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후 (幕後)
발음 : [마쿠 ]
명사 名詞
ぶたいうら【舞台裏】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감추어진 뒷면.
表に現れず、隠されている裏面。
  • 막후 공작.
  • 막후 교섭.
  • 막후 권력자.
  • 막후 실력자.
  • 막후 정치.
  • See More
  • 그는 앞에 나서지 않고 막후에서 사람들을 은밀하게 조종하였다.
  • 그는 대통령의 친구이자 후원자로 자타가 공인하는 현 정권의 막후 실세이다.
  • 가: 서로에게 적대적이던 두 나라가 정상 회담을 한다더라.
  • 나: 응. 어느 정치인이 회담을 성사시키려고 막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대.
막히-
(막히고, 막히는데, 막히니, 막히면, 막힌, 막히는, 막힐, 막힙니다)→막히다
막히다 ★★★
발음 : [마키다 ]
활용 : 막히어[마키어/ 마키여](막혀[마켜]), 막히니[마키니]
동사 動詞
  1. 1. ふさがる【塞がる】。さえぎられる【遮られる】。つまる【詰まる】
    길, 통로, 구멍 등이 통하지 못하게 되다.
    道、通路、穴などが通じなくなる。
    • 막힌 구멍.
    • 강물이 막히다.
    • 골목길이 막히다.
    • 길이 막히다.
    • 통로가 막히다.
    • See More
    • 음식물 찌꺼기와 각종 오물로 하수구가 막혀 물이 잘 빠지지가 않는다.
    • 병에는 마개가 단단히 막혀 있어 옆으로 쓰러져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는다.
    • 가: 지수야, 오늘은 평소보다 늦게 왔구나.
    • 나: 평소 집에 오는 길이 공사 중이라 막혀서 둘러서 왔거든요.
    • 문형 : 1이 막히다
  2. 2. ふさがる【塞がる】。さえぎられる【遮られる】
    앞이 트이지 않게 가려지거나 둘러싸이게 되다.
    向こうが見えないように遮断されたり囲まれたりする。
    • 막힌 문.
    • 사방이 막히다.
    • 앞이 막히다.
    • 앞뒤가 막히다.
    • 정원이 막히다.
    • See More
    • 방에 나 있는 조그만 창마저도 판자로 막혀 햇빛이 하나도 들지 않았다.
    • 이 감옥은 철문과 두꺼운 문, 특수 유리로 된 창으로 막혀 있어 죄수들이 탈출할 수 없다.
    • 가: 엄마, 할머니 벌써 시골로 돌아가셨어요?
    • 나: 응, 주변이 다 고층 건물로 막혀서 답답하시다고 오늘 가셨어.
    • 문형 : 1이 막히다
  3. 3. つかえる【仕える・閊える】。つまる【詰まる】
    모르거나 어려운 것에 부딪혀 일이 잘 풀리지 않다.
    分からなかったり難しかったりすることに直面して、うまく進まない。
    • 막힌 말문.
    • 대답이 막히다.
    • 말이 막히다.
    • 문제가 막히다.
    • 생각이 막히다.
    • 그는 풀고 있던 문제가 막히는지 머리를 쥐어뜯으며 괴로워하고 있었다.
    • 그녀의 갑작스러운 질문에 나는 그만 말문이 막혀 한참 동안 식은땀을 흘렸다.
    • 가: 선생님, 글을 쓰시다가 막히면 어떻게 하십니까?
    • 나: 펜을 놓고 공원으로 산책을 나갑니다.
    • 문형 : 1이 2가 막히다
  4. 4. さえぎられる【遮られる】。とめられる【止められる】。さまたげられる【妨げられる】
    어떤 것이 중단되게 되거나 하려던 것을 못하게 되다.
    何かが続かなくなったり、やろうとしていたことができなくなったりする。
    • 막힌 혼삿길.
    • 공격이 막히다.
    • 벼슬길이 막히다.
    • 사업이 막히다.
    • 연구가 막히다.
    • See More
    • 주변의 자금 지원이 막히면서 우리 회사의 재정 상황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 우리 팀은 공격이 상대 팀 수비에 철저히 막히자 좀 더 거칠게 공격을 시작했다.
    • 가: 일찍 들어오라는 부모님 전화지?
    • 나: 응, 늦게 다니고 그러면 혼삿길 막힌다고 잔소리하셔.
    • 문형 : 1이 2가 막히다
  5. 5. つかえる【仕える・閊える】。つまる【詰まる】
    몸의 일부에 무엇인가가 통하지 않게 되다.
    体の一部に何かが通じなくなる。
    • 막힌 혈관.
    • 귀가 막히다.
    • 기가 막히다.
    • 목이 막히다.
    • 숨이 막히다.
    • See More
    • 그는 가슴이 답답하게 막히는지 웃옷 단추를 풀고 길게 숨을 내쉬었다.
    • 승규는 비명을 지르고 싶었지만 목구멍이 막혀 목소리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 가: 증상이 어떻습니까?
    • 나: 코가 꽉 막혀서 숨을 쉬기가 힘들어요.
    • 문형 : 1이 2가 막히다
  6. 6. こむ【込む】。じゅうたいする【渋滞する】
    길에 차가 많아 차가 제대로 가지 못하게 되다.
    道路に車が多くて、なかなか進まなくなる。
    • 막힌 고속 도로.
    • 길이 막히다.
    • 도로가 막히다.
    • 차가 막히다.
    • 차도가 막히다.
    • 어제 내린 눈으로 인해 지금은 도로가 많이 막히고 있다.
    • 추석이 되자 고향을 내려가는 차량으로 인해 고속 도로가 꽉 막혔다.
    • 가: 왜 이렇게 늦었니?
    • 나: 미안해, 차가 어찌나 막히던지.
    • 문형 : 1이 막히다
  7. 7. ゆうずうがきかない【融通が利かない】
    융통성이 없이 답답하게 굴다.
    融通性がなく、窮屈に振る舞う。
    • 막힌 사람.
    • 앞뒤가 막히다.
    • 앞뒤로 막히다.
    • 그는 배운 것을 응용할 줄은 모르고 배운 대로만 하는 꽉 막힌 사람이었다.
    • 우리 아버지는 앞뒤가 꽉 막혀서 남의 말은 도무지 들을 줄 모르는 분이시다.
    • 가: 그래도 원칙대로 일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 나: 이렇게 막힌 사람을 봤나, 원칙 다 지켰다가는 일을 시작하기도 힘들어.
    • 문형 : 1이 막히다
막힘없다
발음 : [마키멉따 ]
활용 : 막힘없는[마키멈는], 막힘없어[마키멉써], 막힘없으니[마키멉쓰니], 막힘없습니다[마키멉씀니다], 막힘없고[마키멉꼬], 막힘없지[마키멉찌]
형용사 形容詞
さしつかえない【差し支えない】。さしさわりない【差し障りない】。じゅんちょうだ【順調だ】
일이 잘 진행되어 방해받는 것이 없다.
仕事が捗って、妨げになるものがない。
  • 막힘없는 언변.
  • 막힘없는 태도.
  • 대답이 막힘없다.
  • 일이 막힘없다.
  • 당당하고 막힘없다.
  • 그의 당당하고 막힘없는 대답에 마음이 시원해졌다.
  • 형은 말을 잘해서 누구와도 막힘없는 대화를 할 수 있다.
  • 이 작품에는 작가의 막힘없고 기발한 상상력이 잘 드러나 있다.
  • 문형 : 1이 막힘없다
막힘없이
발음 : [마키멉씨 ]
부사 副詞
さしつかえなく【差し支えなく】。さしさわりなく【差し障りなく】。じゅんちょうに【順調に】
방해받는 것이 없이 쉽게.
妨げられず、容易に。
  • 막힘없이 말하다.
  • 막힘없이 오르다.
  • 막힘없이 이어가다.
  • 막힘없이 진행되다.
  • 막힘없이 통하다.
  • 열심히 시험을 준비한 그녀는 시험지를 받자마자 답안을 막힘없이 써 내려갔다.
  • 이 약은 혈액 순환을 돕는 약으로 우리 몸의 혈액이 막힘없이 잘 돌아가도록 해준다.
  • 가: 저 발표자 말 잘 한다. 막힘없이 술술 말이 이어지는 게.
  • 나: 그러게. 발표 준비를 열심히 했나 봐.
1
발음 : [만 ]
참고 : 주로 '만에', '만이다' 로 쓴다.
의존 명사 依存名詞
  1. 1. め【目】。ぶり
    시간이 얼마 동안 지났음을 나타내는 말.
    時間がある程度経過したという意を表す語。
    • 삼십 분 .
    • 십 년 의 귀국.
    • 두 시간 에 끝나다.
    • 육 개월 만에 만나다.
    • 그는 유학을 떠난 지 오 년 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 시험지를 받자마자 거침없이 답을 쓰기 시작한 그녀는 시험을 시작한 지 삼십 분 에 답안지를 제출했다.
    • 가: 오랜이야. 잘 지냈어?
    • 나: 우리 몇 년 이지? 한 이 년쯤 됐나?
    • ※ 시간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2. 2. め【目】
    앞말이 가리키는 횟수로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
    前後の指す回数で終わったことを表す語。
    • 나는 세 번 에 그 시험에 합격했다.
    • 그와 결혼을 결심한 것은 만난 지 다섯 번 만이다.
    • 가: 통신비 자동이체 계좌를 변경하려는데 상담원과 통화 연결이 어려워.
    • 나: 어휴, 말도 마. 나도 몇 번 에 겨우 통화 연결이 되었는지 몰라.
    • ※ 횟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2
발음 : [만 ]
의존 명사 依存名詞
  1. 1.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그럴 듯한 이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にはそれに値する理由があるという意を表す語。
    • 이번 수학 시험에서 그 문제는 고등학생이 풀기에도 어려운 것이라 중학생은 틀릴 도 했다.
    • 그녀의 남자 친구는 잘생긴 얼굴은 아니었지만 자상하고 재미있는 사람이라 그녀가 좋아할 만은 하다.
    • 가: 유민이 좀 놀렸더니 화가 나서 가 버렸어.
    • 나: 네가 장난이 지나쳤어. 싫어하는 거 알면서 계속 그랬으니, 걔가 화낼 도 해.
  2. 2.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が可能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語。
    • 실형을 선고 받은 김 씨는 항소를 할 만도 했지만, 결과에 따르기로 했다.
    • 그 회사는 저작권을 통한 부수입을 노릴 도 했으나 다른 회사들이 이 특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가: 내가 계속 미안하다고 걔한테 사과했는데 들은 척도 안 해.
    • 나: 그래? 그 정도 했으면 받아 줄 도 한데.
3
조사 助詞
  1. 1. だけ。のみ
    다른 것은 제외하고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조사.
    他の物事は除き、特定の物事に限定す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그는 중요한 서류에 사인을 할 때는 이 만년필만 쓴다.
    • 지수는 과일 중에 딸기 좋아한다.
    • 나는 요즘 상영하는 영화 중에 이 영화 보고 싶어.
    • 가: 다른 아이들은 어디 가고 너 여기에 있니?
    • 나: 다른 아이들은 밥을 먹으러 갔어요. 저는 자리를 지킬 사람이 필요해서 대표로 남아 있는 거예요.
  2. 2. ばかり。だけ。のみ。さえ
    무엇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何かを強調す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이 문제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 진실을 알기 위해서는 그를 찾아야 한다.
    • 눈앞의 일이 해결되었다고 좋아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 가: 이 컴퓨터는 또 말썽이야.
    • 나: 그때 컴퓨터를 고치기 했어도 지금 말썽을 부리진 않았을 거 아냐.
  3. 3. だけ。のみ
    말하는 사람이 기대하는 최소의 선을 나타내는 조사.
    話し手の期待する最小限の限度を表す助詞。
    • 우리 가위바위보 딱 한 번 더 해 보자.
    • 드라마 한 편 더 보고 나가면 안 될까?
    • 마지막으로 남은 술을 한 잔씩 마시고 나갑시다.
    • 가: 티셔츠 한 장 고르신 거죠? 오 원입니다.
    • 나: 티셔츠 한 장에 오만원이요? 너무 비싼데 오천 원만 깎아 주세요.
    • ※ 주로 수량 표현과 함께 쓴다.
  4. 4. ほど
    앞의 말이 비교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前の言葉が比較の対象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동생이 언니 못하네.
    • 일을 그런 식으로 할 거면 안 하느니 못하지.
    • 유민이는 얼굴이 주먹 하다.
    • 이 천의 촉감이 저것 못하다.
    • 가: 나 둘 중에 어떤 반지를 살까?
    • 나: 오른쪽에 있는 게 왼쪽에 있는 것 못해.
    • ※ 주로 ‘하다’, ‘못하다’와 함께 쓴다.
  5. 5. だけ。のみ
    앞의 말이 어떤 것에 대한 조건임을 나타내는 조사.
    前の言葉が何かについての条件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민준이는 나 보면 뭐라고 하더라.
    • 나는 배가 많이 고프지 않아서 이것 먹어도 충분할 것 같아.
    • 이 정도 외워도 시험이 어렵지 않을 거야.
    • 가: 지수야, 너 많이 피곤해 보인다.
    • 나: 응, 어디에서라도 눕기 하면 잠들 것 같아.
    • ※ 주로 ‘-어도', '-으면’의 앞에 쓴다.
4
참고 : '-다', '-냐', '-자', '-지' 등의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が。けれども。けれど。けど
앞의 내용을 인정하면서도 그 내용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등을 말할 때 쓰는 조사.
前の内容を認めながらも、それに対する疑問や、それから外れる状況などを述べるのに用いる助詞。
  • 미안합니다 저는 저녁 모임에 참석할 수 없어요.
  • 오전에 비가 얼마나 오겠냐 그래도 배수로 정비를 해야 한다.
  • 그 사람은 나한테 도와 달라고 하더니 이제는 다른 사람한테 가서 도와 달라고 하네.
  • 나도 그 강의를 듣고 싶다 들을 시간이 없다.
5 (灣)
발음 : [만 ]
명사 名詞
わん【湾】
바다가 육지 쪽으로 들어와 있는 곳.
海が陸地の方に入り込んでいるところ。
  • 한국의 황해는 바닷물이 범람하여 이루어진 이다.
  • 소규모의 만인 그곳은 물결이 잔잔하여 항만이 발달한 곳이다.
6 (萬) ★★★
발음 : [만ː ]
수사 数詞
まん【万】。いちまん【一万】
천의 열 배가 되는 수.
一千の10倍になる数。
  • .
  • .
  • 을 넘다.
  • 이 되다.
  • 에 맞추다.
  • 지난 6개월 간 판매한 제품의 개수가 을 넘어섰다.
  •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수를 세어 보니 대충 이 나왔다.
  • 가: 서명 운동을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 나: 서명한 사람이 만이 될 때까지만 합시다.
관용구 · 속담(1)
7 (萬) ★★★
발음 : [만ː ]
관형사 冠形詞
まん【万】。いちまん【一万】
천의 열 배가 되는 수의.
一千の10倍になる数の。
  • 달러.
  • 명.
  • 배.
  • 번.
  • 원.
  • See More
  • 명의 관중이 축구 경기장을 가득 채웠다.
  • 작년 한 해 동안 판매된 자동차가 대나 된다.
  • 가: 혹시 잔돈 있어?
  • 나: 나도 원짜리밖에 없어.
  • ※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쓴다.
관용구 · 속담(1)
8 (滿) ★★
발음 : [만 ]
관형사 冠形詞
まん【満】。まる【丸】
날, 주, 달, 해, 나이 등의 일정한 기간이 꽉 찼음을 나타내는 말.
日・週・月・年・年齢など、一定の期間が満ちていることを表す語。
  • 이틀.
  • 하루.
  • 오 개월.
  • 십 년.
  • 이 년.
  • See More
  • 올해 생일이 지나면 나도 서른 살이 된다.
  • 유학을 간 승규는 만 삼 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다시 왔다.
  • 그는 글을 쓰기 시작한 지 만 석 달 만에 작품을 완성해 출판사에 넘겼다.
  • 십오 년 동안 우리 회사에서 일한 김 부장은 회사에 없어서는 안 될 인물이다.
만가 (輓歌/挽歌)
발음 : [만가 ]
명사 名詞
ばんか【挽歌】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며 부르는 노래.
人の死を悲しんで歌う歌。
  • 만가 소리.
  • 만가가 흐르다.
  • 만가를 부르다.
  • 만가에 맞추다.
  • 우리는 서글픈 만가를 들으며 친구의 죽음을 슬퍼했다.
  • 덤덤한 목소리로 부르는 만가는 더욱 쓸쓸하게 내 가슴을 후볐다.
  • 목청 좋은 사내의 만가 소리에 맞춰 상여를 맨 일꾼들이 후렴구를 넣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