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남
발음 : [남남 ]
명사 名詞
あかのたにん【赤の他人】
서로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들. 또는 그런 사이.
お互い何の関係のない人。また、その仲。
  • 남남 사이.
  • 남남이 되다.
  • 남남이 만나다.
  • 남남이 아니다.
  • 남남으로 살다.
  • See More
  • 남남이던 두 사람이 만나 부부가 되었다.
  • 그 부부는 결혼 오 년 만에 이혼하고 결국 남남이 되었다.
  • 가: 우리 이렇게 헤어지는 거야?
  • 나: 네. 이제는 남남이니까 연락하지 마세요.
남녀 (男女) ★★★
발음 : [남녀 ]
명사 名詞
だんじょ・なんにょ【男女】
남자와 여자.
男と女。
  • 청춘 남녀.
  • 젊은 남녀.
  • 한 쌍의 남녀.
  • 남녀 혼성.
  • 남녀 구별.
  • See More
  • 남녀가 서로 다정하게 팔짱을 끼고 데이트를 한다.
  • 법에 따라 만 십구 세 이상의 성인 남녀라면 누구나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 가: 이번 계주는 각 팀에서 남녀 다섯 명씩 참가해야 한대.
  • 나: 그래? 지금 남자 다섯 명은 이렇게 채워졌으니 여자 다섯 명만 더 선발하면 되겠다.
  • 가: 여러 면에서 남자와 여자는 참 많이 다른 것 같아.
  • 나: 동감이야. 그래서 남녀 관계가 매우 어려운 건가 봐.
  • 가: 이번 수련회는 남녀를 구분하여서 조를 짠다고 하더라.
  • 나: 정말이야? 나는 남자들끼리만 조 모임을 하고 싶진 않은데. 아쉽다.
남녀 공학 (男女共學)
だんじょきょうがく【男女共学】。きょうがく【共学】
남자와 여자를 같은 학교에서 함께 교육시키는 일. 또는 그런 학교.
男子と女子を同じ学校で教育すること。また、そのような学校。
  • 남녀 공학 학교.
  • 남녀 공학이 되다.
  • 남녀 공학을 하다.
  • 남녀 공학에 다니다.
  • 누나는 여중, 여고, 여대에 다녔지만 나는 모두 남녀 공학에 다녔다.
  • 가: 지수야, 나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 다니게 되었어.
  • 나: 정말? 좋겠다. 나는 여고로 배정 받았어.
남녀노소 (男女老少)
발음 : [남녀노소 ]
명사 名詞
ろうにゃくなんにょ・ろうじゃくだんじょ【老若男女】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의 모든 사람.
男も女も、老人も若者も含む、あらゆる人々。
  • 남녀노소 누구나.
  • 남녀노소 모두.
  • 남녀노소 가리지 않다.
  • 남녀노소 따지지 않다.
  • 남녀노소 할 것 없다.
  • See More
  • 그 개그맨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좋아한다.
  • 정부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료 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있다.
남녀별 (男女別)
발음 : [남녀별 ]
명사 名詞
だんじょべつ【男女別】
남자와 여자를 따로 하여 각각.
男と女を別々にそれぞれ。
  • 남녀별 분포.
  • 남녀별 차이.
  • 남녀별로 나누다.
  • 남녀별로 뽑다.
  • 남녀별로 앉다.
  • 우리 학교에서는 학급 회장을 남녀별로 한 명씩 뽑는다.
  • 한국에서는 화장실이나 공중목욕탕을 남녀별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 가: 보통 성인 남성은 하루에 이천사백 칼로리, 여성은 이천 칼로리의 열량을 섭취해야 한대요.
  • 나: 남녀별 차이가 큰 편이네요.
남녀평등 (男女平等)
발음 : [남녀평등 ]
명사 名詞
だんじょびょうどう【男女平等】
남자와 여자가 법적 권리나 사회적 대우 등에서 차별이 없음.
男性と女性が法的権利や社会的待遇などで差別がないこと。
  • 남녀평등 사회.
  • 남녀평등 의식.
  • 남녀평등이 이루어지다.
  • 남녀평등을 외치다.
  • 남녀평등을 주장하다.
  • 김 사장은 남녀평등 의식이 전혀 없고 남성이 우월하다는 사상에 사로잡혀 있다.
  • 할머니는 옛날과 달리 요즘 사회에서는 남녀평등이 많이 이루어졌다고 하셨다.
  • 진정한 남녀평등은 남녀가 서로의 차이를 잘 알고 존중하고 배려할 때 이뤄진다.
  • 가: 이런 일은 여자가 해야지.
  • 나: 너, 시대에 뒤떨어진 이야기를 하는구나. 요즘은 남녀평등 시대야.
남녘 (南 녘)
발음 : [남녁 ]
활용 : 남녘이[남녀키], 남녘도[남녁또], 남녘만[남녕만]
명사 名詞
なんぽう【南方】。みなみのほう【南の方】
네 방위의 하나로 남쪽.
四つの方位の中の一つで南側。
  • 남녘 지방.
  • 남녘 하늘.
  • 남녘을 그리다.
  • 남녘을 바라보다.
  • 남녘으로 가다.
  • 그는 남쪽에 있는 고향을 그리며 조용히 남녘 하늘을 바라보았다.
  • 아직 삼월 초인데 날씨가 따뜻한 남녘 지방에는 벌써 꽃이 피었다고 한다.
  • 가: 이제 겨울이 다 가고 봄이 오려나 봐.
  • 나: 추위를 피해 남녘으로 날아갔던 철새들도 곧 돌아오겠지.
남다 ★★★
발음 : [남ː따 ]
활용 : 남아[나마], 남으니[나므니]
동사 動詞
  1. 1. のこる【残る】。あまる【余る】
    다 쓰지 않아서 나머지가 있게 되다.
    使いきれず、残りが出る。
    • 남은 몫.
    • 남은 시간.
    • 돈이 남다.
    • 물건이 남다.
    • 밥이 남다.
    • See More
    • 이번 달 용돈이 남아서 나는 저축을 했다.
    • 나는 숙제를 다 하고 시간이 남아서 동생의 숙제를 도와주었다.
    • 그는 운동장 스무 바퀴를 뛰었는데도 힘이 남았는지 전혀 지친 기색이 없었다.
    • 내가 배가 고파서 부엌에 가 보니 아침에 먹다가 남은 찬밥 한 그릇밖에 없었다.
    • 가: 유민아, 너 지난번에 옷 만들고 나서 천이 좀 남았니?
    • 나: 응. 많이 남았어. 너 필요하면 줄게.
    • 문형 : 1이 남다
  2. 2. もうかる【儲かる】
    이익이 생기다.
    利益が生じる。
    • 남는 장사.
    • 돈이 남다.
    • 이문이 남다.
    • 이윤이 남다.
    • 이익이 남다.
    • See More
    • 요즘은 온라인으로 장사를 하는 것이 이윤이 많이 남는다.
    • 시장 할머니는 하루 종일 물건을 팔아도 적게 남는다고 울상이었다.
    • 가: 아주머니, 무슨 생선이 그렇게 비싸요? 좀 깎아 주세요.
    • 나: 이거 팔아서 얼마나 남는다고 그렇게 깎으려 들어요?
  3. 3. あまる【余る】
    나눗셈에서 나머지가 얼마 있게 되다.
    割り算で、割り切れないで残りが出る。
    • 일이 남다.
    • 이가 남다.
    • 삼이 남다.
    • 구를 사로 나누면 일이 남는다.
    • 팔을 이로 나누면 아무 수도 남지 않는다.
    • 가: 나눗셈을 할 때 나머지 없이 딱 떨어지면 기분이 좋더라.
    • 나: 맞아. 그런데 시험에서는 꼭 얼마가 남게 문제가 나오더라고.
    • 문형 : 1이 남다
  4. 4. のこる【残る】
    떠나지 않고 있던 그대로 있다.
    離れなく、そのままでいる。
    • 그녀가 남다.
    • 내가 남다.
    • 우리가 남다.
    • 고향에 남다.
    • 교실에 남다.
    • See More
    • 그는 빈 교실에 혼자 남아서 공부를 했다.
    • 공연이 끝났지만 사람들은 가지 않고 모두 남아 있었다.
    • 모두가 도시로 갔지만 박 노인은 끝까지 고향에 남았다.
    • 가: 어제 회식 때 마지막까지 남은 사람이 누구야?
    • 나: 박 대리래. 그 사람 술을 무척 잘 마시더라. 아무리 마셔도 취한 기색이 없었어.
    • 문형 : 1이 2에 남다
  5. 5. のこる【残る】
    잊히지 않다.
    忘れられない。
    • 상처가 남다.
    • 아쉬움이 남다.
    • 인상이 남다.
    • 첫인상이 남다.
    • 가슴에 남다.
    • See More
    • 할아버지의 마지막 미소는 내 마음에 오래도록 남을 것 같다.
    • 그는 죽었지만 그의 위대한 사상은 인류 역사에 영원히 남을 것이다.
    • 그녀와 헤어진 지 오 년이나 되었지만 그녀는 아직도 내 마음에 남아 있다.
    • 가: 너 대학 다닐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뭐니?
    • 나: 응, 불우한 아이들에게 공부를 가르쳐 주는 봉사 동아리 활동을 했던 일이 가장 기억에 남아.
    • 문형 : 1이 2에/에게 남다
  6. 6. のこる【残る】
    뒤에까지 전하다.
    後世に伝わる。
    • 기록이 남다.
    • 이름이 남다.
    • 기록에 남다.
    • 역사에 남다.
    • 후대에 남다.
    • See More
    • 김 작가의 그림은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이다.
    • 그 일에 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서 확인할 방법이 없다.
    • 문형 : 1이 2에/에게 남다
  7. 7. のこる【残る】
    어떤 상황의 결과로 생긴 상태가 있게 되다.
    ある状況の結果で生じた状態のままである。
    • 과제가 남다.
    • 문제가 남다.
    • 상처가 남다.
    • 흉터가 남다.
    • 흔적이 남다.
    • See More
    • 이혼은 두 사람 모두의 마음에 상처로 남는다.
    • 이번 여행은 우리 모두의 마음에 즐거운 추억으로 남았다.
    • 이번 사건은 해결되지 못하고 결국 미스터리로 남게 되었다.
    • 문형 : 1이 2에/에게 (3으로) 남다
  8. 8. あまる【余る】
    정도를 넘다.
    ある程度を超える。
    • 그러고도 남다.
    • 하고도 남다.
    • 알고도 남다.
    • 이해하고도 남다.
    • 짐작이 가고도 남다.
    • 그 사나운 여자는 상대의 머리채를 휘어잡고도 남을 사람이었다.
    • 이 건축물을 보면 우리 선조들의 건축 기술이 얼마나 발달했었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 문형 : 1이 2-고도 남다
남다르다
발음 : [남다르다 ]
활용 : 남다른[남다른], 남달라[남달라], 남다르니[남다르니], 남다릅니다[남다름니다]
형용사 形容詞
ひとなみはずれだ【人並みはすれだ】
보통의 사람과 많이 다르다.
普通の人とかなり違う。
  • 남다른 관심.
  • 남다른 감각.
  • 남다른 능력.
  • 남다른 재능.
  • 남다른 정.
  • See More
  • 누나는 패션에 남다른 감각이 있어서 옷을 참 잘 입는다.
  • 형은 어려서부터 수학에 남다른 재능을 보이더니 결국 수학 박사까지 되었다.
  • 막내 손자에 대한 할머니의 애정은 참 남달랐다.
  • 문형 : 1이 남다르다
남단 (南端)
발음 : [남단 ]
명사 名詞
なんたん【南端】
남쪽의 끝.
南の端。
  • 한반도 남단.
  • 제주도 남단.
  • 국토의 남단.
  • 남단에 위치하다.
  • 남단으로 가다.
  • 제주도는 한반도 남단에 위치한 아름다운 섬이다.
  • 시청으로 가려면 이 다리의 남단에서 북단으로 넘어간 후 우회전하면 된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