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여행 (無錢旅行)
발음 : [무전녀행 ]
명사 名詞
むせんりょこう【無銭旅行】
숙박비나 식비 등 여행에 필요한 돈 없이 하는 여행.
宿泊費や食費など、旅行に要る金銭を持たないでする旅行。
  • 무전여행을 떠나다.
  • 무전여행을 하다.
  • 모험을 좋아하는 그는 혼자 자전거를 타고 전국 무전여행을 했다.
  • 스무 살인 그는 대학교 첫 방학을 맞아 친구들과 함께 무전여행을 떠났다.
  • 가: 일주일 간 기차를 자유롭게 탈 수 있는 표만 끊어서 여행을 하려고 해.
  • 나: 무전여행을 하겠다는 거야? 숙식은 어떻게 해결하려고?
무절제 (無節制)
발음 : [무절쩨 ]
명사 名詞
むせっせい【無節制】
정도에 지나치지 않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하지 못함.
度を越さないよう程よく調節したり制限することができないこと。
  • 무절제와 무기력.
  • 무절제와 욕망.
  • 그녀는 쇼핑의 무절제로 카드 빚에 허덕이는 삶을 살고 있다.
  • 중고생들의 이기주의와 무절제가 갈수록 심각해져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가: 회사 그만두고 나니까 어때? 잘 지내고 있는 거야?
  • 나: 자고 싶은 만큼 자고, 놀고 싶은 만큼 놀며 무절제에 빠져 살고 있어.
무절제하다 (無節制 하다)
발음 : [무절쩨하다 ]
활용 : 무절제한[무절쩨한], 무절제하여[무절쩨하여](무절제해[무절쩨해]), 무절제하니[무절쩨하니], 무절제합니다[무절쩨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ふせっせいだ【不節制だ】
정도에 지나치지 않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하지 못하다.
度を超さないように調節して抑えることができない。
  • 무절제한 사람.
  • 무절제한 생활.
  • 무절제한 소비.
  • 무절제한 욕망.
  • 무절제한 행동.
  • 인류의 무절제한 욕심은 결국 지구의 파멸을 가져오게 된다.
  • 내 위염은 과식과 과음, 폭식 등 불규칙적이고 무절제한 식사 습관이 주요 원인이다.
  • 가: 애가 그렇게 사 달라는데 좀 사 주지 그래.
  • 나: 안 돼요, 사 달라고 다 사 주면 무절제한 사람으로 자라게 돼요.
  • 문형 : 1이 무절제하다
무정 (無情)
발음 : [무정 ]
명사 名詞
むじょう【無情】
사랑하거나 좋아하는 마음이 없어 차갑고 인정이 없음.
愛したり好きだという感情がなく、冷たくて情けのないこと。
  • 무정을 느끼다.
  • 무정을 보이다.
  • 무정을 원망하다.
  • 여인은 내 무정에 상처를 받은 듯 서운한 얼굴로 돌아섰다.
  • 아버지는 오랜만에 집에 온 아들을 무정이라고 할 만큼 차갑게 내쫓으셨다.
  • 가: 그 애가 눈물 한 방울 안 보이면서 내게 헤어지자더라.
  • 나: 사람이 참 무정도 하지.
무정 명사 (無情名詞)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むじょうめいし【無情名詞】
감정을 나타내지 못하는 식물이나 무생물을 가리키는 명사.
感情を表すことのできない植物や無生物を指す名詞。
  • 유정 명사에는 조사 ‘에게’가 붙고 무정 명사에는 조사 ‘에’가 붙는다.
  • ‘기쁘다’, ‘슬프다’ 등 감정을 표현하는 형용사는 무정 명사와 어울리지 못한다.
  • '정부'라는 단어는 관점에 따라 유정 명사로 볼 수도 있고 무정 명사로 볼 수도 있다.
  • 가: '있다'의 높임말이 뭐예요?
  • 나: 유정 명사의 경우에는 '계시다', 무정 명사의 경우에는 '있으시다'입니다.
무정부 (無政府)
발음 : [무정부 ]
명사 名詞
むせいふ【無政府】
정부가 없음.
政府が存在しないこと。
  • 무정부 사회.
  • 무정부 상태.
  • 무정부 시대.
  • 무정부로 인하다.
  • 그 나라는 정부가 주민들을 전혀 통제할 수 없는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 흉작과 무정부 상태의 혼란이 수년 동안 계속되자 그 사회는 완전히 무너지고 말았다.
무정부주의 (無政府主義)
발음 : [무정부주의 /무정부주이 ]
명사 名詞
むせいふしゅぎ【無政府主義】
개인을 지배하는 정치 권력이나 공공의 강제를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사상.
個人を支配する政治権力や公共の強制を否定し、個人の自由を最高の価値とする思想。
  • 무정부주의 운동.
  • 무정부주의 사상.
  • 무정부주의 계열.
  • 무정부주의 혁명가.
  • 무정부주의를 지향하다.
  • 그는 무정부주의와 같은 과격한 혁명적 사회주의는 위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독립운동을 하며 이 땅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노력했던 그는 임시 정부에 대한 실망으로 무정부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
무정하다 (無情 하다)
발음 : [무정하다 ]
활용 : 무정한[무정한], 무정하여[무정하여](무정해[무정해]), 무정하니[무정하니], 무정합니다[무정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むじょうだ【無情だ】。つれない
    사랑하거나 좋아하는 마음이 없어 차갑고 인정이 없다.
    慈しむ心や好きな心がなくて冷たくて思いやりがない。
    • 무정한 말.
    • 무정한 사람.
    • 무정한 성격.
    • 무정하게 굴다.
    • 무정하게 말하다.
    • 남편의 무정한 성격 때문에 아내는 서운할 때가 많았다.
    • 과거는 과거일 뿐이라며 무정하게 말하는 지수를 보고 나는 그녀를 잊겠다고 결심했다.
    • 가: 나는 이제 승규를 보고 싶지 않다.
    • 나: 그래도 친했었는데 그렇게 무정하게 굴지 말고 화해해.
  2. 2. つれない。おもいやりがない【思いやりが無い】
    다른 사람의 사정에 아랑곳없다.
    他人の事情など気にしない。
    • 무정한 나이.
    • 무정한 세월.
    • 무정한 시간.
    • 무정하게 지나가다.
    • 무정하게 흐르다.
    • 무정한 세월은 쏜살같이 흘러 어느덧 내 나이도 환갑이 되었다.
    • 밤 사이의 악몽 같은 화재를 아랑곳하지 않고 오늘도 아침 해가 무정하게 솟았다.
    • 가: 우리가 만난 지도 벌써 십 년이 넘었네.
    • 나: 그러니까 시간은 무정히 흘러서 우리가 벌써 마흔이다.
    • 문형 : 1이 무정하다
무정형 (無定形)
발음 : [무정형 ]
명사 名詞
むていけい【無定形】
정해진 형식이나 모양이 없음.
きまっている形がないこと。
  • 무정형 물질.
  • 무정형의 덩어리.
  • 무정형의 삶.
  • 액체는 그 자체가 무정형이면서 분리된 다른 것들을 연결시킬 수도 있다.
  • 이 쿠션은 사람이 사용하면서 움직이는 자세에 따라 그 형태가 이루어지는 무정형 쿠션이다.
무정형하다 (無定形 하다)
발음 : [무정형하다 ]
활용 : 무정형한[무정형한], 무정형하여[무정형하여](무정형해[무정형해]), 무정형하니[무정형하니], 무정형합니다[무정형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むていけいだ【無定形だ】
일정한 형식이나 모양이 없다.
一定の形式や形がない。
  • 무정형한 개성.
  • 무정형한 물질.
  • 무정형한 상태.
  • 무정형한 이미지.
  • 우리는 무정형한 상태의 진흙으로 도자기를 곱게 빚었다.
  • 이 작곡가는 무정형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즉흥곡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 문형 : 1이 무정형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