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턱 (窓 턱)
발음 : [창턱 ]
활용 : 창턱이[창터기], 창턱도[창턱또], 창턱만[창텅만]
명사 名詞
まどのしきい【窓の敷居】
창문의 문지방에 있는 턱.
窓の敷居に敷かれているバー。
  • 창턱 밑.
  • 창턱 아래.
  • 창턱을 기어오르다.
  • 창턱에 기대다.
  • 창턱에 놓이다.
  • See More
  • 창문을 닫던 지수의 머리카락이 창턱에 꼈다.
  • 승규는 방문이 잠겨서 창문을 통해 방에 들어가려고 창턱에 올라섰다.
  • 가: 어머, 작고 예쁜 화분이네.
  • 나: 네 방 창턱에 놓으면 좋을 것 같아서 사 왔어.
창틀 (窓 틀)
발음 : [창틀 ]
명사 名詞
まどわく【窓枠】
창문을 달거나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는 틀.
窓を付けたりはめたりできるようになっている窓の周囲の枠。
  • 창틀의 먼지.
  • 창틀이 부식되다.
  • 창틀에 기대다.
  • 창틀에 끼우다.
  • 창틀에 앉다.
  • 승규는 깨진 창을 빼내고 창틀에 새 유리를 끼웠다.
  • 내 방 창틀 위에 새 한 마리가 날아와 앉았다.
  • 가: 여기 있는 창문을 닦으면 되나요?
  • 나: 네, 창틀의 먼지까지 깨끗이 닦아 주세요.
창포 (菖蒲)
발음 : [창포 ]
명사 名詞
しょうぶ【菖蒲】
온몸에 향기가 있고 여름에 꽃이 피며, 뿌리는 약으로 쓰거나 단오에 머리를 감는 데에 쓰는 식물.
香りがある多年草で、夏に花が咲く。根茎は薬材や端午の節句の洗髪に用いられる。
  • 창포 뿌리.
  • 창포가 피다.
  • 창포를 구하다.
  • 창포를 삶다.
  • 창포를 심다.
  • See More
  • 아버지는 정원에 창포를 심으셨다.
  • 예전에는 창포를 삶아 머리를 감곤 했다.
  • 우리 집 마당에는 다른 꽃과 함께 창포도 피어 있다.
창피 (猖披) ★★
발음 : [창피 ]
명사 名詞
はじ【恥】。はずかしさ【恥ずかしさ】。はずかしめ【辱め】。くつじょく【屈辱】。ちじょく【恥辱】
체면이 깎이는 어떤 일이나 사실 때문에 몹시 부끄러움.
面目を失う出来事や事実のために非常に恥ずかしさを感じること。
  • 창피를 느끼다.
  • 창피를 당하다.
  • 창피를 면하다.
  • 창피를 모면하다.
  • 창피를 무릅쓰다.
  • See More
  • 승규는 지수를 놀리며 친구들 앞에서 창피를 주었다.
  • 김 씨는 사람들에게 욕을 먹으며 모욕과 창피를 당했다.
  • 가: 너 아까 선생님께 네 의견을 말씀드린 거 정말 멋졌어.
  • 나: 나로서는 창피를 무릅쓰고 용기를 낸 거야.
창피스럽다 (猖披 스럽다)
발음 : [창피스럽따 ]
활용 : 창피스러운[창피스러운], 창피스러워[창피스러워], 창피스러우니[창피스러우니], 창피스럽습니다[창피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はずかしい【恥ずかしい】
체면이 깎이는 어떤 일이나 사실 때문에 몹시 부끄러운 느낌이 있다.
面目を失う出来事や事実のために非常に恥ずかしさを感じる。
  • 창피스러운 기억.
  • 창피스러운 일.
  • 창피스러운 행동.
  • 창피스럽게 행동하다.
  • 창피스러움을 무릅쓰다.
  • 그는 창피스러운 줄도 모르고 자신의 잘못을 자랑하듯 말했다.
  • 유민이는 앞으로 다시는 이런 창피스러운 행동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 우리는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을 만큼 부끄럽고 창피스러워 죽을 지경이었다.
  • 가: 무릎에 피가 나네. 넘어졌어?
  • 나: 응, 아까 사람들 앞에서 넘어졌는데 정말 창피스러웠어.
  • 문형 : 1이 2가 창피스럽다
창피하다 (猖披 하다)
발음 : [창피하다 ]
활용 : 창피한[창피한], 창피하여[창피하여](창피해[창피해]), 창피하니[창피하니], 창피합니다[창피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はずかしい【恥ずかしい】
체면이 깎이는 어떤 일이나 사실 때문에 몹시 부끄럽다.
面目を失う出来事や事実のために非常に恥ずかしさを感じる。
  • 창피한 노릇.
  • 창피한 생각.
  • 창피한 일.
  • 창피한 줄 모르다.
  • 정말 창피하다.
  • 지수와 승규는 창피한 줄도 모르고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큰 소리로 싸웠다.
  • 나는 계단에서 넘어졌을 때 너무 창피해서 울고 말았다.
  • 가: 대학생이나 되어서 어린 동생이랑 싸우고. 창피하지도 않니?
  • 나: 앞으로는 안 그럴게요.
  • 문형 : 1이 2가 창피하다
창해 (滄海)
발음 : [창해 ]
명사 名詞
そうかい・あおうみ【滄海・蒼海】。あおうなばら【青海原】。たいかい【大海】
넓고 큰 바다.
青く広々とした海。
  • 창해 위.
  • 창해 한가운데.
  • 창해를 건너다.
  • 창해로 내려오다.
  • 창해에 다다르다.
  • 화물선이 창해 한가운데 떠 있다.
  • 이 배는 매년 두 번씩 창해를 건넌다.
  • 이 물고기는 강을 따라 창해에까지 내려왔다.
  • 가: 바다 한가운데로 들어오니 기분이 어때?
  • 나: 내 마음도 이 창해처럼 넓고 컸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창호지 (窓戶紙)
발음 : [창호지 ]
명사 名詞
しょうじがみ【障子紙】
한지의 한 종류로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종이.
韓紙の一。主に障子を張るのに用いる紙。
  • 창호지 문살.
  • 창호지 틈.
  • 창호지가 찢어지다.
  • 창호지를 바르다.
  • 창호지를 뚫다.
  • See More
  • 승규는 침을 묻힌 손가락으로 창호지를 뚫었다.
  • 아이들은 창호지에 구멍을 뚫어 방 안을 훔쳐보았다.
  • 아버지는 찢어진 종이를 떼어 내고 새 창호지를 바르셨다.
찾다 ★★★
발음 : [찯따 ]
활용 : 찾아[차자], 찾으니[차즈니], 찾는[찬는]
동사 動詞
  1. 1. さがす【探す】。さがしもとめる【探し求める】。みつける【見付ける】。たずねる【尋ねる】。あう【会う】
    무엇을 얻거나 누구를 만나려고 여기저기를 살피다. 또는 그것을 얻거나 그 사람을 만나다.
    物事を得ようとしたり誰かに会うためにあちこちを巡る。また、それを手に入れたりその人に会う。
    • 가족을 찾다.
    • 물건을 찾다.
    • 아이를 찾다.
    • 일자리를 찾다.
    • 지갑을 찾다.
    • See More
    • 오늘도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이 직업소개소에 가득하다.
    • 김 씨 가족은 잃어버린 아이를 찾기 위해 여기저기 안 다닌 데가 없다.
    • 가: 어제 잃어버린 지갑은 찾았어?
    • 나: 다행히 지갑을 주운 사람이 연락을 해 주어서 금방 찾았어.
    • 문형 : 1이 2를 찾다, 1이 2에서/에게서 3을 찾다
  2. 2. さがす【探す】。さがしもとめる【探し求める】。さぐる【探る】。さぐりもとめる【探り求める】
    모르는 것을 알아내려고 노력하다. 또는 모르는 것을 알아내다.
    知らない事を知ろうと努力する。また、知られていない事を究明する。
    • 단서를 찾다.
    • 뿌리를 찾다.
    • 원인을 찾다.
    • 의미를 찾다.
    • 해답을 찾다.
    • 인생은 해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 경찰은 이번 화재의 원인을 찾으려고 조사 중이다.
    • 가: 평생을 미국에서 사시다가 한국에 돌아오신 이유가 뭡니까?
    • 나: 제 뿌리를 찾기 위해서입니다.
    • 문형 : 1이 2를 찾다, 1이 2에서/에게서 3을 찾다
  3. 3. さがす【探す】。ひく【引く】。しらべる【調べる】
    모르는 것을 알아내기 위해 책을 살피거나 컴퓨터를 검색하다.
    知らない事を知ろうと本の内容に目を通したりコンピュータで検索する。
    • 교과서를 찾다.
    • 사전을 찾다.
    • 설명서를 찾다.
    • 책을 찾다.
    • 홈페이지를 찾다.
    • 이 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홈페이지를 찾으면 된다.
    • 기계 작동법을 알기 위해서는 사용 설명서를 찾는 것이 가장 빠르다.
    • 가: 영어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사전을 찾아라.
    • 나: 사전이 어디에 있어요?
    • 문형 : 1이 2를 찾다, 1이 2에서/에게서 3을 찾다
  4. 4. とりもどす【取り戻す】。とりかえす【取り返す】。ひきだす【引き出す】
    잃거나 빼앗기거나 맡기거나 빌려주었던 것을 돌려받다.
    なくしたり取られた物や預けたり貸した物を返してもらう。
    • 가방을 찾다.
    • 돈을 찾다.
    • 예금을 찾다.
    • 옷을 찾다.
    • 다시 찾다.
    • 지수는 수선을 위해 맡겼던 가방을 찾았다.
    • 민준이는 세탁소에 맡긴 옷을 찾으러 가려고 집을 나섰다.
    • 가: 안녕하세요? 은행에는 무슨 일이세요?
    • 나: 돈을 좀 찾으려고요.
    • 문형 : 1이 2에서/에게서 3을 찾다
  5. 5. たずねる【訪ねる】。おとずれる【訪れる】。ほうもんする【訪問する】
    어떤 사람을 만나거나 어떤 곳을 보러 관련된 장소로 가다.
    ある人に会うかある地域を見るために関連した場所に行く。
    • 고향을 찾다.
    • 바다를 찾다.
    • 벗을 찾다.
    • 산을 찾다.
    • 친구를 찾다.
    • 우리 형제가 마지막으로 고향을 찾은 지도 10년이 넘었다.
    • 민준이는 서울에 온 김에 서울에 올라와 자리를 잡은 친구를 찾았다.
    • 가: 등산을 자주 하는 편이세요?
    • 나: 주말이면 가까운 산을 찾으니까 자주 한다고 할 수 있겠네요.
    • 문형 : 1이 2를 찾다
  6. 6. よぶ【呼ぶ】。よびだす【呼び出す】
    다른 사람과 만나거나 이야기하려고 그 사람을 부르다.
    誰かと会うか話すためにその人を呼び出す。
    • 사장님이 찾다.
    • 선생님이 찾다.
    • 아버지가 찾다.
    • 담당자를 찾다.
    • 학생을 찾다.
    • 선생님이 교실에 와서 반장을 찾으셨다.
    • 사장님이 아침부터 김 비서를 급하게 찾으신다.
    • 가: 아버지, 저를 찾으셨다고요?
    • 나: 그래, 할 말이 좀 있으니 앉아라.
    • 문형 : 1이 2를 찾다
  7. 7. さがす【探す】。もどめる【求める】。さがしもとめる【探し求める】。ついきゅうする【追求する】
    어떤 것을 구하다.
    物事を手に入れようとする。
    • 국산을 찾다.
    • 싼 것을 찾다.
    • 양심을 찾다.
    • 의리를 찾다.
    • 체면을 찾다.
    • 냉장고를 사러 간 김 씨는 제일 싼 것을 찾았다.
    • 요즘 엄마들은 아이에게 먹일 음식 재료는 국산만 찾는다.
    • 가: 형편이 아무리 어려워도 내가 배달 일을 어떻게 하나?
    • 나: 자네, 지금 체면을 찾을 때가 아니야.
    • 문형 : 1이 2를 찾다
  8. 8. もとめる【求める】。たずねる【訪ねる】。ようせいする【要請する】
    어떤 사람이나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다.
    ある人や機関に助けを求める。
    • 경찰서를 찾다.
    • 법원을 찾다.
    • 변호사를 찾다.
    • 병원을 찾다.
    • 의원을 찾다.
    • See More
    • 며칠이 지나도 머리 아픈 것이 없어지지 않자 엄마는 병원을 찾았다.
    • 사람들은 보일러가 고장 나면 스스로 고쳐 보려고 애를 쓰다가 마지막에야 기술자를 찾는다.
    • 가: 옆집 사람들이 너무 시끄러운데 뭐라고 말 좀 해 주세요.
    • 나: 이런 일로 경찰서를 찾으셔도 소용없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찾다
  9. 9. とりもどす【取り戻す】。とりかえす【取り返す】
    원래 상태를 회복하다.
    もとの状態を回復する。
    • 생기를 찾다.
    • 안정을 찾다.
    • 원기를 찾다.
    • 제정신을 찾다.
    • 평정을 찾다.
    • See More
    • 경제가 안 좋아 손님이 뜸하던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 교통사고를 당한 아이는 병원에서 며칠 치료를 받은 후에야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
    • 가: 어머니가 이제 가족들을 알아보신대요.
    • 나: 그래요? 제정신을 찾으신 거예요?
    • 문형 : 1이 2를 찾다
  10. 10. とりもどす【取り戻す】。とりかえす【取り返す】
    자신감이나 명예 등을 회복하다.
    自信や名誉などを回復する。
    • 긍지를 찾다.
    • 명성을 찾다.
    • 명예를 찾다.
    • 자신감을 찾다.
    • 자존심을 찾다.
    • 명예란 한번 잃어버리면 다시 찾기 어렵다.
    • 우리 회사는 옛 명성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 가: 이번 대회는 김 선수에게 어떤 의미입니까?
    • 나: 이번 대회를 통해 자신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찾다
찾아가-
(찾아가고, 찾아가는데, 찾아가, 찾아가서, 찾아가니, 찾아가면, 찾아가는, 찾아간, 찾아갈, 찾아갑니다, 찾아갔다, 찾아가라)→찾아가다
찾아가다 ★★★
발음 : [차자가다 ]
활용 : 찾아가[차자가], 찾아가니[차자가니], 찾아가거라[차자가거라]
동사 動詞
  1. 1. あいにいく【会いに行く】。たずねていく【訪ねて行く】。おとずれる【訪れる】。ほうもんする【訪問する】
    사람을 만나거나 어떤 일을 하러 가다.
    人に会うか、仕事をしに行く。
    • 선생님을 찾아가다.
    • 친척을 찾아가다.
    • 교실로 찾아가다.
    • 집으로 찾아가다.
    • 댁에 찾아가다.
    • 나는 할머니가 보고 싶어 무작정 할머니 댁에 찾아갔다.
    • 나는 지수를 만나기 위해 집으로 찾아갔지만 지수는 집에도 없었다.
    • 가: 엄마, 담임 선생님을 왜 찾아갔어요?
    • 나: 선생님께서 너에 대해 상담할 것이 있다고 오라셨어.
    • 문형 : 1이 2에/에게/로/를 찾아가다
  2. 2. とりもどす【取り戻す】。とりかえす【取り返す】。ひきだす【引き出す】
    잃어버리거나 맡기거나 빌려주었던 것을 돌려받아서 가지고 가다.
    なくしたり預けたり貸した物を返してもらい、持って行く。
    • 가방을 찾아가다.
    • 돈을 찾아가다.
    • 분실물을 찾아가다.
    • 짐을 찾아가다.
    • 은행에서 찾아가다.
    • 나는 세탁소에 맡긴 옷을 찾아가기 위해 세탁소로 갔으나 문이 닫혀 있었다.
    • 나는 잃어버린 가방을 찾아가라는 전화를 받고 바로 지하철 분실물 센터로 갔다.
    • 가: 나한테 맡긴 짐 도로 찾아가.
    • 나: 사정이 있어서 그러는데 조금만 더 맡아 주면 안 될까?
    • 문형 : 1이 2에서/에게서 3을 찾아가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