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 (發癌)
발음 : [바람 ]
명사 名詞
はつがん【発癌】
암이 생김. 또는 암이 생기게 함.
癌が発生すること。また、発生させること。
  • 발암 물질.
  • 발암 억제.
  • 발암 인자.
  • 발암을 예방하다.
  • 발암을 유발하다.
  • See More
  • 석면은 암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발암 물질 중 하나이다.
  • 항암 식품은 발암을 유발하는 인자들을 억제해 암에 걸리지 않도록 도와준다.
  • 가: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우면 발암이 될 수 있대.
  • 나: 나는 이제 건강을 위해 금연을 하겠어.
발암성 (發癌性)
발음 : [바람썽 ]
명사 名詞
はつがんせい【発癌性】
어떤 물질이 몸 안에 들어가서 암을 일으키는 성질.
体内に入って癌を起こす性質。
  • 발암성 물질.
  • 발암성이 의심되다.
  • 발암성이 있다.
  • 발암성을 띄다.
  • 발암성을 평가하다.
  • See More
  • 담배에 함유된 성분 중에는 발암성이 가장 강해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들이 많다.
  • 발암성이 있는 화학 물질을 엄격하게 관리하지 않은 공장의 직원들이 집단적으로 암 진단을 받았다.
  • 가: 탄 고기는 먹지 마. 발암성이 의심되는 성분이 발견됐대.
  • 나: 그래? 고기를 타지 않게 잘 익혀 먹어야겠군.
발야구 (발 野球)
발음 : [발랴구 ]
명사 名詞
キックベースボール。キックベース
규칙은 야구와 비슷한데, 공을 방망이 대신 발로 차서 승부를 겨루는 경기.
ルールは野球とほぼ同じで、バッターではなく足でボールを蹴って勝負を決める競技。
  • 발야구 경기.
  • 발야구 규칙.
  • 발야구 시합.
  • 발야구 예선.
  • 발야구를 좋아하다.
  • See More
  • 발야구 경기를 하면서 발로 공을 여러 차례 찼더니 발이 무척 아프다.
  • 어제 옆 반과 발야구를 하는데 내가 공을 세게 차서 홈런을 날렸다.
  • 가: 너는 발야구를 무척 좋아한다면서?
  • 나: 응. 야구랑 규칙은 같지만 공이 크니까 공을 찰 때 편해.
발언 (發言)
발음 : [바런 ]
명사 名詞
はつげん【発言】
말을 하여 의견을 나타냄. 또는 그 말.
言葉にして意見を示すこと。また、その言葉。
  • 폭탄 발언.
  • 대통령의 발언.
  • 공격적인 발언.
  • 적절한 발언.
  • 발언 실수.
  • See More
  • 새 정책에 대한 일부 정치인들의 공격적인 발언이 논쟁이 되었다.
  • 토론장에서 사회자는 참여자들의 인신공격 발언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 가: 어제 대통령의 독도 관련 담화 들었니?
  • 나: 응. 이번 대통령의 발언은 시기적절했던 것 같아.
발언권 (發言權)
발음 : [바런꿘 ]
명사 名詞
  1. 1. はつげんけん【発言権】
    회의에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권리.
    会議で意見を発言できる権利。
    • 발언권이 없다.
    • 발언권이 있다.
    • 발언권을 가지다.
    • 발언권을 부여하다.
    • 발언권을 얻다.
    • See More
    •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발언권을 가지고 있다.
    • 의견을 제시하려는 사람은 손을 들어 의장에게 발언권을 얻어야 한다.
    • 가: 이번 안건에 대한 제의가 있습니다.
    • 나: 네, 발언권을 드릴 테니 말씀하십시오.
  2. 2. はつげんけん【発言権】
    의견을 말하는 것에 대한 권위나 영향력.
    意見を述べることへの権威や影響力。
    • 발언권이 강하다.
    • 발언권이 세다.
    • 발언권이 커지다.
    • 발언권을 강화하다.
    • 발언권을 높이다.
    • 이번 국제회의에서 중국의 발언권이 예전보다 더 커졌다.
    • 우리 기업은 최고 경영자보다 재정 총괄자의 발언권이 더 크다.
    • 정부는 전 세계에 대한 국제적 발언권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 가: 미국에서는 가정에서 여성의 발언권이 강하대.
    • 나: 맞아. 그래서 남편과 동등하게 가정을 돌본다더군.
발언하다 (發言 하다)
발음 : [바런하다 ]
동사 動詞
はつげんする【発言する】
말을 하여 의견을 나타내다.
言葉にして意見を示す。
  • 발언한 내용.
  • 발언할 권리.
  • 발언할 기회.
  • 의견을 발언하다.
  • 공개적으로 발언하다.
  • 타인이 발언할 때는 나와 생각이 달라도 끝까지 경청해야 한다.
  • 어떤 의견이 제시된 후 바로 발언하는 사람은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일 경우가 많다.
  • 부장님이 공적인 자리에서 자기 자신의 실수를 인정한다고 발언한 것은 참 용기 있는 행동이었다.
  • 가: 회의에서 내가 개정 안건에 대해 발언하면 네가 그걸 찬성하는 의견을 내 줘.
  • 나: 알았어. 대신 제대로 말하기나 해.
  • 문형 : 1이 2를 발언하다, 1이 2-고 발언하다
  • 문형참고 : '2에 대하여'로도 쓴다.
발열 (發熱)
발음 : [바렬 ]
명사 名詞
  1. 1. はつねつ【発熱】
    열이 남. 또는 열을 냄.
    熱が出ること。または、熱を出すこと。
    • 발열 내의.
    • 발열 반응.
    • 발열 섬유.
    • 발열 소재.
    • 발열 제품.
    • See More
    • 요즘같이 추운 겨울에는 스스로 열을 내는 발열 내의를 입어야 보온이 돼.
    • 엔진을 오래 가동하면 기계 내에서 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매우 뜨겁게 된다.
    • 가: 요즘 컴퓨터 소음이 너무 심해.
    • 나: 본체 발열이 심해서 그래. 냉각기를 설치해 봐.
  2. 2. はつねつ【発熱】
    체온이 높아짐. 또는 그런 증상.
    体温が高くなること。また、そのような症状。
    • 발열 증상.
    • 발열 환자.
    • 발열이 심하다.
    • 발열을 낮추다.
    • 발열을 보이다.
    • 아이가 몸이 뜨거워지는 발열 증상을 보이면 곧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 감기에 걸리면 열이 나는 발열이나 한기가 느껴지는 오한을 겪게 된다.
    • 가: 내 이마에 손을 대 봐.
    • 나: 좀 뜨거운데? 발열이 심한 거 같아.
발원1 (發源)
발음 : [바뤈 ]
명사 名詞
  1. 1. はつげん【発源】
    흐르는 물이 처음 시작됨. 또는 그런 것.
    水が初めて流れ出ること。また、そのもの。
    • 강의 발원.
    • 바다의 발원.
    • 발원이 시작되다.
    • 발원을 찾다.
    • 발원을 하다.
    • 나는 물줄기의 발원을 찾아 물길을 거슬러 올라갔다.
    • 우리는 큰 강의 발원도 작은 샘에 불과하다는 것을 배웠다.
    • 가: 북한강과 남한강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나요?
    • 나: 두 강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발원에 따라 이름을 붙인 거랍니다.
  2. 2. はつげん【発源】
    사상이나 사회 현상 등이 처음 생기거나 일어남. 또는 그런 것.
    思想や社会現象などが初めて生じたり起きたりすること。また、そのこと。
    • 개혁의 발원.
    • 종교의 발원.
    • 혁명의 발원.
    • 발원이 되다.
    • 발원을 연구하다.
    • 기독교는 팔레스타인에서 발원이 되었다.
    • 학생들의 저항 운동이 발원이 되어서 시민 혁명이 일어났다.
    • 가: 니체의 사상적 발원이 무엇인지 알고 있나요?
    • 나: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고 들었습니다.
  3. 3. はつげん【発源】。みなもと【源】
    흐르는 물이 처음 시작된 곳.
    水が初めて流れ出るところ。
    • 강의 발원.
    • 발원 유역.
    • 발원 장소.
    • 발원을 찾다.
    • 발원에서 흐르다.
    • 낙동강은 발원인 강원도로부터 부산에 이르는 긴 강이다.
    • 금강산을 발원으로 하는 북한강은 남한강과 만나 한강을 이룬다.
    • 가: 이렇게 큰 한강은 어디서 시작됐을까요?
    • 나: 강원도 태백 부근이 발원이라고 합니다.
  4. 4. はつげん【発源】。みなもと【源】
    사상이나 사회 현상 등이 처음 생기거나 일어난 곳.
    思想や社会現象などが初めて生じたり起きたりするところ。
    • 사상의 발원.
    • 발원이 되다.
    • 발원을 방문하다.
    • 발원을 찾다.
    • 발원을 탐방하다.
    • 우리는 종교 개혁의 발원이 되는 곳으로 견학을 갔다.
    • 민주화 운동은 지방의 작은 도시를 발원으로 해서 전국으로 뻗어 나갔다.
    • 가: 왜 이렇게 더운 방에서 요가를 하는 거예요?
    • 나: 일부러 요가의 발원인 인도와 비슷한 환경을 만든 겁니다.
발원2 (發願)
발음 : [바뤈 ]
명사 名詞
ほつがん【発願】。りつがん【立願】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또는 그 소원.
神仏に願いをかけること。また、その願い。
  • 발원을 가지다.
  • 발원을 드리다.
  • 발원을 성취하다.
  • 발원을 올리다.
  • 어머니는 매일 새벽에 절에 올라가 부처님께 발원을 드렸다.
  • 가: 스님은 부처님께 뭐라고 비실까?
  • 나: 아마 나라의 안녕에 대한 발원을 올리실 거야.
발원지 (發源地)
발음 : [바뤈지 ]
명사 名詞
  1. 1. はつげんち【発源地】。みなもと【源】
    흐르는 물이 처음 시작된 곳.
    水の流れが最初に始まったところ。
    • 강의 발원지.
    • 물의 발원지.
    • 발원지 유역.
    • 발원지를 찾다.
    • 발원지에서 흐르다.
    • 백두산은 압록강 물줄기가 처음 시작되는 발원지이다.
    • 그 강의 발원지는 강원도 어느 산골의 작은 샘물이었다.
    • 가: 이 물은 저 물보다 맛이 더 좋은데?
    • 나: 발원지가 어딘지 한번 확인해 보자.
  2. 2. はつげんち【発源地】。みなもと【源】
    사상이나 사회 현상 등이 처음 생기거나 일어난 곳.
    思想や社会現象などが最初に生まれたり、起こったりしたところ。
    • 문명의 발원지.
    • 사상의 발원지.
    • 전쟁의 발원지.
    • 발원지가 되다.
    • 발원지를 찾다.
    • 인도는 불교가 처음 생겨난 발원지이다.
    • 이번에 조류 독감의 발원지는 홍콩으로 밝혀졌다.
    • 가: 이 일을 도대체 어떻게 해결할 겁니까?
    • 나: 이번 사태의 발원지를 꼭 밝혀 내서 문제를 해결하겠습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