  •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은 물론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