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모 (不毛)
발음 : [불모 ]
명사 名詞
- 1. ふもう【不毛】땅이 거칠고 메말라 식물이 나거나 자라지 않음.土地がやせていて植物が生えたり育ったりしないこと。
- 불모 지대.
- 불모 지역.
- 불모의 땅.
- 불모의 도시.
- 불모의 사막.
- 그 곳의 토양은 척박해서 농작물이 전혀 자랄 수 없는 불모의 지대였다.
- 마을 주민들은 불모의 땅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멀리 있는 강물을 끌어왔다.
- 가: 물 한 방울 없는 불모의 지역에 어떻게 도시를 세웠을까?
- 나: 그게 바로 과학의 힘이지.
- ※ 주로 ‘불모의'로 쓴다.
- 2. ふもう【不毛】(비유적으로) 아무런 개발이나 발전이 되지 않은 상태.(比喩的に)開発や発展が何も行われていない状態。
- 불모의 시기.
- 불모의 시대.
- 불모를 개척하다.
- 불모나 다름없다.
- 불모에 가깝다.
- 이곳은 제대로 된 연구소도 하나 없을 정도로 과학 분야의 불모나 다름없었다.
- 피겨 스케이팅의 불모나 다름없는 한국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가 나온 것은 놀라운 일이다.
- 가: 우리나라에는 교회가 많은 것 같아.
- 나: 옛날에는 불모에 가까웠던 기독교가 어느덧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교로 성장했어.
불모지 (不毛地) ★
발음 : [불모지 ]
명사 名詞
- 1. ふもうのち【不毛の地】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植物が育たない、やせた地。
- 사막의 불모지.
- 불모지를 가꾸다.
- 불모지를 개척하다.
- 불모지를 일구다.
- 불모지로 버려지다.
- 그곳은 바람과 돌만이 가득해 농작물이 자랄 수 없는 불모지였다.
- 주민들은 척박한 불모지를 일궈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비옥한 땅으로 만들었다.
- 가: 화성 탐사 결과는 어떻습니까? 새로운 생명체가 있었습니까?
- 나: 사방이 돌멩이뿐인 불모지나 다름없었습니다.
- 참고어 황무지
- 2. ふもうのち【不毛の地】(비유적으로) 아무런 개발이나 발전이 되지 않은 곳. 또는 그런 상태.(比喩的に)開発や発展が何も行われていない場所。また、そのような状態。
- 기술의 불모지.
- 불모지를 개발하다.
- 불모지를 개척하다.
- 불모지나 다름없다.
- 불모지로 남다.
- 선교사들은 기독교의 불모지를 찾아 다니며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는 데 힘을 쏟았다.
- 과학 기술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은 투자와 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정보 산업 강국으로 성장하였다.
- 가: 경기 결과가 어떻게 됐습니까?
- 나: 축구 불모지가 축구 강대국인 브라질을 이겨 화제를 모았습니다.
불문 (不問)
발음 : [불문 ]
명사 名詞
- 1. ふもん【不問】묻거나 밝히지 않음.問い質さないこと。
- 과거 불문.
- 존재 불문.
- 불문을 깨다.
- 불문을 약속하다.
- 불문을 지키다. See More
- 정부는 경제 성장에 몰입하느라 환경 파괴에 대해서는 불문에 부쳤다.
- 상사가 시키는 일에는 불문의 자세로 임해야 하는 수직적인 회사의 구조에 직원들은 불만이 많다.
- 가: 사장님 나이를 불문에 부치는 이유가 뭐야?
- 나: 너무 어려서 권위가 서지 않을까 봐 밝히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어.
- 2. ふもん【不問】가리지 않음.問わないこと。
- 국내외 불문.
- 남녀 불문.
- 노소 불문.
- 동서양 불문.
- 종교 불문. See More
- 김치는 동서양을 불문 전 세계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 그는 남녀노소 불문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 '국민 가수'라는 호칭을 얻었다.
불문가지 (不問可知)
발음 : [불문가지 ]
명사 名詞
묻지 않아도 명백하게 알 수 있음.
聞かなくてもはっきり分かること。
- 불문가지의 결론.
- 불문가지의 사실.
- 불문가지의 일.
- 불문가지로 생각하다.
- 불문가지로 여기다.
- 신문 기사에는 기자의 관점뿐만 아니라 신문사의 관점도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 한 팀을 이끌어 나가는 감독이 신경을 써야 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님은 불문가지의 일이다.
- 가: 민준이가 오늘 피곤해 보이네.
- 나: 시험 기간이니 잠이 모자란 것은 불문가지야.
불문곡직 (不問曲直)
발음 : [불문곡찍 ]
활용 : 불문곡직이[불문곡찌기], 불문곡직도[불문곡찍또], 불문곡직만[불문곡찡만]
명사 名詞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음.
是非を問わないこと。
- 불문곡직 가두다.
- 불문곡직 비난하다.
- 불문곡직 잡다.
- 불문곡직 차단하다.
- 불문곡직 처벌하다.
- 우리 아버지는 꽉 막힌 분이라 당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는 불문곡직 말도 섞지 않았다.
- 선생님은 지각하는 학생들은 모두 게으르다며 지각한 이유를 묻지도 않고 불문곡직 벌을 주었다.
- 가: 손님, 불문곡직 화부터 내지 마시고 자초지종을 말씀해 주세요.
- 나: 점원의 태도가 너무 불친절하잖아요.
불문곡직하다 (不問曲直 하다)
발음 : [불문곡찌카다 ]
동사 動詞
ふもんにふす【不問に伏す】
옳고 그름을 묻거나 따지지 않다.
是非を問わない。
- 불문곡직하고 간언을 하다.
- 결과를 불문곡직하다.
- 사실 여부를 불문곡직하다.
- 상황을 불문곡직하다.
- 정황을 불문곡직하다.
- 김 감독은 경기 결과를 불문곡직하고 최선을 다한 선수들을 격려했다.
- 사장은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유를 불문곡직하고 직원들을 해고시켰다.
- 부자 동네만 골라서 불문곡직하고 상습적으로 물건을 훔친 범인이 경찰에 붙잡혔다.
- ※ 주로 '불문곡직하고'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불문곡직하다
불문법 (不文法)
발음 : [불문뻡 ]
활용 : 불문법이[불문뻐비], 불문법도[불문뻡또], 불문법만[불문뻠만]
명사 名詞
ふぶんほう【不文法】。ふぶんりつ【不文律】
문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지는 않으나 오랜 관습이나 이전의 판결 등을 바탕으로 하여 존재하는 법.
文書の形で書かれていないが、長い慣習や以前の判決などを根拠に存在する法。
- 불문법을 따르다.
- 불문법을 바탕으로 하다.
- 불문법을 인정하다.
- 불문법에 의하다.
- 불문법으로 통하다.
- 사법부는 제도의 허술함을 극복하기 위해 불문법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 신입 사원들이 입사 전에 합숙을 하는 것은 우리 회사에서 내려오는 일종의 불문법이다.
-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처벌을 받지 않더라도 불문법에 따라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을 수 있다.
- 가: 성문법이 불문법과 다른 점이 뭐예요?
- 나: 성문법은 문서의 형식을 갖춘 법이란다.
불문율 (不文律)
발음 : [불문뉼 ]
명사 名詞
- 1. ふぶんりつ【不文律】。ふぶんほう【不文法】문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지는 않으나 오랜 관습이나 이전의 판결 등을 바탕으로 하여 존재하는 법.文書の形を整えているわけではないが、長い慣習や以前の判決などに基づいて存在する法。
- 일종의 불문율.
- 하나의 불문율.
- 불문율이 되다.
- 불문율을 깨다.
- 불문율로 통하다.
-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된 행동은 관행이 되고, 그 관행은 이제 불문율이 되었다.
- 독재자는 언론의 자유를 정부가 막을 수 없다는 불문율을 깨고 언론 탄압을 했다.
- 유의어 불문법
- 2. ふぶんりつ【不文律】공식화되지는 않았으나 한 사회나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서로 받아들여 지키고 있는 규칙.公式化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が、社会や共同体の構成員が互いに了解の上で、守っている決まり。
- 회사의 불문율.
- 불문율을 갖다.
- 불문율로 삼다.
- 불문율로 여기다.
- 불문율로 통하다.
- 집안일은 모두 어머니가 맡아서 한다는 것은 우리 집에서는 불문율처럼 여겨지고 있다.
- 주인공은 미인이어야 한다는 불문율을 깨고 김 감독은 평범한 배우를 주인공으로 캐스팅했다.
-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이 결혼을 하면 직장을 그만둔다는 불문율은 사리진 지 오래다.
불문하다 (不問 하다)
발음 : [불문하다 ]
동사 動詞
- 1. ふもんにふす【不問に付す】묻거나 밝히지 않다.問い質さない。
- 불문한 과거.
- 계획을 불문하다.
- 사정을 불문하다.
- 상황을 불문하다.
- 이유를 불문하다.
- 선생님은 유민이가 왜 지각했는지를 불문하고 용서해 주었다.
- 화장품 모으기가 취미인 유민이는 신제품이 나오면 가격을 불문하고 모두 구입했다.
- 문형 : 1이 2를 불문하다
- 2. とわない【問わない】차이를 가리지 않다.差を選り分けない。
- 국가를 불문하다.
- 남녀노소를 불문하다.
- 동서양을 불문하다.
- 시대를 불문하다.
- 여야를 불문하다. See More
- 그의 소설은 시대를 불문하고 후세 사람들까지 읽는 명작이 되었다.
- 경기장에 모인 관중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한마음이 되어 우리 팀을 응원하였다.
- 가: 너는 어떤 음악을 즐겨 들어?
- 나: 나는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하게 듣는 편이야.
- 문형 : 1이 2를 불문하다
불미스럽다 (不美 스럽다)
발음 : [불미스럽따 ]
활용 : 불미스러운[불미스러운], 불미스러워[불미스러워], 불미스러우니[불미스러우니], 불미스럽습니다[불미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はしたない。みっともない
보기에 옳지 못하거나 떳떳하지 못한 데가 있다.
正しくなかったり後ろめたかったりするところがある。
- 불미스러운 관계.
- 불미스러운 사건.
- 불미스러운 소문.
- 불미스러운 일.
- 태도가 불미스럽다. See More
- 공무원들이 부정부패를 저지른 불미스러운 사건들이 밝혀졌다.
- 각자의 배우자가 따로 있음에도 불륜을 저지르는 그들의 관계는 매우 불미스러웠다.
- 가: 우리 회사에서 출시한 과자에서 세균이 검출됐대.
- 나: 정말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군. 당분간 회사 분위기가 안 좋을 것 같아.
- 문형 : 1이 불미스럽다
'한국어기초사전 > 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 체류, 불법화, 불법화되다, 불법화하다, 불벼락, 불변, 불변성, 불변하다, 불볕, 불볕더위 (0) | 2020.02.06 |
---|---|
불미하다, 불바다, 불발, 불발탄, 불발하다, 불법¹, 불법², 불법적¹, 불법적², 불법 주차 (0) | 2020.02.06 |
불면증, 불멸, 불멸하다, 불명, 불명료하다, 불명예, 불명예스럽다, 불명예 제대, 불명하다, 불명확하다 (0) | 2020.02.06 |
불만스럽다, 불만스레, 불만족, 불만족스럽다, 불만족하다, 불매¹, 불매², 불매하다¹, 불매하다², 불면 (0) | 2020.02.06 |
불룩하다¹, 불룩하다², 불륜, 불리, 불리-, 불리다¹, 불리다², 불리우다, 불리하다, 불만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