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로
어미 語尾
から。ので。ため。ゆえ【故】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原因や理由の意を表す「連結語尾」。
  • 민준이는 부지런하므로 어디서나 신뢰를 받는다.
  • 공연에 방해가 되므로 공연 중에는 입장할 수 없습니다.
  • 소리가 작아 잘 안 들리므로 다음에는 볼륨을 좀 높여야 할 것 같다.
  • 운동도 지나치면 오히려 몸에 무리가 가므로 적당히 조절해야 한다.
  • 가: 지금 막 시작한 연극을 보러 왔는데요.
  • 나: 죄송합니다. 지금은 공연 중이므로 입장하실 수 없습니다.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므로
-미3 (米)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まい【米】
‘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米」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구호
  • 군량
  • 백옥
  • 비축
  • 정부
★★
발음 : [뭘 ]
감탄사 感動詞
いえ。いや
상대편의 칭찬이나 감사에 대해 그것이 대단한 것이 아님을 겸손하게 나타내는 말.
相手の称賛や感謝などの言葉に対して、それが大したことではないという意を謙遜していう語。
  • 남들도 대학교 입학은 다 하는데요, .
  • 고맙기는 , 네 결혼식인데 당연히 와 봐야지.
  • 가: 어쩌면 그렇게 요리를 잘 하니?
  • 나: 이 정도 가지고, .
  • 가: 선물 너무 마음에 든다, 고마워!
  • 나: 별거 아닌데, .
발음 : [뭗ː ]
활용 : 뭣이[뭐ː시], 뭣도[뭗ː또], 뭣만[뭔ː만]
대명사 代名詞
  1. 1. なに【何】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말.
    未知の事実や事物を指していう語。
    • 오늘은 을 입을까?
    • 울면서 말을 해서 아이가 을 말하는 건지 알 수가 없다.
    • 나는 지수가 을 좋아하는지 몰라 선물 고르기가 어려웠다.
    • 승규는 아내가 백화점에서 을 사 오라고 했는지 잊어버렸다.
    • 가: 난 시원한 음식도 좋고 뜨거운 음식도 좋아.
    • 나: 그래서 대체 을 먹고 싶다는 거야?
  2. 2. なに【何】。なにがし【某】
    정해지지 않은 대상이나 굳이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는 대상을 가리키는 말.
    不定の対象および、あえて名を明確にする必要のない対象を指していう語。
    • 내 남자 친구는 내가 을 부탁해도 다 들어준다.
    • 나는 딸아이가 먹고 싶다는 것은 뭣이든지 만들어 주었다.
    • 어머니는 식사 시간도 놓치고 공부하는 나에게 뭣이라도 좀 먹고 하라고 했다.
    • 가: 야근을 자주 하면 돈은 많이 벌어서 좋지 않아요?
    • 나: 돈이고 뭣이고 일단 집에 들어갈 수가 있어야지.
뭣하다1
발음 : [뭐ː타다 ]
동사 動詞
なにする【何為る】
어떤 일을 이루는 데 쓰거나 그 일을 목적으로 하다.
何かを成すために使ったり、それを目的にしたりする。
  • 그건 알아서 뭐하려고 자꾸 물어보니?
  • 쓸 일도 없을 텐데 일본어는 배워서 뭐하니?
  • 남편은 옷이 많은데 뭣하러 사냐고 내게 짜증을 냈다.
  • 가: 페인트로 뭣하려고 그래?
  • 나: 방문을 다른 색으로 칠해 보려고.
  • 문형 : 1이 무엇하다
  • 본말 무엇하다¹
뭣하다2
발음 : [뭐ː타다 ]
활용 : 뭣한[뭐ː탄], 뭣하여[뭐ː타여](뭣해[뭐ː태]), 뭣하니[뭐ː타니], 뭣합니다[뭐ː탐니다]
형용사 形容詞
なんだ【何だ】
무엇을 하기가 거북하거나 곤란하거나 난처한 상황이어서 마음이 편하지 않다.
何かをすることが気まずかったり困難だったりして、気が進まない。
  • 말하기가 뭣하다.
  • 물어보기가 뭣하다.
  • 받기가 뭣하다.
  • 하기가 뭣하다.
  • 나는 자꾸 거절하기가 뭣해서 결국 유민이의 부탁을 들어주기로 했다.
  • 지수는 아무리 어쩔 수가 없는 상황이라도 부모님께 거짓말을 하기가 뭣했다.
  • 나는 언니에게 직접 물어보기가 뭣해서 동생에게 대신 물어봐 달라고 부탁을 했다.
  • 가: 그래도 학부모가 감사의 인사로 주는 선물인데 사양하지 말고 받지 그랬어?
  • 나: 너무 비싼 거라서 받기가 뭣했어.
뮤지컬 (musical) ★★
명사 名詞
ミュージカル
큰 무대에서 음악, 노래, 무용 등을 결합하여 상연하는, 줄거리가 있는 공연물.
大きな舞台で音楽・歌・舞踊などを組み合わせて上演する、ストーリーのある公演物。
  • 뮤지컬 공연.
  • 뮤지컬 무대.
  • 뮤지컬 배우.
  • 뮤지컬 영화.
  • 뮤지컬을 보다.
  • 그 공연은 그녀가 대학 시절부터 꼭 보고 싶었던 뮤지컬이었다.
  • 그는 가요제에 출전한 노래 실력을 살려 뮤지컬 배우에도 도전해 보고 싶었다.
  • 가: 저는 뮤지컬 배우가 되는 게 꿈이에요.
  • 나: 뮤지컬은 연기뿐만 아니라 춤하고 노래까지 잘해야 하는데, 열심히 연습해야겠네.
1 (美)
발음 : [미ː ]
명사 名詞
  1. 1. び【美】
    아름다움.
    美しさ。
    • 겸손의 .
    • 여백의 .
    • 자연의 .
    • 한국의 .
    • 를 느끼다.
    • See More
    • 의 기준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서로 다르다.
    • 김 화백의 그림에서는 절제의 를 느낄 수 있었다.
    • 가: 요새 젊은 여자들은 갈색으로 염색을 하고 컬러 렌즈를 끼는 게 유행인가 봐.
    • 나: 그러게, 한국적인 를 잃어 가는 것 같아 안타까워.
  2. 2. び【美】
    성적이나 등급을 ‘수’, ‘우’, ‘미’, ‘양’, ‘가’의 다섯 단계로 나눌 때 셋째 단계.
    成績や等級を「秀・優・美・良・可」の5段階に分けた時の3段階目。
    • 가 나오다.
    • 를 받다.
    • 승규의 이번 성적은 국어는 수, 영어는 였다.
    • 지수는 한 과목에서 가 나왔다며 울상이었다.
    • 나는 수학은 를 받았지만, 음악에서는 수를 받았다.
    • 가: 너는 어떻게 성적표에 수는 없고 죄다 , 양이니?
    • 나: 다음에는 더 열심히 공부할게요.
2 (mi)
명사 名詞
서양 음악에서, 장음계의 셋째 음의 계이름.
洋楽の階名の一。長音階の第3音。
  • 를 치다.
  • 음을 내다.
  • 나는 노래를 부를 때 높은 까지 음이 올라간다.
  • 이 부분에서 알토는 음을 내고 소프라노는 솔 음을 내야 한다.
  • 피아노 연주에 서툰 지수는 를 쳐야 할 부분에서 자꾸 파를 쳤다.
미-1
(미는데, 미니, 민, 미는)→밀다
밀다 ★★★
발음 : [밀ː다 ]
활용 : 밀어[미러], 미니[미ː니], 밉니다[밈ː니다]
동사 動詞
  1. 1. おす【押す】
    무엇을 움직이기 위해 원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힘을 가하다.
    何かを動かすため、望む方向の反対側から力を加える。
    • 문을 밀다.
    • 병을 밀다.
    • 수레를 밀다.
    • 의자를 밀다.
    • 뒤에서 밀다.
    • See More
    • 학생들은 책상을 옆으로 밀어 줄을 맞췄다.
    • 우리는 낯선 집의 대문을 밀고 들어가 누가 없는지 살폈다.
    • 엄마는 자장면 그릇을 내 쪽으로 밀어 놓으며 많이 먹으라고 말씀하셨다.
    • 가: 아빠 그네를 좀 더 세게 밀어 주세요.
    • 나: 지수야, 너무 세게 밀면 위험해.
  2. 2. けずる【削る】。きる【切る】。そる【剃る】。こする【擦る】
    바닥이나 겉 부분의 지저분한 것을 문질러서 깎거나 닦아 내다.
    床や表面の汚い部分を擦って削ったり、ふき取ったりする。
    • 나무를 밀다.
    • 등을 밀다.
    • 때를 밀다.
    • 머리를 밀다.
    • 바닥을 밀다.
    • See More
    • 목수가 탁자를 만들기 위해 대패로 나무를 밀고 있다.
    • 정 씨가 수염을 밀고 오자 마치 다른 사람인 것처럼 인상이 달라졌다.
    • 가: 여배우가 머리를 민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닌데 어떻게 그런 결정을 하셨어요?
    • 나: 물론 쉽지 않았지만 그때는 작품만 생각하고 했어요.
    • 문형 : 1이 2를 밀다
  3. 3. くずす【崩す】。けずる【削る】
    허물어 옮기거나 깎아서 없애다.
    崩して移動させたり、削って無くしたりする。
    • 건물을 밀다.
    • 산을 밀다.
    • 숲을 밀다.
    • 언덕을 밀다.
    • 남김없이 밀다.
    • 이 골프장은 산을 밀어 만든 것이다.
    • 우리 시에서는 낡은 집들을 밀고 고층 빌딩을 세웠다.
    • 가: 비 피해로 그곳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요?
    • 나: 개발을 위해서 산을 마구잡이로 밀어서 더욱 피해가 컸다고 합니다.
    • 문형 : 1이 2를 밀다
  4. 4. こうえんする【後援する】。あとおしする【後押しする】。サポートする
    뒤에서 보살피고 도와주다.
    後ろから面倒を見て助ける。
    • 누군가가 밀다.
    • 강력하게 밀다.
    • 전적으로 밀다.
    • 우리는 힘을 합하여 반장이 하는 일을 전적으로 밀기로 했다.
    • 김 의원이 저렇게 기세등등한 것을 보면 누군가 그를 밀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 가: 최 부장이 엄청 빠르게 승진을 했다면서?
    • 나: 응, 사장이 뒤에서 밀었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더라.
    • 문형 : 1이 2를 밀다
  5. 5. こする【擦る】
    바닥이 평평해지도록 도구를 누르면서 문지르다.
    床が平らになるように、道具を押しながら擦る。
    • 공터를 밀다.
    • 바지를 밀다.
    • 운동장을 밀다.
    • 반반하게 밀다.
    • 평평하게 밀다.
    • 우리 시에서는 곳곳의 공터를 밀어 주차장을 만들었다.
    • 지수는 빨래를 걷어 와 구겨진 옷들을 다리미로 밀었다.
    • 달리기 대회를 앞두고 주최 측은 운동장을 반반하게 밀었다.
    • 문형 : 1이 2를 밀다
  6. 6. のばす【伸ばす】
    눌러서 얇게 펴다.
    押して薄く伸ばす。
    • 만두피를 밀다.
    • 반죽을 밀다.
    • 얇게 밀다.
    • 만두를 빚기 위해 나는 만두피를 밀기 시작했다.
    • 엄마는 수제비에 쓸 밀가루 반죽을 적당히 밀어 작게 뜯어 냈다.
    • 가: 밀가루 반죽을 다 했는데 다음에는 무엇을 하면 되나요?
    • 나: 이제 밀대로 반죽을 얇게 미세요.
    • 문형 : 1이 2를 밀다
  7. 7. する【刷る】
    등사기로 인쇄하다.
    謄写機で印刷する。
    • 등사기를 밀다.
    • 등사판을 밀다.
    • 롤러를 밀다.
    • 그들은 거리에 뿌릴 선언문을 등사판으로 열심히 밀었다.
    • 아버지께서는 학창 시절에 매달 등사기로 밀어 만든 문집을 내셨다고 했다.
    • 가: 옛날에는 등사기를 밀어서 시험지를 찍어 냈는데 요즘은 참 편해졌어요.
    • 나: 요즘은 복사기 버튼만 누르면 되니 얼마나 편해졌는지 몰라요.
    • 문형 : 1이 2를 밀다
  8. 8. すすめる【進める】
    어떤 일을 주장하거나 추진하다.
    ある事を主張したり、進めたりする。
    • 계획을 밀고 나가다.
    • 법안을 밀고 나가다.
    • 강하게 밀고 나가다.
    • 굳세게 밀고 나가다.
    • 끝까지 밀고 나가다.
    • 그들은 재협상에서도 뜻을 굽히지 않고 원래의 계획을 밀고 나왔다.
    • 정 작가는 자신만의 글쓰기 스타일을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 냈다.
    • 가: 감독님, 이러다가 질 것 같은데 작전을 변경하는 게 어떨까요?
    • 나: 아니야. 흔들리지 말고 원래의 작전대로 밀고 나가도록 해.
    • ※ 주로 '밀고 나가다', '밀고 나오다'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밀다
  9. 9. おす【押す】。すいせんする【推薦する】
    무엇이 특정한 지위를 차지하도록 내세우거나 지지하다.
    何かが特定の地位に付くように前面に押し出す、または支持する。
    • 국회 의원으로 밀다.
    • 반장으로 밀다.
    • 사장으로 밀다.
    • 시장으로 밀다.
    • 전적으로 밀다.
    • 우리 반 아이들은 전부 승규를 반장으로 밀었다.
    • 이 당에서는 지금 정 의원을 시장 후보로 밀고 있다.
    • 가: 너는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누구를 밀고 있니?
    • 나: 아직 잘 모르겠어. 후보로 나온 사람들을 더 꼼꼼히 봐야 할 것 같아.
    • 문형 : 1이 2를 3으로 밀다
관용구 · 속담(1)
미-2 (未)
참고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み【未】
‘그것이 아직 아닌’ 또는 ‘그것이 아직 되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まだそれでない」または「まだそれになっていない」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개발
  • 개척
  • 성년
  • 완성
  • 해결
  • See More
미각 (味覺)
발음 : [미각 ]
활용 : 미각이[미가기], 미각도[미각또], 미각만[미강만]
명사 名詞
みかく【味覚】
혀가 맛을 느끼는 감각.
舌が味を感じる感覚。
  • 미각이 독특하다.
  • 미각이 있다.
  • 미각이 즐겁다.
  • 미각을 자극하다.
  • 커피의 향긋함이 후각뿐만 아니라 미각도 자극했다.
  • 사람들은 후각에 의해 냄새를 맡고, 미각에 의해 음식을 맛본다.
  • 가: 승규는 정말 미식가야.
  • 나: 응. 다른 사람보다 미각이 발달해 있는 것 같아.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