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
발음 : [따라서 ]
부사 副詞
よって。したがって【従って】。それで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 조건 등이 될 때 쓰는 말.
前の内容が後の内容の原因・根拠・条件などになる時に用いる語。
  • 기업들이 환경을 파괴하는 이유에는 경제적인 이유가 있다
  • 따라서 기업이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이익을 낼 수 있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 강자들은 자신의 돈이나 권력을 이용하여 언론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따라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보를 언론이 싣도록 유도할 수 있다.
  • 기업들이 환경을 파괴하는 데에는 경제적인 이유가 있다. 따라서 기업이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이익을 낼 수 있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다
발음 : [따라서다 ]
활용 : 따라서, 따라서니
동사 動詞
  1. 1. おいつく【追い付く】
    뒤에서 쫓아가서 나란히 되다.
    追い掛けて並ぶようになる。
    • 선수를 따라서다.
    • 앞사람을 따라서다.
    • 친구를 따라서다.
    • 바짝 따라서다.
    • 경호원들은 그 국회 의원을 바짝 따라서 삼엄한 경호를 하였다.
    • 뒤쳐져 있던 그 선수는 힘껏 달려 선두에 있는 선수를 따라섰다.
    • 문형 : 1이 2를 따라서다
  2. 2. おいつく【追い付く】
    뒤떨어진 상태에서 같은 수준을 이루다.
    遅れた状態で追いかけて同じ水準にまで至る。
    • 기술을 따라서다.
    • 성능을 따라서다.
    • 실력을 따라서다.
    • 품질을 따라서다.
    • 음악에 타고난 재능을 가진 그의 실력을 아무도 따라서지 못했다.
    • 우리 회사는 경쟁 회사의 기술을 따라설 제품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 문형 : 1이 2를 따라서다
따라오-
(따라오고, 따라오는데, 따라오니, 따라오니, 따라오면, 따라온, 따라오는, 따라올, 따라옵니다)→따라오다
따라오다 ★★
발음 : [따라오다 ]
활용 : 따라와, 따라오니, 따라오너라
동사 動詞
  1. 1. ついてくる【付いて来る】
    움직이는 것을 그대로 쫓아서 가다.
    動いているものの後を追っていく。
    • 뒤를 따라오다.
    • 가까이 따라오다.
    • 바짝 따라오다.
    • 부지런히 따라오다.
    • 서둘러 따라오다.
    • See More
    • 자, 다들 짝꿍 손잡고 선생님을 잘 따라오세요.
    • 아까부터 고양이 한 마리가 나를 따라오고 있었다.
    • 앞에 가는 엄마 오리를 아기 오리들이 졸졸 따라온다.
    • 가: 할머니, 잠깐 저 가게에 들렀다 가도 돼요?
    • 나: 안 돼. 한눈팔지 말고 어서 따라오너라.
    • 문형 : 1이 2를 따라오다
  2. 2. おいつく【追い付く】。おいかける【追い掛ける】
    앞서 있는 것의 정도나 수준에 가까워지다.
    進んだものの程度や水準に近付く。
    • 발전을 따라오다.
    • 변화를 따라오다.
    • 생각을 따라오다.
    • 진도를 따라오다.
    • 추세를 따라오다.
    • 네가 내 연주 실력을 따라오려면 아직 한참 멀었어.
    • 제가 영어를 가르치는 방법은 따라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 우리의 문화 수준은 경제적 발전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 가: 이번에도 지수가 학교 대표 달리기 선수로 뽑히겠지?
    • 나: 당연하지. 달리기라면 우리 학교에서 지수를 따라올 사람이 없잖아.
    • 문형 : 1이 2를 따라오다
  3. 3. したがう【従う】。ならう【倣う】
    어떤 사람의 방식, 행동, 의도 등을 그대로 실행하다.
    ある人の方式や行動、意図などに逆らわないで、そのまま実行する。
    • 감정을 따라오다.
    • 명령을 따라오다.
    • 방법을 따라오다.
    • 부모의 행동을 따라오다.
    • 그대로 따라오다.
    • 아이는 자라면 자랄수록 엄마의 성격을 똑같이 따라왔다.
    • 김 씨는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따라오지 않아서 괜히 심술이 났다.
    • 가: 내일 회의 시간에 이 안건이 통과되면 좋겠어.
    • 나: 걱정하지 마. 네가 의견을 내면 다른 사람들은 다 따라올 거야.
    • 문형 : 1이 2를 따라오다
  4. 4. したがう【従う】。そう【沿う】
    일정한 선 등을 그대로 밟아 오다.
    一定の線などをたどって来る。
    • 차선을 따라오다.
    • 해안선을 따라오다.
    • 이 길은 해안을 따라오는 길이다.
    • 작은 배 한 척이 파도 위에서 그물의 선을 따라오고 있다.
    • 카메라는 우리가 움직이는 동선을 그대로 따라오며 우리를 찍었다.
    • 문형 : 1이 2를 따라오다
  5. 5. ともなう【伴う】
    어떤 일이 다른 일과 함께 일어나게 되다.
    ある物事に付随して別の物事が起こる。
    • 결과가 따라오다.
    • 책임이 따라오다.
    • 자연스럽게 따라오다.
    • 열심히 일하면 부는 절로 따라오는 법이다.
    •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면 성공은 저절로 따라온다.
    • 자아 실현을 위해 목표를 좇다 보면 자잘한 수단들은 따라오게 마련이다.
    • 가: 이번 축구 시합에서 우리 반이 우승할 수 있을까?
    • 나: 글쎄. 열심히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따라오겠지.
    • 문형 : 1이 따라오다
따라와-
(따라와, 따라와서, 따라왔다, 따라와라)→따라오다
따라잡다
발음 : [따라잡따 ]
활용 : 따라잡아[따라자바], 따라잡으니[따라자브니], 따라잡는[따라잠는]
동사 動詞
おいつく【追い付く】
뒤따라가던 것이 앞서가는 것에 가까이 이르거나 앞서다.
追い掛けていたものが先に出たものに近付いたり追い越したりする。
  • 기술을 따라잡다.
  • 선수를 따라잡다.
  • 선진국을 따라잡다.
  • 앞사람을 따라잡다.
  • 차를 따라잡다.
  • 그는 일 등으로 달리는 선수를 따라잡아 육상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그 회사는 기존의 선진 기술을 따라잡은 향상된 기능의 핸드폰을 출시했다.
  • 가: 오늘도 도서관에 공부하러 가는 거야?
  • 나: 병원에 입원한 동안 뒤처진 공부를 따라잡으려면 열심히 해야지.
  • 문형 : 1이 2를 따라잡다
따라잡히다
발음 : [따라자피다 ]
활용 : 따라잡히어[따라자피어/ 따라자피여](따라잡혀[따라자펴]), 따라잡히니[따라자피니]
동사 動詞
おいつかれる【追い付かれる】
앞선 것이, 뒤에 있던 것이 따라오면서 그것과 나란하게 되다.
先に出たものが追い掛けられて、遅れたものと並ぶようになる。
  • 실력이 따라잡히다.
  • 차가 따라잡히다.
  • 키가 따라잡히다.
  • 뒷사람에게 따라잡히다.
  • 금세 따라잡히다.
  • 우리나라의 통신 기술 수준이 해외 국가들에 의해 따라잡히고 있다.
  • 김민준 선수는 경기 중반까지 선두로 달리다가 다른 선수에게 따라잡혀 이 등으로 밀려났다.
  • 가: 이제 네 동생 키가 너랑 비슷하구나.
  • 나: 응. 원래 내가 훨씬 컸는데 이제 다 따라잡혔어.
  • 문형 : 1이 2에/에게 따라잡히다
따라지
발음 : [따라지 ]
명사 名詞
(속된 말로) 돈도 없고 지위도 없어서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
お金も無く、地位も無くて、社会的に疎外された人を俗にいう語。
  • 따라지 생활.
  • 따라지 신세.
  • 따라지 인생.
  • 따라지의 비애.
  • 따라지로 살다.
  • 그는 무일푼의 따라지로 살면서도 가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그동안 모은 돈으로 서울에 올라왔다.
  • 배운 것도 없고 가진 것도 없는 따라지 신세였던 그는 우연히 복권에 당첨되어 백만장자가 되었다.
따로 ★★★
발음 : [따로 ]
부사 副詞
  1. 1. べつに【別に】。べっとに【別途に】
    다른 것들과 함께 하거나 섞이지 않게.
    他の物事と一緒であったり混ざったりしないように。
    • 따로 관리하다.
    • 따로 넣다.
    • 따로 놓다.
    • 따로 두다.
    • 따로 보관하다.
    • See More
    • 유민이는 자신의 옷과 언니의 옷이 섞이지 않도록 옷장 두 개에 따로 보관했다.
    • 그녀는 떡국에 고명으로 올릴 지단을 부치기 위해 달걀의 흰자를 노른자와 따로 분리했다.
    • 가: 너랑 나랑 똑같은 외투를 입고 와서 벗어 놓으면 누구 것인지 헷갈릴 것 같아.
    • 나: 내 것은 따로 둘 테니까 걱정하지 마.
  2. 2. べつに【別に】。べっとに【別途に】。ほかに【他に】
    보통의 것과는 달리 특별하게.
    普通のものとは違って特別に。
    • 따로 만나다.
    • 따로 말하다.
    • 따로 생각하다.
    • 따로 없다.
    • 따로 있다.
    • 유민이는 주말에 따로 계획이 있어 가족 모임에 참석하지 못했다.
    • 이 회사 직원들은 휴일이 따로 없이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과도한 업무에 시달린다.
    • 가: 동창회에서 너랑 제대로 얘기도 못 하고 헤어지려니 아쉽네.
    • 나: 다음에 따로 약속을 잡아서 만나자.
따로국밥
발음 : [따로국빱 ]
활용 : 따로국밥이[따로국빠비], 따로국밥도[따로국빱또], 따로국밥만[따로국빰만]
명사 名詞
タロククパプ
밥을 국에 말지 않고 국과 밥을 서로 다른 그릇에 담아 내는 국밥.
スープの中にご飯を入れず、スープとご飯を別々の器に入れて出す「ククパプ」。
  • 따로국밥 가게.
  • 따로국밥을 먹다.
  • 따로국밥을 시키다.
  • 따로국밥을 주문하다.
  • 밥에 국을 말아 먹고 싶지 않은 민준이는 식당에서 따로국밥을 주문했다.
  • 이 식당은 밥과 국을 따로 담아서 주는 따로국밥 식당으로, 어렸을 적 어머니의 손맛을 느낄 수 있는 구수한 맛으로 유명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