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죽 (長竹)
발음 : [장죽 ]
활용 : 장죽이[장주기], 장죽도[장죽또], 장죽만[장중만]
명사 名詞
ばんギセル【番ギセル】
긴 담뱃대.
長いキセル。
- 대나무 장죽.
- 장죽을 털다.
- 장죽을 물다.
- 장죽을 빨다.
- 장죽으로 때리다.
- 할아버지는 장죽을 입에 물고 담배 연기를 후 뱉었다.
- 김 노인은 지친 표정으로 장죽을 뻑뻑 빨아대기만 했다.
- 할아버지는 짧은 담뱃대보다는 긴 장죽으로 담배를 피는 것을 좋아하신다.
- 참고어 곰방대
장중하다 (莊重 하다)
발음 : [장중하다 ]
활용 : 장중한[장중한], 장중하여[장중하여](장중해[장중해]), 장중하니[장중하니], 장중합니다[장중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そうちょうだ【荘重だ】
장엄하고 무게가 있다.
おごそかで重々しい。
- 장중한 느낌.
- 장중한 분위기.
- 장중한 연주.
- 장중하게 울리다.
- 소리가 장중하다.
- 희생 용사를 기리는 군악대의 장중한 연주에 마음이 숙연해졌다.
- 새벽 종소리가 엄숙하고 장중하게 울려 퍼졌다.
- 가: 우리 무슨 영화 볼까? 장중한 전쟁 영화 어때?
- 나: 나는 무겁고 진지한 영화는 싫어. 가벼운 코미디 영화 보자.
- 문형 : 1이 장중하다
장지1 (長指/將指)
발음 : [장지 ]
장지2 (葬地)
발음 : [장ː지 ]
명사 名詞
そうち【葬地】。ぼち【墓地】。はかち【墓地】
장사하여 시체를 묻는 땅.
遺体を埋葬する場所。
- 산속의 장지.
- 장지가 멀다.
- 장지를 구하다.
- 장지로 향하다.
- 장지에 묻다.
- 김 노인은 죽기 전에 자신의 장지를 손수 구입했다.
- 학생들은 선생님의 시신이 묻힐 장지까지 울며 따라왔다.
- 할머니는 할아버지의 시신이 장지에 묻히자 울다 기절하셨다.
장차 (將次) ★
발음 : [장차 ]
부사 副詞
しょうらい【将来】。こんご【今後】
앞으로. 미래에.
これから。未来に。
- 장차 고치다.
- 장차 공부하다.
- 장차 마련하다.
- 장차 만나다.
- 장차 발전하다.
- 이 아이는 재능도 많고 공부도 잘해서 장차 어떤 사람이 될지 기대된다.
- 그녀는 국내에서의 연기 경력을 바탕으로 장차 해외 무대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 가: 이곳을 그만두시면 장차 어디로 가실 생각이십니까?
- 나: 글쎄, 이제 차차 생각해 봐야지.
- 참고어 차차
장착 (裝着)
발음 : [장착 ]
활용 : 장착이[장차기], 장착도[장착또], 장착만[장창만]
명사 名詞
そうちゃく【装着】
옷, 기구, 장비 등에 장치를 달거나 붙임.
衣服、器具、装備などに装置を取り付けること。
- 부품 장착.
- 시설 장착.
- 장착이 가능하다.
- 장착이 되다.
- 장착을 의무화하다. See More
- 새로 산 휴대폰은 외장 메모리 장착이 가능해서 편하다.
- 모든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 장치 장착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 센서 장착이 된 옷을 입은 사람의 움직임이 컴퓨터 화면에 그대로 나타났다.
- 유의어 부착
장착되다 (裝着 되다)
발음 : [장착뙤다 /장착뛔다 ]
동사 動詞
そうちゃくされる【装着される】
옷, 기구, 장비 등에 장치가 달리거나 붙여지다.
衣服、器具、装備などに装置が取り付けられる。
- 장착된 무기.
- 장착된 부품.
- 기구가 장착되다.
- 카메라가 장착되다.
- 자동차에 장착되다.
- 이 차에는 최고급 엔진이 장착되었다.
- 삼촌은 카메라가 장착된 낚싯대로 물고기를 보면서 낚시를 한다.
- 가: 소식 들었어요? 김 대리가 운전 중에 교통사고가 나서 지금 병원에 있대요.
- 나: 네, 다행히도 차에 장착된 에어백 덕에 중상을 면했다는군요.
- 문형 : 1이 2에 장착되다
- 유의어 부착되다
장착하다 (裝着 하다)
발음 : [장차카다 ]
동사 動詞
そうちゃくする【装着する】
옷, 기구, 장비 등에 장치를 달거나 붙이다.
衣服、器具、装備などに装置を取り付ける。
- 장착한 장치.
- 기구를 장착하다.
- 렌즈를 장착하다.
- 센서를 장착하다.
- 제동 장치를 장착하다.
- 컴퓨터에 고성능 스피커를 장착했다.
- 그는 옷에 안전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암벽 등반을 하다가 큰일 날 뻔했다.
- 가: 타이어를 갈고 싶은데요, 제 자동차에는 어떤 타이어가 좋을까요?
- 나: 이 타이어를 장착해 보세요.
- 문형 : 1이 2를 3에 장착하다
- 유의어 부착하다
장치 (裝置) ★
발음 : [장치 ]
명사 名詞
- 1. そうち【装置】어떤 목적에 따라 일을 해낼 수 있도록 기계나 도구 등을 설치함. 또는 그 기계나 도구.ある目的に合わせて機械や道具などを設置すること。また、その機械や道具。
- 기계 장치.
- 도청 장치.
- 안전 장치.
- 인식 장치.
- 입력 장치. See More
- 이 총에는 안전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 회의장에서 소형 도청 장치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 가: 와, 치아 교정 장치를 떼었네? 교정이 잘 되었구나.
- 나: 응. 어제 치과에 가서 드디어 뗐어. 너무 개운해.
- 2.(비유적으로) 어떤 일을 아무 탈이나 말썽 없이 잘 해내기 위해 만든 조직이나 제도, 규칙.(比喩的に)何かが順調に行われるように作った組織や制度、規則。
- 문화적 장치
- 정치적 장치.
- 제도적 장치.
- 장치를 고안하다.
- 장치를 마련하다.
- 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 검찰은 기업 비리 근절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고민하고 있다.
- 회의에서는 극심한 불평등의 해소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치되다 (裝置 되다)
발음 : [장치되다 /장치뒈다 ]
동사 動詞
そうちされる【装置される】。そなえつけられる【備え付けられる】
어떤 목적에 따라 일을 해낼 수 있도록 기계나 도구 등이 설치되다.
ある目的に合わせて機械や道具などが設置される。
- 장치된 모니터.
- 장치된 소화기.
- 기구가 장치되다.
- 센서가 장치되다.
- 엉성하게 장치되다.
- 단상에는 마이크가 장치되어 있었다.
- 출입문은 저절로 열리도록 센서가 장치되어 있었다.
- 내 차에 장치된 오디오가 고장이 났는지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 문형 : 1이 2에 장치되다
'한국어기초사전 > 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학금, 장학생, 장해, 장해물, 장화, 장황하다, 장히, 잦다¹, 잦다², 잦아들다 (0) | 2020.02.07 |
---|---|
장치하다, 장쾌하다, 장터, 장티푸스, 장판, 장판지, 장편, 장편 소설, 장하다, 장학 (0) | 2020.02.07 |
장자, 장작, 장작개비, 장작불, 장장, 장점, 장정, 장조, 장조림, 장족 (0) | 2020.02.07 |
-장이, 장외, 장원, 장유유서, 장음, 장의사, 장의차, 장인¹, 장인², 장인어른 (0) | 2020.02.07 |
장안, 장애, 장애물, 장애아, 장애인, 장애자, 장어, 장엄, 장엄하다, 장염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