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신불수 (半身不隨)
발음 : [반ː신불쑤 ]
명사 名詞
はんしんふずい【半身不随】。へんまひ・かたまひ【片麻痺】
병이나 사고로 뇌에 이상이 생겨 몸의 절반이 마비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病気や事故による脳の異常で身体の半分が麻痺すること。また、その人。
  • 반신불수의 노인.
  • 반신불수의 몸.
  • 반신불수가 되다.
  • 반신불수로 누워 있다.
  • 반신불수로 만들다.
  • 고혈압으로 뇌 속의 혈관이 터지면 반신불수가 될 수 있다.
  • 최 씨는 반신불수의 노인을 부축하며 병실로 들어섰다.
  • 교통사고로 반신불수의 몸이 된 그는 한동안 우울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 가: 할아버지께서 어쩌다가 반신불수가 되신 거야?
  • 나: 뇌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다리가 마비되는 증세가 생기셨대.
반신욕 (半身浴)
발음 : [반ː신뇩 ]
활용 : 반신욕이[반ː신뇨기], 반신욕도[반ː신뇩또], 반신욕만[반ː신뇽만]
명사 名詞
はんしんよく【半身浴】
배꼽 아랫부분을 체온보다 조금 높은 온도의 물에 담그고 하는 목욕.
へその下の部分を体温より少し高い温度の湯につける温浴。
  • 반신욕을 즐기다.
  • 반신욕을 하다.
  • 반신욕으로 땀을 내다.
  • 반신욕으로 땀을 빼다.
  • 반신욕은 혈액 순환을 촉진해 준다.
  • 피로를 가볍게 풀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반신욕이다.
  • 반신욕으로 땀을 내면 오랜 기간 피부 밑에 축적되어 있던 노폐물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
  • 가: 따뜻한 물에 몸을 담갔더니 몸이 개운해지네요.
  • 나: 그렇지요? 반신욕이 역시 피로 회복에 좋아요.
반액 (半額)
발음 : [바ː낵 ]
활용 : 반액이[바ː내기], 반액도[바ː낵또], 반액만[바ː냉만]
명사 名詞
はんがく【半額】
정해진 금액의 절반.
定められた金額の半分。
  • 반액 감면.
  • 반액 면제.
  • 반액 세일.
  • 반액 지원.
  • 반액 할인.
  • 그는 전세금의 반액을 차에 투자했다.
  • 일을 하다가 다친 경우에는 입원하고 육 개월 동안은 급여의 반액을 지급해 줍니다.
  • 대학에서 우수 학생들에게는 등록금의 반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 가: 화장품 두 개를 어떻게 한 개 가격에 샀어?
  • 나: 응, 반액 세일을 하고 있더라고.
반어 (反語)
발음 : [바ː너 ]
명사 名詞
はんご【反語】
말이나 글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본래의 의도와 반대로 표현하는 것.
話や文章を効果的に表現するために、本来の考えと逆に表現すること。
  • 반어 표현.
  • 반어를 사용하다.
  • 반어로 나타내다.
  • 반어로 말하다.
  • 반어로 비꼬다.
  • 시인은 반어와 역설의 시어로 물질문명 사회를 비판했다.
  • 승규는 너 참 똑똑하다라고 말하며 반어로 지수의 행동을 비꼬았다.
  • 한 평론가는 ‘우리 시대 최고의 노래’라는 반어의 표현으로 그 음악을 조롱했다.
  • 가: 우리 반에 진짜 못생긴 애가 있는데 별명이 ‘미인’이야.
  • 나: 그 애는 자신의 별명이 반어라는 걸 알아?
반역 (反逆/叛逆)
발음 : [바ː녁 ]
활용 : 반역이[바ː녀기], 반역도[바ː녁또], 반역만[바ː녕만]
명사 名詞
  1. 1. はんぎゃく【反逆】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고 배신함.
    国と民族、またそれに似た権力を持つ組織への義理を捨てて、裏切ること。
    • 반역 행위.
    • 반역 혐의.
    • 반역을 하다.
    • 그 장교는 적국에 일급 군사 기밀을 넘긴 반역 행위로 검거되었다.
    • 친일 각료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일본에 나라를 팔아넘기는 반역을 하였다.
    • 김 의원은 국가 반역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후에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
    • 가: 공무원이 국가 기밀을 해외에 유출했대요.
    • 나: 그건 반역이나 다름없는 행위로군요.
  2. 2. はんぎゃく【反逆】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을 다스리는 지배자의 권한을 빼앗으려고 함.
    国と民族、またそれに似た権力を持つ組織を統治する支配者の権限を奪おうとすること。
    • 반역의 무리.
    • 반역을 계획하다.
    • 반역을 도모하다.
    • 반역을 시도하다.
    • 반역을 하다.
    • See More
    • 종교 개혁은 당시에 기존 교회에 대한 반역으로 여겨졌다.
    • 이성계가 이끄는 무리가 회군하여 고려의 왕을 폐하고 새로운 왕조를 새운 것은 고려 왕조의 입장에서 반역이었다.
    • 과거에는 반역을 꾀한 자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처형하는 형벌이 있었다.
    • 가: 그는 어떻게 반역에 성공한 거야?
    • 나: 막강한 군사력이 뒷받침됐거든.
반역자 (反逆者)
발음 : [바ː녁짜 ]
명사 名詞
はんぎゃくしゃ【反逆者】。ぞくし【賊子】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고 배신한 사람.
国家や民族、それに似た権力をもつ組織に対する義理に背き、裏切った者。
  • 친일 반역자.
  • 민족의 반역자.
  • 반역자를 처단하다.
  • 반역자라고 부르다.
  • 반역자로 몰다.
  • 친일을 했던 반역자들은 처벌이 두려워 일제히 몸을 숨겼다.
  • 왕을 폐하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 했던 반역자는 처형되었다.
  • 정부는 해방 이후 친일 행위를 한 민족 반역자들을 제대로 처벌하지 못했다.
  • 대부분의 신문들이 그를 반역자로 몰았기 때문에 국민들은 그것을 사실로 여겼다.
  • 가: 우리나라의 군사 정보를 해외에 넘긴 군 관계자가 경찰에 붙잡혔대.
  • 나: 그런 반역자가 있었다니.
반역죄 (反逆罪)
발음 : [바ː녁쬐 /바ː녁쮀 ]
명사 名詞
はんぎゃくざい【反逆罪】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고 배신한 죄.
国家や民族、それに似た権力をもつ組織に対する義理に背き、裏切った罪。
  • 반역죄 판결.
  • 반역죄 혐의.
  • 반역죄가 적용되다.
  • 반역죄를 저지르다.
  • 반역죄로 처벌을 받다.
  • 임 씨는 정부 기밀을 유출한 반역죄로 처벌을 받았다.
  • 아버지는 예전에 다친 북한 군인에게 먹을 것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반역죄로 붙들려 가 심하게 고문당하셨다.
  • 가: 독재자 정부에 불만을 품은 시민들이 감옥에 갇혔다며?
  • 나: 응. 반역죄를 저지른 사람으로 취급당했대.
반역하다 (反逆/叛逆 하다)
발음 : [바ː녀카다 ]
동사 動詞
  1. 1. はんぎゃくする【反逆する】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고 배신하다.
    国と民族、またそれに似た権力を持つ組織への義理を捨てて、裏切る。
    • 반역한 사람.
    • 민족을 반역하다.
    • 국가에 반역하다.
    • 나라에 반역하다.
    • 조국에 반역하다.
    • 이완용은 조국을 반역하고 일본에 나라를 팔아넘겼다.
    • 최첨단 기술을 외국에 팔아넘기는 것과 같은 반역하는 행위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시인은 나라에 반역하여 개인적 이득을 얻을 수 없다며 글을 쓰는 일을 그만두었다.
    • 가: 일제 시대에 나라를 팔아넘긴 친일파의 후손들이 떵떵거리며 살고 있대.
    • 나: 조국을 반역한 사람들이 대를 이어 가며 잘 먹고 잘살다니 불공평해.
    • 문형 : 1이 2에/에게/를 반역하다
  2. 2. はんぎゃくする【反逆する】
    국가와 민족, 또는 그와 비슷한 권력을 가진 조직을 다스리는 지배자의 권한을 빼앗으려고 하다.
    国と民族、またそれに似た権力を持つ組織を統治する支配者の権限を奪おうとする。
    • 대통령을 반역하다.
    • 신을 반역하다.
    • 왕을 반역하다.
    • 하느님을 반역하다.
    • 영국은 로마 교황을 반역하고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였다.
    • 임금에게 반역하는 자와 그 일가족은 처형당했다.
    • 최 장군은 왕에 반역하여 군사를 이끌고 새로운 정권을 세웠다.
    • 가: 그땐 왕을 반역한 사람들을 다 죽였었지.
    • 나: 그럼 나라가 혼란에 빠졌었겠네요?
    • 문형 : 1이 2에/에게/를 반역하다
반열 (班列)
발음 : [바녈 ]
명사 名詞
レベル
다른 사람이나 조직이 인정하는 높은 지위나 등급.
人や組織が認める高い地位や等級。
  • 같은 반열.
  • 반열에 들다.
  • 반열에 오르다.
  • 반열에 합류하다.
  • 김 교장은 학교를 입시 명문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 명감독이 연출한 이 작품은 최고의 걸작 반열에 올랐다.
  • 우리나라는 사회 복지에 더 힘쓴다면 선진국의 반열에 들게 될 것이다.
  • 가: 이 배우는 정말 빠른 속도로 인기 스타의 반열에 올랐어.
  • 나: 응. 연기력이 워낙 뛰어나니까.
반영 (反映) ★★
발음 : [바ː녕 ]
명사 名詞
  1. 1. はんえい【反映】
    사물에 빛이 반사하여 비침.
    事物に光が反射して光って見えること。
    • 빛의 반영.
    • 네온사인의 반영.
    • 반영 사진.
    • 노을이 비친 한강의 황금빛 반영은 매우 아름다웠다.
    • 잠시 후 어두운 논밭에 아침 해의 빛의 반영이 눈에 들어왔다.
    • 가: 바다에 하늘이 비치는 반영 사진을 찍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나: 카메라의 노출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합니다.
  2. 2. はんえい【反映】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사실, 상황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어떤 현상을 드러냄.
    他人の意見や事実、状況などに影響してある現象が現れること。
    • 내신 반영.
    • 현실의 반영.
    • 시대상의 반영.
    • 반영 비율.
    • 반영이 되다.
    • See More
    • 대학 입시에서 내신 성적의 반영 비율이 높아질 전망이다.
    • 문화는 삶의 방식이며 그 결과이기 때문에 우리는 문화를 삶의 반영이라 부른다.
    • 가: 아파트 공사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은 전달받으셨습니까?
    • 나: 네. 충분히 반영을 할 예정입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