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치근하다
발음 : [치근치근하다 ]
동사 動詞
つきまとう【付きまとう】。うるさくねだる【煩く強請る】
괴로울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굴다.
苦しく感じられるほど、密かに付きまとって困らせる。
  • 치근치근하는 동생.
  • 치근치근하며 따라오다.
  • 치근치근하며 쫓아다니다.
  • 친구들이 치근치근하다.
  • 계속 치근치근하다.
  • See More
  • 나는 어렸을 때 좋아하던 여학생을 일부러 치근치근하며 괴롭히곤 했다.
  • 지수는 짝사랑하는 학교 선배를 졸졸 따라다니며 귀찮게 치근치근했다.
  • 가: 아버님, 유민이가 자꾸 치근치근해서 피곤하지 않으세요?
  • 나: 아니다. 내 눈에는 귀엽기만 하구나.
치기 (稚氣)
발음 : [치기 ]
명사 名詞
ちき【稚気】。こどもっぽさ【子供っぽさ】
어리고 유치한 기분이나 감정.
子供っぽくて幼稚な気分や感情。
  • 순수한 치기.
  • 치기가 스치다.
  • 치기가 어리다.
  • 치기가 있다.
  • 치기를 느끼다.
  • See More
  • 나의 첫사랑은 순수했지만 치기가 다분했던 풋사랑이었다.
  • 승규는 괜한 치기가 일어서 별 것 아닌 일에 버럭 화를 내고 돌아섰다.
  • 형의 옹고집은 유아기 때 충족되지 못한 치기가 약간 깃들여 있는 것 같았다.
  • 가: 이거 안 사 주면 나 밥 안 먹어!
  • 나: 다 큰 어른이 이런 치기를 부려서야 되겠어? 절대 안 되니까 그렇게 알아.
치기배 (치기 輩)
발음 : [치기배 ]
명사 名詞
かっぱらい【掻っ払い】。ひったくり【引っ手繰り】
남의 물건을 재빠르게 채어 도망가거나 몰래 훔치는 좀도둑이나 그 무리.
人の品物を素早く奪い取って逃げたりこっそり盗み取るこそ泥やその群れ。
  • 날쌘 치기배.
  • 치기배 일당.
  • 치기배가 나타나다.
  • 치기배를 검거하다.
  • 치기배를 잡다.
  • See More
  • 경찰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도망가는 치기배들을 뒤쫓는다.
  • 이번에 잡힌 치기배는 지하철 안에서 전문적으로 소매치기를 하던 일당들로 밝혀졌다.
  • 가: 지갑을 잃어버렸다면서?
  • 나: 응. 정확히 말하면 치기배에게 털렸어. 방금 경찰서에서 조서를 꾸미고 나오는 길이야.
치다1 ★★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ふきつける【吹き付ける】。ふきまくる【吹きまくる】。ふぶく【吹雪く】。ふきあれる【吹き荒れる】
    바람이 세차게 불거나 비나 눈 등이 세차게 오다.
    風が強く吹きあたったり、雨や雪などが激しく吹き荒れる。
    • 치는 폭풍.
    • 눈보라가 치다.
    • 비바람이 치다.
    • 폭풍우가 치다.
    • 회오리가 치다.
    • 이렇게 비바람이 칠 때 바다낚시를 나가는 것은 위험하다.
    • 폭풍우가 쳐서 여객선 운항은 전면 중지되었다.
    • 가: 바람도 심하게 불고 눈보라도 치는데?
    • 나: 정말? 출근해야 되는데 큰일이네.
    • 문형 : 1이 치다
  2. 2. なる【鳴る】。ひかる【光る】。おちる【落ちる】
    천둥, 번개 등이 큰 소리나 빛을 내며 일어나다.
    雷や稲妻などが大きな音を立てて光と共に落ちる。
    • 날벼락이 치다.
    • 뇌성벽력이 치다.
    • 번개가 치다.
    • 벼락이 치다.
    • 천둥이 치다.
    • 기상청에서 오늘은 천둥과 번개가 치며 강한 비가 내릴 것이라는 일기 예보를 했다.
    • 번개가 번쩍 하고 치더니 이어서 천둥소리가 들렸다.
    • 요새 대기가 불안정해서 갑작스럽게 폭우가 내리고 벼락이 치는 일이 잦다.
    • 문형 : 1이 치다
  3. 3. おりる【降りる】
    서리가 몹시 차갑게 내리다.
    冷たい霜が厳しく降りる。
    • 된서리가 치다.
    • 무서리가 치다.
    • 서리가 치다.
    • 수확을 앞두고 된서리가 쳐서 농작물이 상했다.
    • 아침에 나가 보니 마당 풀잎 위에 하얗게 서리가 쳤다.
    • 아침에 밖에 나가 보니 서리가 들판이 하얗게 변해 있었다.
    • 문형 : 1이 치다
  4. 4. うつ【打つ】
    물결 등이 세차게 일어나다.
    波などが激しく立ち上がる。
    • 치는 파도.
    • 너울이 치다.
    • 물결이 치다.
    • 소용돌이가 치다.
    • 파도가 치다.
    • 물결 치는 강물 너머로 펼쳐진 풍경이 아름다웠다.
    • 비눗물은 소용돌이를 치며 배수구로 빨려 들어 갔다.
    • 태풍의 영향을 받아 바다에서는 높은 파도가 거세게 쳤다.
    • 문형 : 1이 치다
치다2 ★★★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うつ【打つ】。たたく【叩く】。なぐる【殴る】
    손이나 다른 물건이 무엇에 세게 부딪치게 하다.
    手や他のものが何かに強くぶつかるようにする。
    • 뺨을 치다.
    • 얼굴을 치다.
    • 책상을 치다.
    • 방망이로 치다.
    • 주먹으로 치다.
    • 김 과장은 화가 나서 주먹으로 책상을 쳤다.
    • 아무리 화가 나도 아이의 뺨을 친 것은 내 잘못이다.
    • 가: 민준아, 어디 가?
    • 나: 어, 너구나. 나는 또 누가 내 어깨를 치나 했지.
    • 문형 : 1이 2를 치다
  2. 2. うつ【打つ】。たたく【叩く】
    손을 부딪쳐 소리가 나게 하다.
    手を打ち合わせて音を出す。
    • 박수를 치다.
    • 손뼉을 치다.
    • 노래가 끝나자 강당 안의 사람들이 모두 박수를 쳤다.
    • 크리스마스 선물을 보자 아이는 손뼉을 치며 좋아했다.
    • 선생님은 아이들이 손뼉을 치면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바라보며 웃었다.
    • 가: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 나: 열심히 발표를 해 주신 선생님께 박수를 치도록 합시다.
    • 문형 : 1이 2를 치다
  3. 3. うつ【打つ】。たたく【叩く】。ひく【弾く】
    타악기, 건반악기, 기타 등을 연주하다.
    打楽器、鍵盤楽器、ギターなどを演奏する。
    • 건반을 치다.
    • 기타를 치다.
    • 드럼을 치다.
    • 북을 치다.
    • 오르간을 치다.
    • See More
    • 아이는 피아노를 보자마자 달려가서 치기 시작했다.
    • 지수는 기타를 치는 민준의 모습이 참 멋있다고 생각했다.
    • 가: 밴드를 하나 만들려고 하는데 드럼 칠 사람이 없어.
    • 나: 드럼이라면 내가 칠 줄 알아.
    • 문형 : 1이 2를 치다
  4. 4. つく【突く】。する
    손이나 손에 든 물건으로 물체를 부딪치게 하는 놀이나 운동을 하다.
    手や手に持った物で物体がぶつかるようにする遊びやスポーツをする。
    • 구슬을 치다.
    • 당구를 치다.
    • 딱지를 치다.
    • 배드민턴을 치다.
    • 볼링을 치다.
    • See More
    • 민준은 친구들과 점심을 먹고 당구장에 당구를 치러 갔다.
    • 지수는 주말마다 친구들과 테니스를 치는 것이 유일한 취미이다.
    • 가: 좋아하는 운동 있으세요?
    • 나: 잘 치지는 못하는데 배드민턴을 좋아해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5. 5. うつ【打つ】
    망치 등으로 무엇을 두드려 박다.
    ハンマーなどで何かを叩いて中に入れ込む。
    • 말뚝을 치다.
    • 못을 치다.
    • 망치로 치다.
    • 민준은 액자를 걸기 위해 벽에 여러 개의 못을 쳤다.
    • 아버지는 흔들리는 액자를 고정시키려고 액자 위로 못을 치셨다.
    • 가: 달력 좀 걸게 벽에 못 좀 줄래?
    • 나: 그래. 망치랑 못 이리 줘.
    • 문형 : 1이 2를 치다
  6. 6. うつ【打つ】
    타자기나 컴퓨터로 글자를 찍다.
    タイプやコンピューターで字を書く。
    • 자판을 치다.
    • 컴퓨터를 치다.
    • 타자를 치다.
    • 비서는 자판을 치는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 민준은 타자를 치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 가: 영어 타자 좀 줄래? 영어 자판이 익숙하지 않아서.
    • 나: 좋아. 그대신 한글 타자는 니가 좀 줘.
    • 문형 : 1이 2를 치다
  7. 7. うつ【打つ】
    어떤 장치를 손으로 눌러 글자를 찍거나 신호를 보내다.
    ある装置を手で叩いて字を書いたり信号を送ったりする。
    • 무전을 치다.
    • 전보를 치다.
    • 전신을 치다.
    • 아버지는 친척들에게 할머니가 돌아가셨다고 전보를 치셨다.
    • 우리 부대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알리기 위해 본부에 무전을 쳤다.
    • 가: 제1 부대는 연락할 때까지 대기하라고 무전을 치게.
    • 나: 예, 알겠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치다
  8. 8. うつ【打つ】
    카드나 화투 등을 가지고 놀이를 하다.
    トランプや花札などで遊ぶ。
    • 카드를 치다.
    • 트럼프를 치다.
    • 화투를 치다.
    • 아버지는 집에 친구들을 초대해서 가끔 화투를 치곤 하신다.
    • 삼촌은 퇴근 후에 근처 식당에서 카드를 치는 것이 유일한 취미이다.
    • 가: 트럼프 칠 줄 알아요?
    • 나: 그럼요, 지는 사람이 밥 사기로 해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9. 9. うつ【打つ】。きたえる【鍛える】
    쇠붙이를 불에 뜨겁게 달구어 두들겨서 연장을 만들다.
    金属を熱した後、それを叩いて道具を作る。
    • 낫을 치다.
    • 칼을 치다.
    • 아버지는 낫을 쳐서 도끼를 만들고 있었다.
    • 대장간에는 칼을 치는 소리만 울릴 뿐이었다.
    • 가: 칼을 좀 주시오.
    • 나: 크기는 어느 정도면 될까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10. 10. つく【搗く・舂く】
    떡을 만들 때 끈기가 많이 생기도록 도구를 이용하여 세게 반죽을 두들기다.
    餠を作る時、粘り気を生じさせるために道具を利用して練りを強く打つ。
    • 떡을 치다.
    • 반죽을 치다.
    • 떡메로 치다.
    • 명절을 앞두고 집집마다 떡 치는 소리가 들린다.
    • 여자들은 부엌에서 명절 음식을 만들고 남자들은 마당에서 떡을 치고 있다.
    • 가: 떡을 제대로 안 치면 씹는 맛이 안 좋아요.
    • 나: 알겠습니다. 있는 힘껏 치겠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치다
  11. 11. なる【鳴る】
    시계가 시각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내다.
    時計が時刻を知らせるために音を出す。
    • 시계가 치다.
    • 한 시를 치다.
    • 남편은 벽시계가 12시를 칠 때까지 들어오지 않았다.
    • 시계가 10시를 치자 아이들은 모두 자러 방으로 들어갔다.
    • 가: 1시인데 왜 시계가 안 치지?
    • 나: 아무래도 고장이 난 모양이야.
    • 문형 : 1이 2를 치다
  12. 12. ふる【振る】。はばたく【羽撃く・羽搏く】
    날개나 꼬리 등을 세게 흔들다.
    翼やしっぽなどを勢いよく動かす。
    • 꼬리를 치다.
    • 날개를 치다.
    • 살살 치다.
    • 우리 강아지는 사람만 보면 반가워서 꼬리를 친다.
    • 물가에서 쉬던 새들이 날개를 치며 일제히 날아올랐다.
    • 가: 저 새는 날 수 있어요?
    • 나: 아직 새끼라서 날개는 치는데 날지는 못해.
    • 문형 : 1이 2를 치다
  13. 13.
    팔이나 다리를 일정한 방향으로 세게 움직이다.
    手や足を一定の方向に勢いよく動かす。
    • 물장구를 치다.
    • 헤엄을 치다.
    • 아이들이 물가에서 물장구를 치며 놀고 있었다.
    • 엄마는 혹시라도 사고가 날까 해서 아이가 헤엄을 치는 것을 지켜보았다.
    • 가: 난 수영도 못하는데 바다에 가서 뭘 하니?
    • 나: 얕은 데서 물장구를 치면서 놀면 되잖아.
    • 문형 : 1이 2를 치다
  14. 14.
    몸이나 몸체를 부르르 떨거나 움직이다.
    体や本体をぶるぶるとさせたり動かしたりする。
    • 몸부림을 치다.
    • 몸서리를 치다.
    • 발버둥을 치다.
    • 요동을 치다.
    • 진저리를 치다.
    • 큰 파도를 만나 선체가 요동을 치기 시작했다.
    • 고양이는 사람 손에서 빠져나오려고 몸부림을 쳤지만 헛수고였다.
    • 가: 병원에 안 가고 왜 애가 울고 있어?
    • 나: 아이가 가기 싫다고 발버둥을 치니까 그렇지.
    • 문형 : 1이 2를 치다
  15. 15. うつ【打つ】。つむ【摘む】
    칼이나 가위 등으로 물체를 자르다.
    刃物で物を切る。
    • 가지를 치다.
    • 머리를 치다.
    • 목을 치다.
    • 커트를 치다.
    • 낫으로 치다.
    • See More
    • 영화에서 칼로 죄인의 목을 치는 장면이 나왔다.
    • 아버지는 마당에 있는 나무들의 잔가지를 치느라 종일 바쁘시다.
    • 가: 머리를 어떻게 해 드릴까요?
    • 나: 좀 짧게 주세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16. 16. むく【剥く】
    칼 등으로 밤 등의 껍질을 벗기다.
    小刀などで栗などの皮を剥く。
    • 날밤을 치다.
    • 대추를 치다.
    • 밤을 치다.
    • 어머니는 빵에 넣을 날밤을 치고 계셨다.
    • 명절이면 밤과 대추를 치는 것은 남자들의 일이었다.
    • 가: 내가 뭐 도와 줄 거 있어요?
    • 나: 그럼 당신이 밤을 좀 주세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17. 17. うつ【討つ・伐つ】
    상대편을 공격하다.
    相手を攻撃する。
    • 적을 치다.
    • 중심부를 치다.
    • 후방을 치다.
    • 몰래 치다.
    • 사방에서 치다.
    • See More
    • 본부에서는 부대에게 적의 후방을 치라고 지시했다.
    • 이번에는 적의 중심부를 치고 빠지는 전략을 사용하기로 했다.
    • 가: 언제 공격하는 게 좋겠습니까?
    • 나: 아무래도 적이 잠든 한밤중에 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치다
  18. 18.
    얼굴에 웃음을 나타내다.
    顔に笑みを浮かべる。
    • 눈웃음을 치다.
    • 코웃음을 치다.
    • 살살 치다.
    • 어린 여자 아이는 눈웃음을 치며 승규의 손에서 사탕을 가져 갔다.
    • 민준이 의대에 가겠다고 하자 친구들은 말도 안 된다는 듯이 코웃음을 쳤다.
    • 가: 당신, 또 유민이한테 용돈 줬다면서요?
    • 나: 살살 눈웃음을 치면서 달라는데 안 줄 수가 있어야지.
    • 문형 : 1이 2를 치다
  19. 19. わめく【喚く】。さけぶ【叫ぶ】
    큰 소리를 내다.
    大声を出す。
    • 고함을 치다.
    • 소리를 치다.
    • 아우성을 치다.
    • 호통을 치다.
    • 가라앉는 배 위에서는 선원들이 살려달라고 소리를 치고 있었다.
    • 유민은 아버지가 술에 취해 고함을 치는 소리가 듣기 싫어 집을 나왔다.
    • 가: 할아버지 아버지한테 화 나셨어?
    • 나: 호통을 치시는 걸 보니 그런 거 같아.
    • 문형 : 1이 2를 치다
  20. 20. せんぎりにする【千切りにする】。うすぎりにする【薄切りにする】
    가늘게 썰거나 얇게 베어내다.
    細く切ったり、薄く切ったりする。
    • 무를 치다.
    • 회를 치다.
    • 칼로 치다.
    • 얇게 치다.
    • 지수는 어머니를 도와 김치에 넣을 무를 모두 채를 쳤다.
    • 아버지는 직접 잡아 오신 생선을 회를 쳐서 식탁에 올리셨다.
    • 가: 회가 참 맛있어 보이네요.
    • 나: 그러게요. 어쩌면 회를 이렇게 얇게 칠 수 있을까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21. 21.
    달아나거나 빨리 움직이다.
    逃げたり速く動いたりする。
    • 도망을 치다.
    • 종종걸음을 치다.
    • 죄수는 벌써 몇 번째 감옥에서 도망을 치려다가 붙잡혀 왔다.
    • 유민은 친구들이 부르는 소리에도 종종걸음을 치며 돌아갔다.
    • 가: 민준 엄마는 뭐가 그렇게 바쁘다고 저렇게 종종걸음을 칠까?
    • 나: 고향에서 부모님이 오셨대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22. 22. おこす【起こす】。ふく【吹く】。つく【付く】
    속이거나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 짓, 또는 좋지 못한 행동을 하다.
    だましたりいじめたりすること、または正しくない行動をする。
    • 거짓말을 치다.
    • 공갈을 치다.
    • 난리를 치다.
    • 농땡이를 치다.
    • 사고를 치다.
    • See More
    • 삼촌은 새로 옮긴 직장에서도 사고를 치고 쫓겨났다.
    • 김 노인은 아들이 도시에서 큰 회사 사장이라고 마을 사람들에게 허풍을 쳤다.
    • 가: 김 씨가 또 경찰서에 들어갔다면서요?
    • 나: 네, 가짜 집 계약서로 사기를 쳤다나 봐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23. 23.
    시도한 일이 소용없게 되다.
    試みたことが無駄になる。
    • 공을 치다.
    • 허탕을 치다.
    • 요즘은 가게에 손님이 없어서 하루 장사를 공을 치는 날이 많다.
    • 민준은 삼 일째 교장 선생님을 찾아 갔다가 허탕을 치고 돌아왔다.
    • 가: 오늘도 물건을 하나도 못 팔았네요.
    • 나: 하루 공을 쳤는데 일찍 문 닫고 들어갑시다.
    • 문형 : 1이 2를 치다
  24. 24. うける【受ける】
    시험을 보다.
    受験する。
    • 기말고사를 치다.
    • 시험을 치다.
    • 중간고사를 치다.
    • 승규는 친한 후배들에게 시험을 잘 치라고 엿을 선물했다.
    • 선생님은 중간고사를 친 후 우리 반 성적이 많이 떨어졌다며 걱정하셨다.
    • 가: 방학이 언제부터지?
    • 나: 기말고사 치면 그 다음이 바로 방학이지 뭐.
    • 문형 : 1이 2를 치다
  25. 25. うらなう【占う】
    점으로 운이 좋고 나쁨을 알아보다.
    占いで運の良し悪しを確かめる。
    • 점을 치다.
    • 어머니는 아버지 사업이 위기를 맞을 때마다 점을 치러 가신다.
    • 지수는 점을 쳐서 미래를 알려고 하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 가: 점을 치고 오셨다면서요?
    • 나: 그래. 올해는 우리 민준이 시험 운이 없다고 하더라.
    • 문형 : 1이 2를 치다
관용구 · 속담(2)
치다3 ★★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うつ【打つ】。ひく【引く・描く】。かく【描く】
붓이나 연필 등으로 점을 찍거나 선이나 그림을 그리다.
筆や鉛筆などで点を打ったり線を引いたり絵を描く。
  • 치는 괄호.
  • 가위표를 치다.
  • 매화를 치다.
  • 밑줄을 치다.
  • 사군자를 치다.
  • See More
  • 학생은 형광펜으로 중요한 부분에 줄을 치면서 책을 읽었다.
  • 할아버지께서 먹을 곱게 가셔서 하얀 화선지에 난을 치신다.
  • 가: 어디 보자, 이게 이번에 시험을 친 시험지니?
  • 나: 네. 지난 시험보다 동그라미를 친 문제 개수가 더 많아요.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치다4 ★★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かける【掛ける】。ふりかける【振り掛ける】。さす【注す】
    적은 분량의 액체를 붓거나 가루 등을 뿌려서 넣다.
    小量の液体を注いだり粉などを撒いて入れる。
    • 치는 소금.
    • 고춧가루를 치다.
    • 설탕을 치다.
    • 소스를 치다.
    • 식초를 치다.
    • See More
    • 요리사가 갖은 양념을 친 맛있는 요리를 들고 나왔다.
    • 지수는 찌개에 소금을 쳐서 음식의 맛을 더했다.
    • 가: 국이 좀 싱겁지 않니?
    • 나: 그래? 그러면 국에 간장을 더 칠까?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2. 2. かける【掛ける】。ぬる【塗る】。さす【注す】
    기계나 식물의 상태가 더 좋아지도록 기름이나 약을 바르거나 뿌리다.
    機械の機能や植物の状態を向上させるために油を入れたり薬剤を散布する。
    • 거름을 치다.
    • 기름을 치다.
    • 농약을 치다.
    • 밑거름을 치다.
    • 비료를 치다.
    • See More
    • 유민은 농약을 친 채소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었다.
    • 정비사가 자동차 엔진에 엔진 오일을 친다.
    • 가: 아빠, 이 자전거가 녹슬어서 자꾸 삐걱거려요.
    • 나: 응, 그건 자전거에 기름을 치면 다시 새것처럼 쓸 수 있어.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3. 3. ひく【引く】
    음식을 만들기 위해 프라이팬 등에 기름을 두르다.
    調理のためにフライパンなどの一面に油を塗る。
    • 친 콩기름.
    • 기름을 치다.
    • 들기름을 치다.
    • 식용유를 치다.
    • 참기름을 치다.
    • 어머니는 오목한 프라이팬에 기름을 치고 여러 야채를 넣어 볶으셨다.
    • 전이 프라이팬에 눅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기름을 충분히 치는 편이 좋다.
    • 가: 이 계란을 깨서 프라이팬에 넣으면 돼요?
    • 나: 응, 그전에 프라이팬에 기름을 먼저 치고 나서 계란을 넣으렴.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치다5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はる【張る】。つる【吊る】。つるす【吊るす】
    커튼, 가리개, 장막 등을 써서 둘레를 두르거나 늘어뜨리다.
    カーテン、屏風、幕などを伸ばし広げて周囲を取り巻くか、下へ垂らす。
    • 친 바람막이.
    • 거미줄을 치다.
    • 그물을 치다.
    • 금줄을 치다.
    • 금지선을 치다.
    • See More
    • 강에 그물을 치고 고기가 잡히기를 기다렸다.
    • 창문에 방충망을 쳐서 벌레가 들어오지 않게 했다.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2. 2. はる【張る】
    벽이나 담을 둘러서 막다.
    壁や垣を巡らして隔てを作る。
    • 친 울타리.
    • 담을 치다.
    • 벽을 치다.
    • 병풍을 치다.
    • 시멘트를 치다.
    • See More
    • 마당 한쪽에는 울타리를 치고, 문 가까운 데에는 돌로 담을 쳤다.
    • 사무실은 각 책상 사이에 칸막이가 있었다.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3. 3. はる【張る】
    천막 등으로 임시로 살 데를 만들어 세우다.
    天幕などを利用して臨時に住む所を作る。
    • 둥지를 치다.
    • 바람막이를 치다.
    • 움막을 치다.
    • 천막을 치다.
    • 텐트를 치다.
    • 우리는 강가에 텐트를 친 후 수영도 하고 고기도 잡으며 놀았다.
    • 이곳은 선사 시대에 사람들이 움막을 치고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4. 4. まく【巻く】
    대님이나 붕대와 같이 긴 천으로 된 것을 감거나 두르다.
    裾を締める紐や包帯状の細長い布で巻いたり締める。
    • 대님을 치다.
    • 댕기를 치다.
    • 붕대를 치다.
    • 곱게 댕기를 친 사촌 동생의 머리가 귀여웠다.
    • 한복을 입을 때 대님 치는 방법을 몰라서 할아버지께 배웠다.
    • 문형 : 1이 2에 3을 치다
치다6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かう【飼う】
    가축이나 짐승 등을 기르다.
    家畜や動物などを飼う。
    • 누에를 치다.
    • 벌을 치다.
    • 양을 치다.
    • 염소를 치다.
    • 오리를 치다.
    • 닭을 치는 삼촌은 최근에 사업이 확장되어 양계장을 크게 늘렸다.
    • 목축업자는 소나 양을 치며 양털이나 젖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이다.
    • 가: 민준이는 요즘 어떻게 지낸대?
    • 나: 뭐 시골에 내려가서 돼지를 치며 살고 있다고 하더라고.
    • 문형 : 1이 2를 치다
  2. 2. だす【出す】。のばす【伸ばす】
    식물이 가지나 뿌리를 밖으로 더 뻗치게 하다.
    植物が枝や根を外に向かって伸ばす。
    • 가지를 치다.
    • 뿌리를 치다.
    • 잔가지를 치다.
    • 나무가 가지를 많이 쳐서 제법 무성해졌다.
    • 은행나무는 무럭무럭 자라서 어느덧 무성하게 가지를 쳤다.
    • 가: 이 나무는 내가 어릴 적에 심었던 나무인데. 어느새 많이 자랐구나.
    • 나: 그렇지? 이렇게 뿌리도 넓게 친 아주 튼튼한 나무로 자랐어.
    • 문형 : 1이 2를 치다
  3. 3. うむ【産む】
    동물이 새끼를 낳다.
    動物が子を産む。
    • 두 마리를 치다.
    • 새끼를 치다.
    • 어제 우리 집 돼지가 새끼를 열 마리나 쳤다.
    • 제비가 처마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쳤다.
    • 가: 어제 우리 개가 새끼를 일곱 마리나 쳤어.
    • 나: 정말? 그럼 그 강아지들 중 한 마리만 나 줘. 나도 강아지 키우고 싶어.
    • 문형 : 1이 2를 치다
  4. 4. おく【置く】。もてなす【持て成す】
    주로 영업을 목적으로 남을 머물러 지내게 하다.
    主に営業を目的に客を泊まらせ、そこで過ごすようにする。
    • 여관을 치다.
    • 여인숙을 치다.
    • 하숙을 치다.
    • 대학교 주변에 자취방을 내놓은 벽보와 하숙을 치는 안내문이 많이 붙여 있다.
    • 승규는 어머니가 잘 아는 아주머니가 치는 하숙집에서 잠시 머물기로 결정했다.
    • 가: 우리 집에 빈 방이 좀 남는데 이 방을 그냥 묵혀 둬야 할지 고민이야.
    • 나: 그래요? 아주머니, 그러면 하숙을 치는 건 어때요?
    • 문형 : 1이 2를 치다
치다7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とりのぞく【取り除く】。そうじする【掃除する】。せいそうする【清掃する】
    지저분하거나 불필요하게 쌓인 물건을 파내거나 옮겨서 깨끗하게 하다.
    汚い物や積もっている不要な物を掘り出したり他の場所に移してきれいにする。
    • 변소를 치다.
    • 상을 치다.
    • 쓰레기를 치다.
    • 재를 치다.
    • 깨끗이 치다.
    • 군인들이 삽으로 마당에 한가득 쌓인 눈을 퍼내고 친다.
    • 어머니께서 걸레로 방 구석구석을 치며 청소를 하신다.
    • 가: 어이쿠, 미처 집 안을 치지 못해서 방이 좀 어지러워요.
    • 나: 아니에요. 깨끗한데요 뭘.
    • 문형 : 1이 2를 치다
  2. 2. つくる【作る】
    논이나 물길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내거나 가지런하게 하다.
    田んぼや水路を作るために土を起こしたり整頓する。
    • 논을 치다.
    • 도랑을 치다.
    • 물길을 치다.
    • 깊이 치다.
    • 평평하게 치다.
    • 농부가 초봄에 가래로 열심히 논을 치며 농사할 준비를 한다.
    • 마을 사람들이 폭우 속에서 도랑을 쳐서 불어난 강물을 다른 쪽으로 흘려보냈다.
    • 가: 이렇게 계속 비가 오다간 우리 밭이 물에 잠겨 버리겠는걸?
    • 나: 그래서야 안 되지. 밭에 도랑을 치러 가야겠어.
    • 문형 : 1이 2를 치다
치다8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ひく【引く・轢く】。はねる【撥ねる】
차 등이 사람을 강한 힘으로 부딪치고 지나가다.
車などが人を強い力で押しつけて通る。
  • 친 자동차.
  • 버스가 치다.
  • 트럭이 치다.
  • 뺑소니를 치다.
  • 사람을 치다.
  • 뺑소니 차량이 옆집 아이를 치고 도주해 버려서 현재 수배 중에 있다.
  • 집 앞의 도로에서 승용차가 지나가던 행인을 친 교통사고가 일어났다.
  • 가: 무슨 사고가 났어?
  • 나: 응, 오토바이가 길을 건너던 아이를 쳐서 아이가 크게 다쳤나 봐.
  • 문형 : 1이 2를 치다
치다9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1. 1. しはらう【支払う】
    무엇을 계산하거나 셈하다.
    何かを計算してその価値を認め、金銭などで支払う。
    • 값을 치다.
    • 땅을 치다.
    • 물건을 치다.
    • 일당을 치다.
    • 값으로 치다.
    • See More
    • 노신사는 값을 후하게 줄 테니 자신에게 그림을 팔라고 사정했다.
    • 대지가 오십 평이니 평당 백만 원씩 치면 오천만 원이다.
    • 가: 어떡해? 내가 네 카메라를 망가뜨렸어.
    • 나: 어쩔 수 없지, 그냥 돈으로 쳐서 줘.
    • 문형 : 1이 2를 3으로 치다, 1이 2를 3-게 치다, 1이 2에 3을 치다
  2. 2. ひょうかする【評価する】。みとめる【認める】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거나 인정하다.
    物事についてその価値を評価して認める。
    • 둘째로 치다.
    • 별미로 치다.
    • 으뜸으로 치다.
    • 제일로 치다.
    • 최고로 치다.
    • 옛날에 나라의 수도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 물이 흐르는 곳을 최고로 쳤다.
    • 요즘에는 하얀 쌀밥보다 건강에 좋은 잡곡밥을 제일로 친다.
    • 가: 제가 이렇게 많은 돈을 받아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 나: 내가 당신 능력을 높게 쳐서 주는 돈이니 그냥 받으세요.
    • 문형 : 1이 2를 3으로 치다, 1이 2를 3-게/-고 치다, 1이 2로 치다, 1이 2-고 치다
  3. 3. ふくめてけいさんする【含めて計算する】
    고려나 계산에 넣다.
    考慮や計算に入れる。
    • 인원에 치다.
    • 임금에 치다.
    • 나머지까지 치다.
    • 식비까지 치다.
    • 전부 치다.
    • 숙박비에 식비까지 치면 여행비가 백만 원을 훌쩍 넘었다.
    • 우리 가족은 뱃속의 아이까지 쳐서 모두 네 명이다.
    • 가: 이번 달 월급은 언제 나오나요?
    • 나: 오늘 일한 것까지 쳐서 통장에 넣어 줄게요.
    • 문형 : 1이 2를 3에 치다
  4. 4. いう【言う】。はんだんする【判断する】
    어떠한 것으로 기준을 삼아 생각하다.
    何かを基準にして考える。
    • 나이로 치다.
    • 날씨로 치다.
    • 연배로 치다.
    • 풍경으로 치다.
    • 촌수로 치다.
    • 날씨로 치면 가을만큼 걷기 좋은 계절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주변 경관으로 치자면 주변 호텔 중에 이곳이 으뜸이다.
    • 가: 두 사람은 친척이신가요?
    • 나: 네, 촌수로 치면 제가 조카뻘이에요.
    • ※ 주로 '치면', '친다면' 등으로 쓴다.
    • 문형 : 1이 2로 치다
치다10
발음 : [치다 ]
활용 : 치어[치어/ 치여](쳐[처]), 치니
동사 動詞
ふるう【篩う】
가루 등을 체로 흔들어서 곱게 만들다.
粉などをふるいにかけてより細かくする。
  • 친 밀가루.
  • 가루를 치다.
  • 녹말가루를 치다.
  • 찹쌀가루를 치다.
  • 체로 치다.
  • See More
  • 숙모는 체를 가볍게 흔들어서 떡가루를 친다.
  • 어머니는 체로 친 고운 쌀가루를 반죽하여 떡을 만드셨다.
  • 가: 어머니, 여기 밀가루를 가져왔어요.
  • 나: 응, 밀가루가 좀 덩어리져 있으니 체로 쳐야겠구나. 고운 밀가루가 필요하거든.
  • 문형 : 1이 2를 치다
치다꺼리
발음 : [치다꺼리 ]
명사 名詞
  1. 1. きりまわし【切り回し】。きりもり【切り盛り】
    어떤 일을 겪어 내는 일.
    物事を引き受けてやりくりすること。
    • 결혼식 치다꺼리.
    • 송장 치다꺼리.
    • 토악질 치다꺼리.
    • 치다꺼리를 하다.
    • 치다꺼리로 소진하다.
    • 며느리는 제사 치다꺼리를 한다고 정신이 없었다.
    • 어머니는 열흘간 지속된 잔치 치다꺼리로 고생이 많으셨다.
    • 가: 아이쿠, 선생님. 학교 행사 치다꺼리로 힘드시지요?
    • 나: 아니에요. 아이들과 함께 행사를 하니 힘들기보다는 오히려 즐겁네요.
  2. 2. めんどう【面倒】。せわ【世話】
    남의 작고 소소한 일을 보살펴서 도와줌. 또는 그런 일.
    人の些細な事に気を遣って世話を焼くこと。また、その世話。
    • 동생 치다꺼리.
    • 손님 치다꺼리.
    • 손주 치다꺼리.
    • 시누이 치다꺼리.
    • 시동생 치다꺼리.
    • See More
    • 어머니는 장난꾸러기 삼형제의 치다꺼리 때문에 매일이 피곤하셨다.
    • 오랜 시간의 간병으로 지친 유민은 환자 치다꺼리로 병이 날 지경이었다.
    • 가: 자제분이 이제 수험생이어서 많이 바쁘시겠어요.
    • 나: 말도 마세요. 요즘은 그 수험생 자식 치다꺼리에 정신이 없다니까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