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人)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인’은 접미사이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외래어 다음에서는 띄어 쓰거나 붙여 쓸 수 있다.
접사 Phụ tố
nhân, người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Hậu tố thêm nghĩa 'người'.
  • 고용
  • 기업
  • 내국
  • 동양
  • 동일
  • See More
익살꾼
발음 : [익쌀꾼 ]
명사 Danh từ
người pha trò, người hài hước
다른 사람을 웃기는 재미있는 말이나 행동을 아주 잘하는 사람.
Người giỏi nói hay hành động thú vị để gây cười cho người khác.
  • 익살꾼의 농담.
  • 익살꾼의 웃음.
  • 익살꾼의 재치.
  • 익살꾼으로 불리다.
  • 익살꾼으로 인정받다.
  • 익살꾼은 무대 위에서 관중들을 쉴 새 없이 웃겼다.
  • 박 대리는 재미있는 농담으로 분위기를 잘 살리는 익살꾼이다.
  • 배우는 콧수염에 뿔테 안경을 쓴 익살꾼의 모습으로 무대에 섰다.
익살맞다
발음 : [익쌀맏따 ]
활용 : 익살맞은[익쌀마즌], 익살맞아[익쌀마자 ], 익살맞으니 [익쌀마즈니 ], 익살맞습니다[익쌀맏씀니다]
형용사 Tính từ
khôi hài, hài hước
다른 사람을 웃기려고 일부러 재미있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태도가 있다.
Có thái độ thể hiện lời nói hay hành động thú vị cố tình làm để gây cười cho người khác.
  • 익살맞은 배우.
  • 익살맞은 사람.
  • 익살맞은 아이.
  • 익살맞은 표정.
  • 익살맞은 행동.
  • See More
  • 배우의 익살맞은 연기를 보고 관객들은 크게 웃었다.
  • 축제에서 가수는 익살맞은 가사의 노래를 불러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 아기는 귀여운 춤을 추며 익살맞게 나타나 어른들의 사랑을 받았다.
  • 가: 난 저 개그맨이 참 좋아.
  • 나: 나도 그래. 행동이 참 익살맞게 웃기거든.
  • 문형 : 1이 익살맞다
익살스럽다
발음 : [익쌀스럽따 ]
활용 : 익살스러운[익쌀스러운], 익살스러워[익쌀스러워], 익살스러우니 [익쌀스러우니 ], 익살스럽습니다[익쌀스럽씀니다]
형용사 Tính từ
khôi hài, hài hước
다른 사람을 웃기려고 일부러 재미있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데가 있다.
Có lời nói hay hành động thú vị cố tình làm để gây cười cho người khác.
  • 익살스러운 눈빛.
  • 익살스러운 말투.
  • 익살스러운 웃음.
  • 익살스러운 개그맨.
  • 익살스러운 표정.
  • 반장은 익살스러운 목소리로 노래를 불러 친구들이 모두 크게 웃었다.
  • 거리의 화가는 사람의 얼굴을 익살스럽게 그려서 팔았다.
  • 지하철 광고는 영화를 익살스럽게 따라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 가: 너 왜 갑자기 수업 시간에 크게 웃은 거야?
  • 나: 옆에 있던 친구가 익살스러운 표정을 지어서 너무 웃겨서 그랬어.
  • 문형 : 1이 익살스럽다
익숙하다 ★★★
발음 : [익쑤카다 ]
활용 : 익숙한[익쑤칸], 익숙하여[익쑤카여](익숙해[익쑤캐]), 익숙하니[익쑤카니], 익숙합니다[익쑤캄니다]
형용사 Tính từ
  1. 1. quen thuộc, thành thục
    어떤 일을 여러 번 하여 서투르지 않다.
    Làm việc nào đó nhiều lần nên không bỡ ngỡ.
    • 익숙한 손길.
    • 익숙한 손놀림.
    • 익숙한 솜씨.
    • 기계에 익숙하다.
    • 다루는 데에 익숙하다.
    • 백화점 포장 코너의 직원은 익숙한 솜씨로 어머니께 드릴 선물을 포장해 주었다.
    • 나는 아직 운전에 익숙하지 않아 사고를 내고 말았다.
    • 가: 이거 이런 식으로 하면 되나요?
    • 나: 전에 이 일 해 본 적 있어요? 손놀림이 아주 익숙해 보이는데.
    • 문형 : 1이 2에/에게 익숙하다
  2. 2. quen
    어떤 것을 자주 보거나 겪어서 낯설지 않고 편하다.
    Thường xuyên nhìn thấy hay trải qua cái nào đó nên không lạ lẫm mà thoải mái.
    • 익숙한 사람.
    • 익숙한 사이.
    • 익숙한 일상.
    • 익숙한 환경.
    • 직장 생활에 익숙하다.
    • 그 둘은 고등학교 때부터 단짝이라 서로 매우 익숙한 사이이다.
    • 사람들은 익숙한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익숙한 대상을 더욱 신뢰하는 습관이 있다.
    • 가: 너 왜 이렇게 안절부절 해?
    • 나: 난 익숙하지 않은 곳이 불편해.
    • 문형 : 1이 2에/에게 익숙하다
익숙해지다
발음 : [익쑤캐지다 ]
활용 : 익숙해지어[익쑤캐지어/ 익쑤캐지여](익숙해져[익쑤캐저]), 익숙해지니[익쑤캐지니]
동사 Động từ
  1. 1. trở nên quen thuộc, trở nên thành thục
    어떤 일을 여러 번 하여 서투르지 않게 되다.
    Làm việc nào đó nhiều lần nên trở nên không còn lóng ngóng.
    • 익숙해진 일.
    • 기계에 익숙해지다.
    • 요리에 익숙해지다.
    • 운전에 익숙해지다.
    • 작업에 익숙해지다.
    • 처음에는 두렵지만 운전은 하면 할수록 점점 익숙해진다.
    • 승규는 금방 새로운 컴퓨터에 익숙해져서 써 보지 않았던 프로그램들도 잘 활용하였다.
    • 가: 책으로는 많이 봤지만 직접 기계를 만지는 것은 처음이라 어렵네요.
    • 나: 매일 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걸세.
    • 문형 : 1이 2에 익숙해지다
  2. 2. trở nên quen thuộc, trở nên quen
    어떤 것을 자주 보거나 겪어서 낯설지 않고 편하게 되다.
    Thường xuyên nhìn thấy hay trải qua cái nào đó nên không lạ lẫm mà trở nên thoải mái.
    • 익숙해진 생활.
    • 분위기에 익숙해지다.
    • 음식에 익숙해지다.
    • 추위에 익숙해지다.
    • 환경에 익숙해지다.
    • 한국에 온 지 일 년이 지나자 그는 한국 음식에도 익숙해졌다.
    • 구두는 처음 신었을 때는 불편하지만 신다 보면 발에 익숙해진다.
    • 가: 아이가 갑작스러운 외국 생활에 잘 적응할지 걱정이에요.
    • 나: 학교도 다니고 친구도 생기면서 점점 익숙해질 테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 문형 : 1이 2에 익숙해지다
익일 (翌日)
발음 : [이길 ]
명사 Danh từ
ngày hôm sau
어느 날의 바로 다음 날.
Ngày ngay sau ngày nào đó.
  • 익일 배송.
  • 익일 택배.
  • 익일 특급.
  • 익일에 시작하다.
  • 익일에 처리하다.
  • 손님, 익일까지 입금하시면 이자율이 더 높습니다.
  • 오늘 주문하시면 곧바로 상품을 발송하여 익일 배송되므로 내일 상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이십 일부터 익일 오후 두 시까지 입금하지 않으시면 계약이 해지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익혀-
(익혀, 익혀서, 익혔다, 익혀라)→익히다¹, 익히다²
익히
발음 : [이키 ]
부사 Phó từ
  1. 1. một cách quen thuộc
    어떤 일을 여러 번 해서 서투르지 않고 익숙하게.
    Một cách không lóng ngóng mà quen thuộc vì làm việc nào đó nhiều lần.
    • 익히 꿰차다.
    • 익히 다니다.
    • 익히 다루다.
    • 익히 만지다.
    • 익히 배우다.
    • 자료 정리는 직원들이 익히 처리할 수 있는 일이었다.
    • 형은 기계를 예전부터 익히 다뤄 본 경험이 있어 공장에 취직했다.
    • 가: 시험은 잘 봤어?
    • 나: 공부할 때 비슷한 문제들을 공부해서 익히 쉽게 풀 수 있었지.
  2. 2. một cách quen thuộc
    자주 보거나 듣거나 겪어서 낯설지 않게.
    Một cách không lạ lẫm vì thường xuyên nhìn, nghe hay trải qua.
    • 익히 듣다.
    • 익히 보다.
    • 익히 알다.
    • 익히 하다.
    • 김 교수의 명성은 여러 사람에게 익히 들어 그의 업적이 새삼스럽지 않았다.
    • 여기 도로가 막히는 것은 익히 들었지만 이 정도로 심하게 막히는지는 몰랐다.
    • 가: 지수 씨, 이분이 이번에 상을 받으신 분이에요.
    • 나: 축하합니다. 승규 씨한테 익히 들어서 잘 알고 있었습니다.
익히-
(익히고, 익히는데, 익히니, 익히면, 익히는, 익힌, 익힐, 익힙니다)→익히다¹, 익히다²
익히다1 ★★
발음 : [이키다 ]
활용 : 익히어[이키어/ 이키여](익혀[이켜]), 익히니[이키니]
동사 Động từ
  1. 1. làm chín, nấu chín
    고기, 채소, 곡식 등의 날것을 열을 가해 맛과 성질이 달라지게 하다.
    Cho thêm nhiệt đối với thứ sống như thịt, rau cải, ngũ cốc… làm cho vị và tính chất khác đi.
    • 익힌 고기.
    • 익힌 음식.
    • 익힌 채소.
    • 불에 익히다.
    • 익히다.
    • See More
    • 민준이는 철판 위에 고기를 올려 놓고 익히기 시작했다.
    • 야채의 비타민을 제대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살짝 익히는 것이 좋다.
    • 가: 새우는 어떻게 익혀야 돼요?
    • 나: 센 불에 익혀야 껍질이 잘 벗겨져요.
    • 문형 : 1이 2를 익히다
  2. 2. muối, ủ chín
    김치, 술, 장 등이 맛이 들게 하다.
    Làm cho kim chi, rượu, tương… có vị.
    • 김치를 익히다.
    • 술을 익히다.
    • 서서히 익히다.
    • 익히다.
    • 막걸리는 쌀이나 밀을 오랜 시간 발효시켜 익힌 술이다.
    • 김치를 잘 익히기 위해서는 항아리에 넣어 땅속에 묻어 두어야 한다.
    • 가: 너네 집은 장을 직접 담그니?
    • 나: 응, 어머니가 옹기에다 장을 익히셔.
    • 문형 : 1이 2를 익히다
익히다2 ★★
발음 : [이키다 ]
활용 : 익히어[이키어/ 이키여](익혀[이켜]), 익히니[이키니]
동사 Động từ
  1. 1. làm cho quen thuộc
    자주 경험하여 조금도 서투르지 않게 하다.
    Làm cho kinh qua thường xuyên nên không còn lóng ngóng tí nào.
    • 감각을 익히다.
    • 기술을 익히다.
    • 말을 익히다.
    • 방법을 익히다.
    • 몸에 익히다.
    • See More
    • 대학 때부터 취미로 익힌 그의 기타 솜씨는 수준급이었다.
    • 오빠는 공고에 다니면서 기술을 익혀서 졸업 후에 바로 공장에 취직했다.
    • 가: 한국어가 너무 어려워요.
    • 나: 한국어를 잘 익히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해요.
    • 문형 : 1이 2를 익히다
  2. 2. làm cho quen
    자주 경험하여 낯설지 않게 하다.
    Làm cho kinh qua thường xuyên nên không lạ lẫm.
    • 낯을 익히다.
    • 모습을 익히다.
    • 안면을 익히다.
    • 얼굴을 익히다.
    • 이름을 익히다.
    • 선생님은 학생들의 이름과 얼굴을 익히는 데만 해도 며칠이 걸렸다.
    • 어머니는 새로 이사 간 동네 사람들을 익히려고 집집마다 떡을 돌리셨다.
    • 가: 산길을 잘 아는군요.
    • 나: 많이 다니던 길이라 지형을 잘 익혔거든요.
    • 문형 : 1이 2를 익히다
1
발음 : [인 ]
명사 Danh từ
thói quen
여러 번 되풀이해서 아주 익숙해진 버릇.
Tật được lặp lại nhiều lần nên đã trở nên quá quen thuộc.
  • 이 박이다.
  • 조종사는 항공기 조종 기술을 매일 이 박이도록 연습했다.
  • 어머니는 아들에게 이 박일 때까지 정직하라고 반복해서 말했다.
2 (人)
발음 : [인 ]
명사 Danh từ
  1. 1. nhân
    한자어로 ‘사람’을 이르는 말.
    Từ Hán chỉ 'người'.
    •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사람, 즉 을 중시했다.
    • 옛 사람들은 자연이 곧 이요, 이 곧 천으로 생각했다.
    • 자기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남을 해치는 자는 악한 중의 하나이다.
    • 가: 군중들은 의 장막을 치고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 나: 네, 경찰들이 건물로 진입하는 것을 막았다고 하네요.
    • ※ 주로 한문 투의 글에서 쓴다.
    • 참고어 -인
  2. 2. người
    사람을 세는 단위.
    Đơn vị đếm người.
    • 대표 삼 .
    • 가족.
    • 으로 구성되다.
    • 시인은 독립 운동 때, 민족 대표 삼십삼 인의 한 사람이었다.
    • 다음 달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삼 인의 화가들의 작품 전시회가 열린다.
    • 회원들과 대화를 준비하기 위해서 협회는 십 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가: 가족이 얼마나 됩니까?
    • 나: 저희는 오 의 가족입니다.
    • ※ 수량을 나타내는 한자어 뒤에 쓴다.
    • 참고어 명⁴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