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니다
참고 :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しようというんです【しようと言うんです】
(아주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권유나 제안의 말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전달함을 나타내는 표현.
(上称)話し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勧誘や提案の話を客観化して聞き手に伝え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아이들이 여름에 바다로 놀러 가잡니다
  • 아내는 이번 주말에 집들이를 하잡니다.
  • 식구들이 오랜만에 불고기를 먹잡니다.
  • 가: 승규야, 내일 혹시 다른 약속이라도 생겼니?
  • 나: 네. 갑자기 친구가 심야 영화를 보잡니다.
  • ※ ‘-자고 합니다’가 줄어든 말이다.
-잡디까
참고 :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しようといってきたんですか【しようと言ってきたんですか】
(아주높임으로) 듣는 사람이 전에 직접 들은 제안의 내용을 물을 때 쓰는 표현.
(上称)聞き手が過去に直接聞いた提案の内容を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왜 위에서 이런 일은 조용조용 넘어가잡디까?
  • 맨날 그렇게 바쁘다면서 대체 언제 만나잡디까?
  • 내가 언제 당신하고 이야기하잡디까? 책임자를 불러요, 책임자를.
  • 가: 여보, 지수가 내일 병원에 몇 시에 가잡디까?
  • 나: 세 시라고 그러던데.
  • ※ ‘-자고 합디까’가 줄어든 말이다.
-잡디다
참고 :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しようといってきたんです【しようと言ってきたんです】
(아주높임으로) 이전에 직접 들은 권유의 내용을 전할 때 쓰는 표현.
(上称)過去に直接聞いた勧誘の内容を伝えるのに用いる表現。
  • 집에 가려고 했는데 친구가 술 한잔 하잡디다.
  • 남편이 비싸다고 그 소파는 사지 말잡디다.
  • 승규가 저녁에는 시간이 안 되니 점심 때 만나잡디다.
  • 가: 왜 이렇게 일찍 왔어?
  • 나: 지수가 춥다고 일찍 가잡디다.
잡다 ★★★
발음 : [잡따 ]
활용 : 잡아[자바], 잡으니[자브니], 잡는[잠는]
동사 動詞
  1. 1. にぎる【握る】。つかむ【掴む・攫む】。とる【取る】。つかまえる【摑まえる・捉まえる】。とらえる【捕える】
    손으로 쥐고 놓지 않다.
    手でしっかりと握り持つ。 
    • 잡은 손.
    • 물건을 잡다.
    • 손목을 잡다.
    • 팔을 잡다.
    • 잡다.
    • See More
    •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는 유민이의 팔을 꽉 잡았다.
    • 화가 난 김 부장은 박 실장의 넥타이를 거칠게 잡아 끌어당겼다.
    • 아이가 고구마 줄기를 잡아서 죽 당기니 고구마가 네댓 개 딸려 올라왔다.
    • 산의 암벽을 밧줄을 잡고 올라가던 한 등산객이 손이 미끄러져 추락했다.
    • 가: 줄다리기 경기에서 우리 팀이 꼭 이겼으면 좋겠어요!
    • 나: 자, 줄을 단단히 잡고 하나, 둘, 셋 하면 같이 당기는 겁니다.
    • 문형 : 1이 2를 잡다
  2. 2. とる【獲る】。つかまえる【捕まえる】。とらえる【捕える】
    붙들어 손에 넣다.
    取り押さえて手に入れる。
    • 잡은 고기.
    • 동물을 잡다.
    • 도둑을 잡다.
    • 매미를 잡다.
    • 벌레를 잡다.
    • See More
    • 경찰은 잠복근무 끝에 도둑을 잡았다.
    • 김 노인은 산에서 뱀을 잡아 시장에 팔았다.
    • 어미 새는 잡은 벌레를 새끼 새의 입에 넣어 주었다.
    • 아빠는 그물로 고기를 잡아서 매운탕을 끓여 주셨다.
    • 가: 형, 매미 좀 잡아 줘.
    • 나: 매미를 잡으려면 채가 있어야 해. 채를 가져 오면 잡아 줄게.
    • 문형 : 1이 2를 잡다
  3. 3. とさつする【屠殺する】。つぶす【潰す】
    짐승을 죽이다.
    家畜を殺す。
    • 잡은 돼지.
    • 개를 잡다.
    • 닭을 잡다.
    • 소를 잡다.
    • 양을 잡다.
    • 할머니는 삼계탕을 끓이려고 닭을 잡으셨다.
    • 어머니는 내가 고시에 합격하자 돼지를 잡아 마을 잔치를 벌였다.
    • 가: 날씨가 너무 더워서 몸이 허해진 것 같네.
    • 나: 김 영감이 복날에 개를 잡는다던데 보신탕 먹고 몸보신 좀 하세.
    • 문형 : 1이 2를 잡다
  4. 4. にぎる【握る】
    권한 등을 차지하다.
    権力などを自分のものとする。
    • 잡은 권력.
    • 권세를 잡다.
    • 실권을 잡다.
    • 정권을 잡다.
    • 주도권을 잡다.
    • 김 의원은 권력을 잡은 후 오만해졌다.
    • 우리 당은 이번 선거의 승리로 확실하게 정권을 잡았다.
    • 우리 팀은 경기 초반부터 주도권을 잡고 상대편을 압박했다.
    • 가: 김 의원 너무 오만해졌어.
    • 나: 그러게 말이야. 권력을 잡더니 어깨에 힘이 잔뜩 들어갔어.
    • 문형 : 1이 2를 잡다
  5. 5. にぎる【握る】。つかむ【掴む・攫む】
    돈이나 재물 등을 벌거나 구하여 차지하다.
    金や財物などを稼いだり手に入れたりする。
    • 운으로 잡은 천금.
    • 천금을 잡다.
    • 부동산으로 큰돈을 잡다.
    • 큰 재산을 잡다.
    • 한밑천을 잡다.
    • 김 사장은 땅을 비싸게 팔아 한밑천을 잡았다.
    • 금광으로 천금을 잡아 보겠다는 사람들이 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 박 노인은 노력 없이 쉽게 천금을 잡으려고 부동산 투기를 했다.
    • 문형 : 1이 2를 잡다
  6. 6. にぎる【握る】。つかむ【掴む・攫む】。とらえる【捉える】
    실마리, 요점, 증거 등을 찾아내거나 알아내다.
    糸口、要点、証拠などを見つけたり把握したりする。
    • 잡은 단서.
    • 가닥을 잡다.
    • 갈피를 잡다.
    • 감을 잡다.
    • 실마리를 잡다.
    • See More
    • 경찰은 이번 사건을 해결할 단서를 잡았다.
    • 김 박사는 갑작스러운 사고 소식에 생각의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란스러워 했다.
    • 가: 감 잡았어! 이 문제는 이렇게 풀면 되는 거야!
    • 나: 와! 계속 붙잡고 씨름하더니 드디어 알아 냈구나!
    • 문형 : 1이 2를 잡다
  7. 7. つかまえる【捕まえる】。ひろう【拾う】
    자동차 등을 타기 위하여 세우다.
    車などを乗るために呼び止める。
    • 잡은 버스.
    • 차를 잡다.
    • 택시를 잡다.
    • 트럭을 잡다.
    • 화물차를 잡다.
    • 어제는 주말이라 차를 잡기가 쉽지 않았다.
    • 늦게 일어난 김 대리는 출근길에 택시를 잡지 못해서 지각을 했다.
    • 급히 정거장에 도착한 우리는 막 떠나려는 버스를 겨우 잡아서 탈 수 있었다.
    • 가: 두 시까지 늦지 말고 와.
    • 나: 두 시? 아이코, 택시를 잡아야 하겠네.
    • 문형 : 1이 2를 잡다
  8. 8. おさえる【押さえる・押える】。とらえる【捉える】。とる【撮る】
    순간적인 장면이나 모습을 확인하거나 찍다.
    瞬間的な場面や姿を確認したり撮影したりする。
    • 모습을 잡다.
    • 현장을 잡다.
    • 비디오로 잡다.
    • 사진기로 잡다.
    • 카메라로 잡다.
    • 남편은 카메라로 아기의 웃는 모습을 잡았다.
    • 연구 팀은 해저 화산 폭발의 생생한 현장을 잡아 공개했다.
    • 사진 작가는 모델의 매력적인 모습을 잡으려고 셔터를 눌러댔다.
    • 가: 김 형사, 지금 쳐 들어 갈까?
    • 나: 좀 더 기다리자. 생생한 범행 현장을 잡아야 해.
    • 문형 : 1이 2를 잡다
  9. 9. とらえる【捉える】。つかまえる【捉まえる】
    일이나 기회 등을 얻다.
    仕事や機会などを得る。
    • 기회를 잡다.
    • 때를 잡다.
    • 일자리를 잡다.
    • 주전을 잡다.
    • 직장을 잡다.
    • 나는 대학 졸업 후 바로 직장을 잡았다.
    • 박 선수는 우연히 얻은 기회를 잘 잡아 마침내 팀의 주전 선수가 되었다.
    • 가: 요즘은 경기가 안 좋아서 일자리 잡기가 어려워요.
    • 나: 상황 탓만 하지 말고 더 노력을 해 보렴.
    • 문형 : 1이 2를 잡다
  10. 10. にぎる【握る】。とらえる【捉える】
    남의 약점이나 흠 등을 찾거나 알아내어 이용하다.
    人の弱点や欠点などを見つけて利用する。
    • 잡은 약점.
    • 단점을 잡다.
    • 말꼬리를 잡다.
    • 트집을 잡다.
    • 흠을 잡다.
    • 김 대리는 자꾸 내 말꼬리를 잡고 싸움을 걸었다.
    • 최 여사는 며느리의 행동 하나하나를 트집 잡아 혼을 냈다.
    • 가: 권 작가의 이번 작품은 정말 완벽해.
    • 나: 맞아. 흠을 잡을 데가 없어.
    • 문형 : 1이 2를 잡다
  11. 11. とる【取る】
    노름 등에서 어떤 끗수나 패를 가지다.
    ばくちなどで点数や札を持つ。
    • 잡은 끗 수.
    • 나쁜 카드를 잡다.
    • 높은 끗을 잡다.
    • 땡을 잡다.
    • 좋은 패를 잡다.
    • 아홉 끗을 잡았으니 이번 판은 무조건 내 승리이다.
    • 땡만 잡으면 지금까지 잃은 돈을 모두 만회할 수 있을 것이다.
    • 가: 노름으로 돈 벌 생각은 그만해.
    • 나: 좋은 패를 잡아서 한판만 크게 따면 그만둘 거야.
    • 문형 : 1이 2를 잡다
  12. 12. ひきとめる【引き止める・引き留める】
    사람을 떠나지 못하게 말리다.
    人が離れないようにする。
    • 잡은 기술자.
    • 남편을 잡다.
    • 사람을 잡다.
    • 여자를 잡다.
    • 간곡히 잡다.
    • 민준은 그녀를 더 이상 잡지 않고자 다짐했다.
    • 김 노인은 떠나려는 손님을 잡아 하루 더 묵어 가게 하였다.
    • 가: 선배, 민준이가 팀에서 나간다고 하면 더 이상 잡지 마세요.
    • 나: 그래, 알았어. 자꾸 잡으면 마음만 더 멀어지겠지.
    • 문형 : 1이 2를 잡다
  13. 13. とる【取る】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ある状態を維持する。
    • 잡은 수평.
    • 균형을 잡다.
    • 무게 중심을 잡다.
    • 중심을 잡다.
    • 평형을 잡다.
    • 넘어질 뻔한 박 선수가 중심을 잡느라고 몸을 비틀거렸다.
    • 버스가 심하게 흔들려서 나는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넘어졌다.
    • 가: 오빠, 제가 자전거 탈 때 자꾸 넘어져요.
    • 나: 자전거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몸의 무게 중심을 잘 잡는 게 중요해.
    • 문형 : 1이 2를 잡다
  14. 14. とる【取る】
    노래 등을 제 박자와 음정에 맞게 부르다.
    歌などを決まっている拍子や調子に合わせて歌う。
    • 잡은 박자.
    • 가락을 잡다.
    • 음을 잡다.
    • 음정을 잡다.
    • 첫 음을 낮게 잡다.
    • 그는 여유 있게 박자를 잡고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다.
    • 노래방에 간 김 부장은 음을 너무 높게 잡아서 삑 소리를 냈다.
    • 처음엔 가락을 못 잡더니 한 번 다 치고 다니 금세 다른 친구들이랑 가락을 맞추네요.
    • 가: 승규가 드럼을 잘 치네요?
    • 나: 응, 처음 밴드에 들어 왔을 때에는 박자를 잘 못 잡더니 연습을 많이 했나 봐.
    • 문형 : 1이 2를 잡다
  15. 15. とる【取る・採る】。たてる【立てる】。いれる【入れる】
    계획, 의견, 날짜 등을 정하다.
    計画、意見、日程などを決める。
    • 잡은 날짜.
    • 계획을 잡다.
    • 길을 잡다.
    • 방향을 잡다.
    • 숙소를 잡다.
    • See More
    • 우리 부부는 이번 달 말로 여행 일정을 잡았다.
    • 김 박사는 새 연구 주제를 잡고 자료 조사를 하기 시작했다.
    • 가: 유민아, 이번 방학 때 특별한 계획이라도 있니?
    • 나: 응. 언니랑 제주도로 여행 계획을 잡았어.
    • 문형 : 1이 2를 잡다, 1이 2를 3으로 잡다
  16. 16. とる【取る】
    사람이나 사진기 앞에서 자세를 취하다.
    人やカメラの前で姿勢を整える。
    • 잡은 자세.
    • 자세를 잡다.
    • 폼을 잡다.
    • 오랫동안 잡다.
    • 편안하게 잡다.
    • 모델은 카메라 앞에서 능숙하게 여러 자세를 잡았다.
    • 아이가 사진기 앞에서 모델처럼 폼을 잡는 모습이 귀여웠다.
    • 가: 자, 이제 사진 찍을게. 다들 멋진 자세를 잡아 보자.
    • 나: 우리 모두 하늘을 향해 두 팔을 활짝 펴는 게 어떨까?
    • 문형 : 1이 2를 잡다
  17. 17. おさえる【抑える】。よくしする【抑止する】
    기세를 누그러뜨리다.
    勢いをそぐ。
    • 잡은 물가.
    • 불길을 잡다.
    • 열기를 잡다.
    • 인플레이션을 잡다.
    • 투기 열풍을 잡다.
    • 부동산 열기를 초기에 잡으려면 전세 가격을 낮춰야 한다.
    • 불길을 잡지 못한 소방대원들은 주민들을 긴급 대피시켰다.
    • 정부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공공요금을 최대한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 가: 요즘 부동산 경기가 너무 과열되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해.
    • 나: 정부에서 이제 곧 인플레를 잡으려고 금리를 인상할 거야.
    • 문형 : 1이 2를 잡다
  18. 18. ひきしめる【引き締める】
    마음을 바르게 하거나 안정된 상태를 이루다.
    心を改めたり安定させたりする。
    • 다시 잡은 마음.
    • 마음을 잡고 도전하다.
    • 마음을 잡으면서 회복하다.
    • 마음을 잡다.
    • 단단히 잡다.
    • 한동안 방황하던 형은 다시 마음을 잡고 공부에만 집중했다.
    • 착실하게 마음을 잡은 남편은 술도 안 하고 아이들과도 잘 놀아 주었다.
    • 가: 요즘 내가 위도 쓰리고 간도 나빠졌어. 이제 건강 좀 챙겨야겠어.
    • 나: 너 몸 건강해지려면 마음부터 잡아야 해. 매일 술 마시고 새벽까지 컴퓨터 게임하고 놀면 어떻게 해. 이제는 좀 착실하게 살아.
    • 문형 : 1이 2를 잡다
  19. 19. とる【取る】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굽거나 잘못된 것을 바르게 만들다.
    ある一方に傾いたり曲がったり間違えたりしたことを正しくする。
    • 잡은 기강.
    • 균형을 잡다.
    • 순서를 잡다.
    • 질서를 잡다.
    • 위계를 잡다.
    • 이번 훈련은 군의 해이해진 기강을 잡기 위한 것이었다.
    • 김 의원은 진보와 보수를 모두 비판하며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가: 이제 더 이상 이 문제를 덮어 둘 수는 없어.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해.
    • 나: 맞아. 여기서 질서를 제대로 잡지 않으면 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거야.
    • 문형 : 1이 2를 잡다
  20. 20.
    좋지 않은 말로 남을 곤경에 빠뜨리다.
    良くないことを言って、人を苦境に立たせる。
    • 누구를 잡다.
    • 사람을 잡다.
    • 상대 회사를 잡다.
    • 생사람을 잡다.
    • 후배를 잡다.
    • 경찰서에서 박 씨는 생사람 잡지 말라고 펄펄 뛰며 화를 내었다.
    • 그녀의 독한 말을 들으니 그동안 후배 직원들 여럿 잡았겠다 싶었다.
    • 가: 당신이 내 물건 훔쳤잖아!
    • 나: 이 사람이 죄 없는 사람을 잡으려고 작정을 했네! 내가 당신 물건을 훔쳤다는 증거 있어?
    • 문형 : 1이 2를 잡다
  21. 21. とる【取る】
    빚을 대신할 수 있는 담보로 맡다.
    借金などの担保として提供する。
    • 잡은 집문서.
    • 땅을 잡다.
    • 시계를 잡다.
    • 집을 잡다.
    • 담보로 잡다.
    • 집주인은 보증금을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었다.
    • 나는 집을 담보물로 잡았다가 빚을 갚지 못해 거리로 나앉았다.
    • 가: 은행에서 대출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 나: 담보로 잡는 게 뭐냐에 따라 다르겠지.
    • 문형 : 1이 2를 3으로 잡다
  22. 22. みつもる【見積もる】
    어림하거나 짐작하여 기간이나 수량 등을 헤아리다.
    予測して期間や数量などを計算する。
    • 백으로 잡다.
    • 한 달로 잡다.
    • 길게 잡다.
    • 넉넉하게 잡다.
    • 작게 잡다.
    • 아무리 짧게 잡아도 공사는 삼 개월은 걸릴 것이다.
    • 한 반을 서른 명으로 잡으면 한 학년이 이백 명 정도 된다.
    • 가: 시험이 다음 주인데 대체 언제 공부할래?
    • 나: 한 과목당 공부 시간을 하루로 잡으면 충분해요.
    • 문형 : 1이 2를 3으로 잡다, 1이 2를 3-게 잡다
  23. 23. とる【採る】。する【為る】
    자리, 방향, 시기 등을 정하다.
    席、方向、時期などを決める。
    • 가을로 잡다.
    • 남쪽으로 잡다.
    • 다음 달로 잡다.
    • 지방으로 잡다.
    • 해외로 잡다.
    • 우리는 결혼식 날짜를 내년 봄으로 잡았다.
    • 나는 아버지의 묘를 양지바른 곳에 잡아서 모셨다.
    • 가: 어느 쪽으로 수색을 펼칠까요?
    • 나: 일단 동쪽으로 방향을 잡고 움직입시다.
    • 문형 : 1이 2를 3으로 잡다, 1이 2를 3에 잡다
  24. 24. する【為る】
    어떤 수나 가치 등을 기준으로 세우다.
    ある数や価値ばどを基準として用いる。
    • 수를 잡다.
    • 기준으로 잡다.
    • 낮게 잡다.
    • 높게 잡다.
    • 크게 잡다.
    • 관람객은 여자를 백으로 잡았을 때 남자가 칠십오 명이다.
    • 우리 마을의 인구 비율은 노인을 십으로 잡았을 때 청년은 셋에 불과하다.
    • 가: 요즘 초등학교에는 여자 선생님이 훨씬 많다고 합니다.
    • 나: 맞아요, 보통 여자 선생님을 열 명으로 잡으면 남자 선생님은 두 명 정도에요.
    • 문형 : 1이 2를 3으로 잡다
  25. 25. とる【取る】。つける【付ける】
    주름 등을 만들다.
    折り目などを作る。
    • 잡은 치마 주름.
    • 허리 부분에 주름을 잡아 넣다.
    • 주름을 잡다.
    • 옷에 주름을 잡다.
    • 이마에 주름을 잡다.
    • 선생님은 이마에 주름을 잡고 인상을 썼다.
    • 어머니는 다리미로 바지에 주름을 잡아 주셨다.
    • 가: 왜 이마에 주름을 잡고 있어? 무슨 걱정이라도 있니?
    • 나: 네, 집에서 나올 때 문을 잘 잠갔는지 생각이 안 나요. 조금 걱정이 되네요.
    • 문형 : 1이 2에 3을 잡다
잡다하다 (雜多 하다)
발음 : [잡따하다 ]
활용 : 잡다한[잡따한], 잡다하여[잡따하여](잡다해[잡따해]), 잡다하니[잡따하니], 잡다합니다[잡따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ざっただ【雑多だ】
여러 가지 잡스러운 것이 뒤섞여 어지럽고 복잡하다.
いろいろなものが入りまじって、複雑だ。
  • 잡다한 문제.
  • 잡다한 물품.
  • 잡다한 부분.
  • 잡다한 사건.
  • 잡다한 상품.
  • See More
  • 승규에게는 해결해야 할 크고 작은 잡다한 문제가 많다.
  • 우리는 인터넷으로 온갖 종류의 잡다한 정보까지도 다 찾을 수 있다.
  • 지수는 이런 잡다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이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
  • 문형 : 1이 잡다하다
잡담 (雜談)
발음 : [잡땀 ]
명사 名詞
ざつだん【雑談】。むだばなし【無駄話・徒話】
실속 없이 주고받는 말.
役に立たないおしゃべり。
  • 시시한 잡담.
  • 잡담 내용.
  • 잡담이 계속되다.
  • 잡담을 그만하다.
  • 잡담을 나누다.
  • See More
  • 열띤 토론의 회의는 어느새 쓸데없는 잡담으로 이어졌다.
  • 두 사람은 어제 밤에 본 드라마 이야기로 잡담을 늘어놓았다.
  • 승규와 민준은 수업 시간에 잡담을 하다가 선생님께 혼이 났다.
잡담하다 (雜談 하다)
발음 : [잡땀하다 ]
동사 動詞
ざつだんする【雑談する】。むだばなしする【無駄話する・徒話する】
실속 없이 이런저런 말을 주고받다.
役に立たないおしゃべりをする。
  • 잡담하는 모습.
  • 잡담하는 소리.
  • 동료와 잡담하다.
  • 손님과 잡담하다.
  • 친구와 잡담하다.
  • See More
  • 동생은 자기 방에서 세 시간째 친구와 전화로 잡담하고 있다.
  • 김 과장은 업무 시간에 잠깐씩 동료들과 잡담하며 긴장을 풀었다.
  • 승규는 도서관에서 사람들의 잡담하는 소리 때문에 공부에 집중할 수가 없었다.
  • 문형 : 1이 (2와) 잡담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잡동사니 (雜 동사니)
발음 : [잡똥사니 ]
명사 名詞
  1. 1. がらくた
    잡스러운 것이 뒤섞여 별로 쓸모가 없는 것.
    いろいろなものが入りまじって、あまり役に立たないもの。
    • 온갖 잡동사니.
    • 잡동사니 물건.
    • 잡동사니 우편물.
    • 잡동사니 이삿짐.
    • 잡동사니 정보.
    • See More
    • 우리 동네 슈퍼에서는 온갖 잡동사니를 다 판다.
    • 승규는 창고에 쌓여 있는 각종 잡동사니들을 정리했다.
    • 민준이의 방에는 갖가지 잡동사니들이 너저분하게 널려 있었다.
  2. 2. ざった【雑多】
    (비유적으로) 자잘한 일.
    (比喩的に)細々としたこと。
    • 잡동사니 심부름.
    • 잡동사니 업무.
    • 잡동사니 직업.
    • 잡동사니 집안일.
    • 잡동사니 회의.
    • 지수는 주말에 설거지, 빨래 등의 잡동사니 집안일을 했다.
    • 신입 사원 민준 씨는 아직 복사나 심부름 등의 간단한 잡동사니 업무를 한다.
잡목 (雜木)
발음 : [잠목 ]
활용 : 잡목이[잡모기], 잡목도[잡목또], 잡목만[잡몽만]
명사 名詞
  1. 1. ぞうき・ざつぼく【雑木】
    다른 나무와 함께 섞여서 자라는 여러 가지 나무.
    色々な木と混じって成育する雑多な木。
    • 잡목 숲.
    • 잡목이 뒤엉키다.
    • 잡목이 우거지다.
    • 잡목이 자라다.
    • 잡목을 조사하다.
    • 그 숲에는 잡목들이 빽빽하게 자라고 있다.
    • 그 산에는 여러 가지 잡목이 한데 심어져 있었다.
    • 우리 집 뒷산에는 여러 종류의 나무가 어우러진 잡목 숲이 우거져 있다.
  2. 2. ぞうき・ざつぼく【雑木】
    경제적으로 쓸모가 적거나 중요하지 않은 여러 가지 나무.
    用材にはならない、重要でない雑多な木。
    • 숲의 잡목.
    • 잡목을 베다.
    • 잡목을 솎다.
    • 잡목에 표시하다.
    • 잡목으로 우거지다.
    • 이 나무는 아무 데도 쓸 수 없는 잡목이다.
    • 홍수로 산에 있던 잡목들이 물에 떠밀려 내려왔다.
    • 아버지는 땔감으로도 쓰지 못하는 잡목을 베어 왔다고 나를 혼내셨다.
잡무 (雜務)
발음 : [잠무 ]
명사 名詞
ざつむ【雑務】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사무나 일.
細々とした色々の事務や仕事。
  • 자질구레한 잡무.
  • 잡무가 많다.
  • 잡무를 담당하다.
  • 잡무를 처리하다.
  • 잡무에서 벗어나다.
  • 나는 사무실 청소와 같은 잡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 교사들은 학생들 교육 이외에 행정 업무와 같은 잡무도 해야 한다.
  • 가: 많이 바쁘세요?
  • 나: 이것저것 자질구레한 잡무가 많아서 좀 바쁘네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