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長子)
발음 : [장ː자 ]
명사 名詞
ちょうし【長子】。ちょうなん【長男】
둘 이상의 아들 가운데 첫째로 태어난 아들.
兄弟のうち1番目に生まれた男子。
  • 집안의 장자.
  • 장자 상속.
  • 장자의 의무.
  • 장자를 낳다.
  • 장자로 태어나다.
  • 삼촌은 장자보다 둘째 아들을 더 신뢰했다.
  • 장자인 아버지는 형제들 중 할아버지의 재산을 가장 많이 상속 받았다.
  • 가: 이 아이가 제 큰아들입니다.
  • 나: 집안의 장자답게 듬직하게 생겼네요.
장작 (長斫)
발음 : [장작 ]
활용 : 장작이[장자기], 장작도[장작또], 장작만[장장만]
명사 名詞
たきぎ【薪】。まき【薪】
통나무를 길게 쪼개 만든 땔나무.
燃料にするために丸木を細かく割ったもの。
  • 소나무 장작.
  • 마른 장작.
  • 장작 두 개비.
  • 장작 한 단.
  • 장작 난로.
  • See More
  • 추운 겨울을 앞두고 아저씨는 땔감용 장작을 한 더미나 팼다.
  • 벽난로 안에 마른 장작 한 개비를 넣으니 빨갛게 불이 타올랐다.
  • 지난 주말에 먹은 돼지 바비큐는 참나무 장작으로 구운 것이었다.
장작개비 (長斫 개비)
발음 : [장작깨비 ]
명사 名詞
쪼갠 장작의 낱개.
割った薪の一つ一つ。
  • 장작개비 한 개.
  • 마른 장작개비.
  • 장작개비를 넣다.
  • 장작개비를 쌓다.
  • 장작개비처럼 마르다.
  • 장작개비가 비에 젖어 불에 잘 타지 않았다.
  • 그녀는 큰 키에 너무 말라 마치 비쩍 마른 장작개비 같았다.
  • 가: 벽난로 땔감이 고작 이 장작개비 한두 개밖에 없어?
  • 나: 응, 그게 전부야. 내가 지금 나가서 또 패 올게.
장작불 (長斫 불)
발음 : [장작뿔 ]
명사 名詞
たきび【焚き火】
장작으로 피운 불.
薪を燃やした火。
  • 아궁이의 장작불.
  • 장작불이 꺼지다.
  • 장작불을 쬐다.
  • 장작불을 태우다.
  • 장작불을 피우다.
  • See More
  • 나는 추위에 언 손을 장작불에 쪼여 녹였다.
  • 우리는 장작불 난로에 감자를 한 바구니나 구워 먹었다.
  • 가: 승규야, 아궁이에 장작불 좀 지펴라.
  • 나: 네, 그런데 장작이 없네요. 지금 가서 패 올게요.
장장 (長長)
발음 : [장장 ]
관형사 冠形詞
なんと【何と】
분량이나 시간상의 길이 등이 예상보다 상당히 많거나 긺을 나타내는 말.
分量や時間などが予想より多かったり長かったりするさま。
  • 장장 백 가마.
  • 장장 오백 킬로미터.
  • 장장 일 년 동안.
  • 장장 팔십 리 길.
  • 장장 한 시간.
  • 우리는 기차역까지 장장 백 리나 되는 길을 걸었다.
  • 김 노인의 지루한 훈계는 장장 한 시간이나 계속 되었다.
  • 장장 1년에 걸친 협의 끝에 드디어 협상이 마무리되었다.
  • 가: 와, 이 스웨터 정말 네가 만든 거야? 오래 걸렸겠다.
  • 나: 응, 장장 일주일이나 걸렸어.
  • ※ 주로 시간이나 날짜, 거리, 분량 등을 나타내는 수량 표현 앞에 쓴다.
장점 (長點) ★★
발음 : [장쩜 ]
명사 名詞
ちょうしょ【長所】。びてん【美点】
좋거나 잘하거나 바람직한 점.
良い点、優れている点、望ましい点。
  • 개개인의 장점.
  • 상대의 장점.
  • 장점이 많다.
  • 장점이 있다.
  • 장점을 가지다.
  • See More
  • 우리 회사는 경쟁사 제품의 장점만을 골라 새로운 다기능 제품을 출시했다.
  • 우리 선생님은 학생들이 가진 장점을 칭찬해 주어 각자가 잘하는 것을 더욱 개발하도록 격려한다.
  • 가: 대학 입학 원서를 내야 하는데 도무지 어떤 전공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어.
  • 나: 네가 잘 하는 너만의 장점을 생각해 봐. 그리고 연관된 전공을 선택하는 건 어떨까?
장정 (壯丁)
발음 : [장ː정 ]
명사 名詞
  1. 1. そうてい【壮丁】
    나이가 젊고 기운이 좋은 남자.
    若くて力の強い男性。
    • 늠름한 장정.
    • 듬직한 장정.
    • 씩씩한 장정.
    • 장정 한 명.
    • 장정이 되다.
    • 씨름을 하는 곳에는 몸집이 큰 장정들이 힘자랑을 하고 있었다.
    • 장정 몇 사람이 움직이자 그 많던 짐이 금방 다 옮겨졌다.
    • 어리게만 보였던 승규가 어느새 듬직한 장정으로 자라 있었다.
  2. 2.
    군대에 소집된 남자.
    軍隊に召集された男性。
    • 입영 장정.
    • 늠름한 장정.
    • 듬직한 장정.
    • 씩씩한 장정.
    • 장정 한 명.
    • See More
    • 군대의 장정들은 매우 용맹하다.
    • 기차역에는 군에 입대하는 장정 가족들이 가득했다.
    • 군부대 앞에는 총을 멘 장정 한 사람이 굳은 표정으로 서 있었다.
장조 (長調)
발음 : [장쪼 ]
명사 名詞
ちょうちょう【長調】。メジャー
장음계로 된 곡조.
長音階に基づく調。
  • 장조의 노래.
  • 장조 음계.
  • 단조와 장조.
  • 장조로 바꾸다.
  • 장조로 작곡하다.
  • 이 곡은 중간에 장조에서 단조로 음계가 바뀌면서 곡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 장조 음계를 써 오던 이 작곡가가 이번에는 서정적인 단조의 곡을 내놓았다.
장조림 (醬 조림)
발음 : [장ː조림 ]
명사 名詞
チャンジョリム
간장에다 고기를 넣고 조린 반찬.
醤油に肉を入れて煮つけた総菜。
  • 돼지고기 장조림.
  • 쇠고기 장조림.
  • 장조림 고기.
  • 장조림을 만들다.
  • 장조림을 먹다.
  • 이번에 만든 장조림은 고기에 간장이 잘 안 배서 싱겁다.
  • 엄마는 밥 반찬으로 소고기와 계란으로 만든 장조림을 자주 해 주셨다.
  • 가: 와, 반찬으로 장조림 싸 왔네?
  • 나: 응, 먹어 봐. 고기가 질기지 않고 맛있어.
장족 (長足)
발음 : [장족 ]
활용 : 장족이[장조기], 장족도[장족또], 장족만[장종만]
명사 名詞
ちょうそく【長足】
사물의 발전이나 진행이 매우 빠름.
物事の発展や進行が非常に速いこと。
  • 장족의 발전.
  • 장족의 변화.
  • 장족의 성취.
  • 장족으로 늘다.
  • 장족으로 발전하다.
  • 형은 외국에서 일을 하며 외국어 실력이 장족으로 늘었다.
  • 우리 회사는 창립 이래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 가: 우리 아기가 이제 뛰기 시작했어요.
  • 나: 얼마 전에 겨우 걷기 시작한 거 같은데 장족의 발전이네요!
  • ※ 주로 '장족의', '장족으로'로 쓴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