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력 (適應力) ★
발음 : [저긍녁 ]
활용 : 적응력이[저긍녀기], 적응력도[저긍녁또], 적응력만[저긍녕만]
명사 Danh từ
khả năng thích ứng
어떠한 조건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거나 알맞게 되는 능력.
Năng lực trở nên phù hợp hoặc quen với môi trường hoặc điều kiện nào đó.
- 적응력이 높다.
- 적응력이 뛰어나다.
- 적응력이 생기다.
- 적응력이 없다.
- 적응력을 갖추다.
- 그는 적응력이 뛰어나서 어느 곳에 가도 사람들과 잘 어울렸다.
- 어린 아이는 성인에 비해 사회 적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모의 보살핌이 중요하다.
- 축구 대표팀은 현지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결승전이 열릴 이란으로 서둘러 이동했다.
- 가: 미국에는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어서 걱정돼.
- 나: 너무 걱정하지 마. 가서 있다 보면 적응력이 생길 거야.
적응시키다 (適應 시키다)
발음 : [저긍시키다 ]
동사 Động từ
làm thích ứng
어떠한 조건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게 하거나 알맞게 변화하게 하다.
Làm cho biến đổi theo hướng ngày càng phù hợp hay trở nên quen dần với hoàn cảnh hay điều kiện nào đó.
- 기후에 적응시키다.
- 문화에 적응시키다.
- 사회에 적응시키다.
- 현실에 적응시키다.
- 환경에 적응시키다.
- 애완동물을 처음 기를 때는 낯선 환경에 적응시키는 데 시간이 걸린다.
- 교도소에서는 행해지는 교육은 수용자들을 출소 이후 사회에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다.
- 가: 저희 아이가 유학 생활을 너무 힘들어 해요.
- 나: 아이를 낯선 문화에 빨리 적응시키려면 문화 교육을 하는 것이 좋아요.
- 문형 : 1이 2에 3을 적응시키다
적응하다 (適應 하다)
발음 : [저긍하다 ]
동사 Động từ
thích ứng
어떠한 조건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거나 알맞게 변화하다.
Biến đổi theo hướng ngày càng phù hợp hay trở nên quen dần với một hoàn cảnh, điều kiện nào đó.
- 변화에 적응하다.
- 분위기에 적응하다.
- 생활에 적응하다.
- 현실에 적응하다.
- 환경에 적응하다. See More
- 그녀는 중간에 우리 모임에 들어왔지만 빠른 속도로 분위기에 적응해 나갔다.
- 대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취직한 사람들 중에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이들도 있다.
- 가: 승규가 원래 내성적인 성격이었는데 활발해지니까 좋지 않아?
- 나: 글쎄, 사실 난 그 애를 오랫동안 봐 와서 달라진 성격에 적응하기가 힘들어.
- 문형 : 1이 2에 적응하다
적의 (敵意)
발음 : [저긔 /저기 ]
명사 Danh từ
- 1. ý thù địch, lòng thù địch적으로 대하는 마음.Lòng đối xử như đối với kẻ địch.
- 적의가 없다.
- 적의를 숨기다.
- 적의를 품다.
- 적의로 가득 차다.
- 그는 그들을 노려보며 그들에 대한 적의를 드러냈다.
- 나는 그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적의를 품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 가: 사람들이 대체 왜 나한테 적의를 갖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 나: 아마 네가 너무 뛰어나서 사람들이 질투를 하는 게 아닐까?
- 2. ý đồ chơi xấu, ý đồ gây hại해치려는 마음.Lòng muốn làm hại.
- 적의가 없다.
- 적의를 가지다.
- 적의를 느끼다.
- 나는 왠지 모를 적의를 느끼고 그곳을 서둘러 떠났다.
- 그의 주변은 그에게 적의를 가지고 그를 해치려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 가: 적의가 없다면 당장 그 총을 내려놔요.
- 나: 알겠어요. 나는 누굴 해칠 생각은 전혀 없었어요.
적이
발음 : [저ː기 ]
부사 Phó từ
tương đối, rất, quá
꽤 어지간한 정도로.
Với mức độ khá đáng kể.
- 적이 놀라다.
- 적이 당황하다.
- 적이 서운하다.
- 적이 실망하다.
- 적이 안심이 되다.
- 나는 그의 예상치 못한 행동에 적이 놀랐다.
- 그녀는 말실수를 한 뒤 적이 당황해 어쩔 줄을 몰라 했다.
- 내심 합격을 기대했던 터라 불합격 소식을 들었을 때 승규는 적이 실망한 눈치였다.
- 가: 내일 소풍 못 간다니까 동생이 많이 실망했니?
- 나: 네. 적이 실망했는지 방 안에만 들어가 있어요.
적임 (適任)
발음 : [저김 ]
명사 Danh từ
- 1. sự thích hợp, sự phù hợp, nhiệm vụ phù hợp어떤 임무나 일에 알맞음. 또는 그 임무.Sự phù hợp với công việc hay nhiệm vụ nào đó. Hoặc nhiệm vụ đó.
- 적임을 맡다.
- 적임을 발견하다.
- 적임을 주다.
- 적임을 찾다.
- 적임으로 보이다.
- 나에게 맞는 적임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 영업 경험이 많은 그는 영업 관리자로서 적임인 인물이다.
- 가: 저는 아이들과 함께 있는 게 더 좋아요.
- 나: 그렇다면 회사원보다 교사가 더 자네에게 적임으로 보이는군.
- 2. người thích hợp, người phù hợp어떤 임무나 일에 알맞은 사람.Người phù hợp với công việc hay nhiệm vụ nào đó.
- 적임이 나서다.
- 적임이 이끌다.
- 적임을 두다.
- 적임으로 지명하다.
- 적임으로 판단하다.
- 나는 그 일에는 그가 적임이라고 판단했다.
- 이사회에서는 회사를 이끌 적임으로 그를 지목했다.
- 가: 이번 프로젝트를 이끌 마땅한 사람이 없군요.
- 나: 네, 적임을 찾는 게 쉽지 않네요.
적임자 (適任者)
발음 : [저김자 ]
명사 Danh từ
người thích hợp, người phù hợp
어떤 임무나 일에 알맞은 사람.
Người phù hợp với công việc hay nhiệm vụ nào đó.
- 적임자가 맡다.
- 적임자가 없다.
- 적임자를 가려내다.
- 적임자를 구하다.
- 적임자를 찾다. See More
- 외국어에 능통한 그야말로 통역 업무에 적임자였다.
- 시장 선거에 출마한 각 후보들은 저마다 자신이 적임자라고 주장했다.
- 가: 김 사장이 회사를 나간 지 한 달이 넘었는데 아직까지 사장 자리가 비어 있어요.
- 나: 사장으로서 마땅한 적임자를 아직 못 구했나 보지.
적자1 (赤字) ★★
발음 : [적짜 ]
명사 Danh từ
lỗ, thâm hụt
나간 돈이 들어온 돈보다 많아서 생기는 손실 금액.
Số tiền tổn thất phát sinh do tiền chi ra nhiều hơn tiền thu vào.
- 적자가 나다.
- 적자가 발생하다.
- 적자가 쌓이다.
- 적자가 증가하다.
- 적자를 거듭하다. See More
- 기업은 제품 판매의 부진으로 적자를 면치 못했다.
- 일억 이천만 원에 산 집을 일억에 팔았으니 적자를 봤다.
- 버는 돈의 대부분을 집세로 내면 살림에 적자가 생길 수밖에 없다.
- 가: 아르바이트했다더니 돈 좀 모았어?
- 나: 첫 달은 부모님께 선물을 사 드렸더니 오히려 적자였어.
- 반대말 흑자
적자2 (適者)
발음 : [적짜 ]
명사 Danh từ
- 1. người phù hợp, người thích hợp, người hợp điều kiện기준, 조건, 정도에 알맞은 사람.Người phù hợp với mức độ, điều kiện, tiêu chuẩn.
- 마땅한 적자.
- 적자가 나타나다.
- 적자가 없다.
- 적자를 가리다.
- 적자를 구하다. See More
- 부부는 딸의 신랑감으로 마땅한 적자가 없어 고민이었다.
- 우리는 집을 사겠다는 적자가 나타나면 이 집을 팔고 당장이라도 떠날 생각이었다.
- 가: 그 일을 맡을 만한 사람이 없나요?
- 나: 네. 적자를 구하기가 어렵네요.
- 2. người thích ứng, người phù hợp어떠한 조건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거나 알맞게 된 사람.Người trở nên phù hợp hoặc quen với môi trường, điều kiện nào đó.
- 적자 경쟁.
- 적자가 남다.
- 적자가 되다.
- 적자가 살아남다.
- 적자가 생존하다.
- 그 학자는 적자만이 거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는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 냉혹한 경쟁 아래에서 적자만이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 부유한 자본가들의 논리였다.
- 가: 요즘은 적자만이 살아남는 냉혹한 사회인 것 같아.
- 나: 응, 그래서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자기 실력을 키워야 해.
적자생존 (適者生存)
발음 : [적짜생존 ]
명사 Danh từ
sự chọn lọc tự nhiên, khôn sống mống chết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은 점점 줄어들어 없어지는 현상.
Hiện tượng chỉ những sinh vật thích nghi được với môi trường sống sót, còn lại những sinh vật không thể thích nghi được dần dần bị giảm đi và biến mất.
- 적자생존의 법칙.
- 적자생존의 원리.
- 적자생존에 따르다.
- 다윈의 진화론은 적자생존에 근거한 것이다.
- 적자생존에 의해 목이 짧은 기린은 사라지고 목이 긴 기린만이 살아남았다.
-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라 도태되기 마련이다.
- 가: 인터넷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거기에 발맞추지 못하면 우리 회사는 도태될 거야.
- 나: 맞아. 적자생존에 따라 우리 회사는 곧 문 닫을지도 몰라.
'한국어기초사전 > 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절하다, 적절히, 적정, 적정가, 적정선, 적정성, 적정하다, 적조하다, 적중, 적중되다 (0) | 2020.02.07 |
---|---|
적잖다, 적잖이, 적장, 적재¹, 적재², 적재량, 적재적소, 적재하다, 적재함, 적적하다 (0) | 2020.02.07 |
적어지-, 적어지다, 적외선, 적요, 적요하다, 적용, 적용되다, 적용하다, 적응, 적응되다 (0) | 2020.02.07 |
적시, 적시다, 적시타, 적시하다¹, 적시하다², 적신호, 적실하다, 적십자, 적어도, 적어져- (0) | 2020.02.07 |
적색, 적색경보, 적선¹, 적선², 적선하다, 적설, 적설량, 적성, 적소, 적수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