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장어 (곰 長魚)
발음 : [곰ː장어 ]
명사 名詞
アナゴ【穴子・海鰻・海鰻鱺】
몸이 가늘고 길며 미끄러운, 바다에 사는 갈색 물고기.
茶色い表面がすべすべしている細長い体型の海水魚。
  • 양념 곰장어.
  • 곰장어구이.
  • 곰장어볶음.
  • 곰장어 안주.
  • 곰장어 요리.
  • 나는 가족들과 함께 곰장어에 양념을 해서 구워 먹었다.
  • 아버지께서 곰장어볶음을 좋아하셔서 어렸을 때부터 자주 먹었다.
  • 가: 승규야, 우리 뭐 먹으러 갈까?
  • 나: 오랜만에 포장마차에 가서 곰장어 먹자.
곰지락곰지락
발음 : [곰지락꼼지락 ]
부사 副詞
もぞもぞ
몸을 천천히 조금씩 움직이는 모양.
体をゆっくりと少しずつ動かすさま。
  • 곰지락곰지락 움직이다.
  • 곰지락곰지락 파고들다.
  • 유민이를 깨우자 일어나지 않고 발만 곰지락곰지락 움직였다.
  • 추위에 몸을 떨었던 강아지가 내 품으로 곰지락곰지락 파고들었다.
  • 가: 아기는 잠들었니?
  • 나: 아니, 곰지락곰지락 움직이면서 잘 놀아.
곰탕 (곰 湯)
발음 : [곰ː탕 ]
명사 名詞
コムタン
소고기와 소뼈를 오랫동안 푹 끓인 국.
牛の肉や骨を長時間じっくり煮込んだスープ料理。
  • 사골 곰탕.
  • 뜨거운 곰탕.
  • 곰탕 한 그릇.
  • 곰탕을 끓이다.
  • 곰탕을 먹다.
  • 할머니께서는 소뼈를 푹 고아 곰탕을 끓이셨다.
  • 아버지는 뜨끈한 곰탕에 밥을 말아 드시고는 출근하셨다.
  • 가: 엄마, 곰탕은 곰으로 만든 국이에요?
  • 나: 아니, 곰탕은 소고기하고 소뼈를 끓여 만든 요리야.
곰팡내
발음 : [곰ː팡내 ]
명사 名詞
  1. 1. かびくさい【かび臭い】
    곰팡이의 쾨쾨한 냄새.
    カビの悪臭。
    • 눅눅한 곰팡내.
    • 곰팡내가 나다.
    • 곰팡내가 풍기다.
    • 곰팡내를 풍기다.
    • 지어진 지 오래된 기숙사 건물에서는 눅눅한 곰팡내가 났다.
    • 지하실에 오래 보관되어 있던 책에서 퀴퀴한 곰팡내가 풍겼다.
    • 가: 여보, 빨래에서 왜 곰팡내가 나지?
    • 나: 오랫동안 비가 와서 빨래가 잘못 말랐나 봐요.
  2. 2. かびくさい【かび臭い】
    (비유적으로) 행동이나 생각 또는 물건이 요즘 시대에 뒤떨어지는 낡은 분위기.
    (比喩的に)行動や考えまたは品物が時代遅れの古い雰囲気。
    • 곰팡내가 나다.
    • 곰팡내를 풍기다.
    • 곰팡내를 풍긴다고만 생각던 어르신들의 말씀이 도움이 될 때가 있다.
    • 승규는 골동품에 대한 조예가 없어 그저 곰팡내 나는 오래된 것으로 생각한다.
    • 가: 어머니, 이 옷장도 버리실 거예요?
    • 나: 응, 이번 참에 곰팡내를 풍기는 것들 싹 정리하자꾸나.
곰팡냄새
발음 : [곰ː팡냄새 ]
명사 名詞
  1. 1. かびくさいにおい【かび臭い匂い】
    곰팡이에서 나는 냄새.
    カビの臭い。
    • 퀴퀴한 곰팡냄새.
    • 곰팡냄새가 나다.
    • 곰팡냄새를 풍기다.
    • 어둡고 컴컴한 지하실에 내려가자 케케묵은 곰팡냄새가 코를 찔렀다.
    • 오랜 장마 기간 동안 집을 비우고 돌아왔더니 쾨쾨한 곰팡냄새가 났다.
    • 가: 이 퀴퀴한 냄새는 뭐니?
    • 나: 창고에서 꺼내온 책에서 나는 곰팡냄새 같아요.
  2. 2. かびくさいにおい【かび臭い匂い】
    (비유적으로) 행동이나 생각 또는 물건이 요즘 시대에 뒤떨어지는 낡은 분위기.
    (比喩的に)行動や考えまたは品物が時代遅れの古い雰囲気。
    • 곰팡냄새가 나다.
    • 곰팡냄새를 풍기다.
    • 민준이는 젊은이답지 않게 시대에 뒤떨어지는 곰팡냄새 나는 말만 했다.
    • 내가 보기엔 곰팡냄새 풍기는 오래된 건물일 뿐인데 지수는 고전적인 분위기라고 좋아한다.
    • 가: 우리 학교 교장 선생님의 훈화 말씀은 너무 고리타분해.
    • 나: 응, 케케묵은 곰팡냄새가 나.
곰팡이
발음 : [곰ː팡이 ]
명사 名詞
かび【黴】
물기가 있고 따뜻한 곳에서 생겨 물건이나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미생물.
水分のある温かい所で発生し、物品や食べ物などを腐らせる微生物。
  • 곰팡이 냄새.
  • 곰팡이가 끼다.
  • 곰팡이가 나다.
  • 곰팡이가 슬다.
  • 곰팡이가 피다.
  • 유통 기한이 지난 빵에 곰팡이가 펴서 먹을 수가 없었다.
  • 오랜 장마 때문에 방 안에 습기가 차서 벽지에 곰팡이가 슬었다.
  • 가: 서재에서 쾨쾨한 냄새가 나던데 뭐 때문이니?
  • 나: 오래된 책에 곰팡이가 펴서 그런 것 같아요.
  • ※ 몸은 균사로 되어 있고, 그 종류로는 검은곰팡이, 푸른곰팡이, 털곰팡이 등이 있다.
곰팡이균 (곰팡이 菌)
발음 : [곰ː팡이균 ]
명사 名詞
かびきん【黴菌】
물기가 있고 따뜻한 곳에서 생겨 물건이나 음식을 상하게 하는 균.
水分があって温かい所で発生し、物品や食べ物などを腐らせる菌。
  • 곰팡이균 검출.
  • 곰팡이균이 나오다.
  • 곰팡이균이 발생하다.
  • 곰팡이균을 억제하다.
  • 곰팡이균을 없애다.
  • 오빠는 무좀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균을 살균한다고 식초에 발을 담갔다.
  • 가습기 청소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곰팡이균이 증식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 가: 엄마, 요즘 비가 자주 와서 방에 곰팡이가 많이 피어요.
  • 나: 그러니? 곰팡이균을 없애 준다는 이 약을 뿌리렴.
발음 : [곱 ]
활용 : 곱이[고비], 곱도[곱또], 곱만[곰만]
명사 名詞
  1. 1. ばい【倍】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
    ある数や量を二回合する程。
    • 으로 오르다.
    • 곱이나 많다.
    • 지수의 용돈은 내 용돈보다 곱이나 많다.
    • 물가가 으로 올라서 생활비가 부족하다.
    • 가: 오늘 승규가 많이 배고픈 것 같아.
    • 나: 정말 그런 것 같아. 밥을 평소보다 곱이나 먹었어.
  2. 2. ばい【倍】
    거듭되어 합쳐진 수나 양.
    重なって合わせられた数や量。
    • 의 일.
    • 의 노력.
    • 유민이는 손이 빨라서 같은 시간에 두 의 일을 해낸다.
    • 농부는 작은 씨앗을 뿌려 작게는 몇 곱, 많게는 몇백 곱의 열매를 거둬들인다.
    • 가: 이 구두는 세일할 때 삼만 원 주고 산 거야.
    • 나: 나는 정가에 가서 너에 비해 세 곱이나 비싸게 주고 산 셈이네.
    • ※ 주로 고유어 수 뒤에 쓴다.
    • 유의어 곱절, 배⁴
곱-1
(곱고, 곱는데, 곱아, 곱아서, 곱으니, 곱으면, 곱은, 곱는, 곱을, 곱습니다, 곱았다, 곱아라)→곱다¹
곱-2
(곱고, 곱습니다)→곱다²
곱-3
(곱고, 곱는데, 곱아, 곱아서, 곱으니, 곱으면, 곱은, 곱을, 곱습니다, 곱았다)→곱다³
곱다1
발음 : [곱따 ]
활용 : 곱는[곰는], 곱아[고바], 곱으니[고브니], 곱습니다[곱씀니다]
동사 動詞
まがる【曲がる】
곧지 않고 한쪽으로 약간 급하게 휘다.
まっすくではなく、一方に若干、急に反る。
  • 가지가 곱다.
  • 팔이 곱다.
  • 안으로 곱다.
  • 오른쪽으로 곱다.
  • 왼쪽으로 곱다.
  • See More
  • 계속 구부정하게 앉아 있었더니 허리가 곱는 기분이다.
  • 세찬 바람에도 곱지 않는 나무처럼 나도 곧은 마음으로 살아갈 것이다.
  • 가: 나이가 드니 허리가 점점 곱는 것 같이 느껴지는구나.
  • 나: 평소 자세에 신경을 쓰시고 운동하시면 곧게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곱다2 ★★
발음 : [곱ː따 ]
활용 : 고운[고운], 고와[고와], 고우니[고우니], 곱습니다[곱ː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こぎれいだ【小綺麗だ】
    모양이나 생김새가 아름답다.
    形や様子が美しい。
    • 고운 손.
    • 고운 얼굴.
    • 곱게 차려입다.
    • 꽃이 곱게 피다.
    • 머리를 곱게 빗다.
    • 어머니는 나이가 드셨지만 고운 미소만큼은 여전하시다.
    • 예쁘게 한복을 입은 우리 언니의 모습이 곱다.
    • 가: 아이구, 얼굴도 하얗고 눈도 예쁘고 코도 오뚝한 게 참 예쁘네.
    • 나: 그러게요. 누구 집 딸인지 참 곱네요.
    • 문형 : 1이 곱다
    • 반대말 밉다
  2. 2. きれいだ【綺麗だ】
    색깔이 보기 좋고 아름답다.
    色がよく、美しい。
    • 고운 빛.
    • 고운 색깔.
    • 곱게 물들다.
    • 단풍이 곱다.
    • 빛깔이 곱다.
    • 유민이는 색이 고운 다홍빛 치마를 입고 집을 나섰다.
    • 하늘을 붉게 물들인 노을이 참 곱다.
    • 가: 와, 벌써 산에 단풍이 붉게 물들었어.
    • 나: 그러게. 정말 곱게 물들었네.
    • 문형 : 1이 곱다
  3. 3. きれいだ【綺麗だ】
    소리가 듣기 좋고 맑다.
    音がよく、澄んでいる。
    • 고운 노랫소리.
    • 고운 목소리.
    • 고운 음색.
    • 고운 음성.
    • 소리가 곱게 퍼지다.
    • 내 목소리는 꾀꼬리같이 맑고 곱다.
    • 고운 피아노의 선율을 듣고 있으니 기분까지 맑아지는 것 같다.
    • 가: 어제 공연은 정말 환상적이지 않았니?
    • 나: 맞아. 그 여가수 노랫소리가 너무 곱고 아름다워서 한시도 귀를 뗄 수가 없었어.
    • 문형 : 1이 곱다
  4. 4. なめらかだ【滑らかだ】
    만져 보았을 때의 느낌이 매끄럽고 부드럽다.
    触り心地が滑らかでやわらかい。
    • 고운 살결.
    • 고운 피부.
    • 비단결이 곱다.
    • 유민이는 아기처럼 피부가 깨끗하고 곱다.
    • 비단은 결이 매끄럽고 고와 옷을 만들어 입었을 때 피부에 닿는 느낌이 좋다.
    • 가: 어쩜 이렇게 살결이 고울 수 있어요?
    • 나: 꾸준히 관리를 하고 있거든요.
    • 문형 : 1이 곱다
  5. 5. こまかい【細かい】
    가루나 알갱이가 아주 잘다.
    粉や粒がとても細やかだ。
    • 고운 가루.
    • 고운 모래.
    • 곱게 만들다.
    • 곱게 빻다.
    • 밀가루가 곱다.
    • 약사는 알약을 빻아 곱게 가루로 만들었다.
    • 소금은 알갱이가 크고 거친 반면 밀가루는 알갱이가 매우 작고 곱다.
    • 가: 선생님, 재료 준비 끝났는데 무엇부터 할까요?
    • 나: 빵을 만들 거니까 먼저 밀가루를 체에 쳐서 곱게 만들어 주세요.
    • 문형 : 1이 곱다
  6. 6. きれいだ【綺麗だ】
    마음씨나 하는 행동, 말투가 부드럽고 상냥하며 친절하다.
    性格や行動、言葉使いが穏やかで、優しく、親切だ。
    • 고운 말.
    • 마음씨가 곱다.
    • 심성이 곱다.
    • 눈길이 곱지 않다.
    • 마음가짐을 곱게 가지다.
    • 유민이는 어려운 사람들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고운 마음씨를 지녔다.
    • 지수는 사람들에게 언제나 상냥하고 하는 말도 곱다.
    • 가: 에잇, 정말 꼴 보기 싫어.
    • 나: 말 좀 곱게 할 수 없니?
    • 문형 : 1이 곱다
  7. 7. やすらかだ【安らかだ】
    편안하고 순탄하다.
    安らかで順調だ。
    • 곱게 기른 딸.
    • 곱게 눈을 감다.
    • 곱게 늙다.
    • 곱게 살다.
    • 곱게 자라다.
    • 외동딸인 나는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곱게 자랐다.
    • 내 동생은 막내라고 부모님이 너무 곱게 키워서 세상 어려운 줄 모른다.
    • 가: 어제 남편 분께서 세상을 떠나셨다면서요. 뭐라고 위로를 해야 할지.
    • 나: 괴로워하지 않고 아픔 없이 곱게 눈을 감은 것만으로도 다행이죠.
    • ※ 주로 '곱게'로 쓴다.
    • 문형 : 1이 곱다
  8. 8. きれいだ【綺麗だ】
    그대로 온전하다.
    そのままで完全だ。
    • 곱게 간직하다.
    • 곱게 돌려보내다.
    • 곱게 두다.
    • 곱게 모셔 놓다.
    • 곱게 쓰다.
    • 나는 부모님이 주신 반지를 곱게 간직했다.
    • 친구는 나에게 옷을 빌려주면서 곱게 입으라고 신신당부했다.
    • 가: 이 편지는 상당히 오래 전 것으로 보여요.
    • 나: 네, 조상 대대로 전해지는 것을 제가 상자에 곱게 보관한 거예요.
    • ※ 주로 '곱게'로 쓴다.
    • 문형 : 1이 곱다
  9. 9. しとやかだ【淑やかだ】
    얌전하고 점잖다.
    おとなしく、品がある。
    • 어머니는 나에게 어딜 가든 곱게 행동하라고 말씀하셨다.
    • 양반 가문에서 태어나신 할머니는 식사를 하실 때도 곱게 앉아 드셨다.
    • 가: 저 사람 행동하는 걸 보니 너무 취한 것 같아.
    • 나: 그러게. 취하려면 곱게 취할 것이지.
    • ※ 주로 '곱게'로 쓴다.
    • 문형 : 1이 곱다
  10. 10. きれいだ【綺麗だ】
    흔적이 전혀 없다.
    痕跡が全くない。
    • 곱게 없애다.
    • 곱게 지우다.
    • 나는 종이의 낙서들을 지우개로 곱게 지웠다.
    • 파도는 바닷가 백사장 위에 그려진 그림을 곱게 지워버렸다.
    • 가: 어떡해. 새로 산 옷에 그만 커피 얼룩이 생겨버렸어.
    • 나: 식초를 살짝 묻히면 티 안 나고 곱게 지울 수 있어.
    • ※ 주로 '곱게'로 쓴다.
    • 문형 : 1이 곱다
  11. 11. すなおだ【素直だ】
    순순히 고분고분하다.
    逆らわず言うとおりに行動する。
    • 곱게 놓아주다.
    • 곱게 물러서지 않다.
    • 고집이 센 아들은 내 말을 한 번에 곱게 들은 적이 없다.
    • 유명 여가수가 표절을 했다는 논란은 곱게 넘길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 가: 엄마, 형이 심부름 한다고 해 놓고 몰래 친구 만나러 나갔어요.
    • 나: 어쩐지 내가 시키는 일을 곱게 한다 했어.
    • ※ 주로 '곱게'로 쓴다.
    • 문형 : 1이 곱다
관용구 · 속담(1)
곱다3
발음 : [곱따 ]
활용 : 곱은[고븐], 곱아 [고바], 곱으니[고브니], 곱습니다[곱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かじかむ【悴む】。かじける【悴ける】。ちぢかむ【縮かむ】
추워서 손과 발의 감각이 없거나 움직이기 어렵다.
寒さのため、手足の感覚がなく動きにくい。
  • 곱은 손가락.
  • 곱아서 움직이기 어렵다.
  • 발이 곱다.
  • 손이 곱다.
  • 손이 곱으면 제대로 움직일 수 없다.
  • 나는 추위 때문에 손이 곱을까 봐 두꺼운 장갑을 준비했다.
  • 가: 너 왜 제대로 걷지를 못해?
  • 나: 바깥 날씨가 너무 추워서 발이 곱은 것 같아요.
  • 문형 : 1이 2가 곱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