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なければ。ないと。てはじめて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에 대한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前の事柄が後の事柄に対する必須条件である意を表す「連結語尾」。
- 백화점은 평일에 가야 사람이 적어 쇼핑하기가 편하다.
- 지수는 아직 어려서 부모님의 허락을 받아야 여행을 갈 수 있다.
- 내일은 지하철을 타고 가니 평소보다 일찍 일어나야 지각하지 않을 수 있다.
- 가: 아무리 자기 자식이라도 어떻게 저렇게 모든 걸 희생할 수 있는 걸까? 난 이해가 안 돼.
- 나: 직접 자식을 낳아 키워 봐야 부모 마음을 알 수 있는 거겠지.
- 2. ても。たって앞에서 가정한 것이 결국에는 아무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前で仮定したことが結局何の影響も及ぼしていない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조용히 해 달라고 말해 봐야 소용이 없어.
- 자식 키워 봐야 결혼해 버리면 쓸데없다더니!
- 네가 아무리 소리쳐 봐야 여기는 아무도 없어.
- 가: 늦었으니까 서둘러.
- 나: 어차피 늦어서 서둘러 봐야 소용없어.
-아야겠-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아야 되다
-아야만
어미 語尾
-아야지1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아야지2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よう。するよ。ないと。なきゃ(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결심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話し手の決心や意志の意を表す「終結語尾」。
- 나는 절대로 비겁하게 살지 말아야지.
- 이번에 좋은 기회가 오면 반드시 잡아야지.
- 내가 취직을 해서 돈을 벌면 먼저 빚부터 갚아야지.
- 가: 형이 왜 나한테 이래라저래라 간섭을 해?
- 나: 어휴, 됐다. 내가 참아야지.
- 2. ないと。なきゃ。すべきだ(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이나 다른 사람이 어떤 일을 해야 하거나 어떤 상태여야 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聞き手や他の人がある行動をしないといけないか、ある状態でないといけない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어려울수록 서로 돕고 살아야지.
- 사람이 잘못했으면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 이렇게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너도 다른 일을 찾아야지.
- 가: 유민아, 여행을 가기 전에 부모님한테 허락을 받아야지.
- 나: 네. 그렇지 않아도 오늘 말씀 드리려고요.
- 3. ないといけないのに。すべきなのに(두루낮춤으로) 어떤 상황이나 상태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음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ある状況や状態でないといけないのに、そうではないことを強調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아기가 어디 잠을 자야지.
- 혼을 내려고 해도 어디 만나야지.
- 가: 빨리 들어오라고 야단은 좀 쳤어?
- 나: 어디 전화를 받아야지.
- 가: 너 왜 아무 말을 안 해?
- 나: 도통 무슨 일인지 알아야지.
아슬아슬하다
발음 : [아슬아슬하다 ]
활용 : 아슬아슬한[아슬아슬한], 아슬아슬하여[아슬아슬하여](아슬아슬해[아슬아슬해]), 아슬아슬하니[아슬아슬하니], 아슬아슬합니다[아슬아슬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 1. ぞくぞくする。ひやひやする【冷や冷やする】소름이 돋을 정도로 약간 차가운 느낌이 계속 드는 듯하다.鳥肌が立つほど少し寒気がするようである。
- 아슬아슬한 기분.
- 아슬아슬한 느낌.
- 기온이 아슬아슬하다.
- 날씨가 아슬아슬하다.
- 몸이 아슬아슬하다.
- 관객들은 공포 영화를 보면서 등골이 아슬아슬한 느낌이 들었다.
- 지하철에 에어컨을 세게 틀어서 반팔을 입은 사람들은 아슬아슬하게 추웠다.
- 비가 오니 날씨가 아슬아슬해서 승규는 겉옷을 하나 챙겼다.
- 문형 : 1이 2가 아슬아슬하다
- 2. はらはらする。ひやひやする【冷や冷やする】。かすかすする일이 잘 안 될까 봐 무서워서 소름이 돋을 정도로 마음이 조마조마하다.物事がうまく行かないことを恐れて鳥肌が立つほど危ぶむ。
- 아슬아슬한 고비.
- 아슬아슬한 서커스.
- 아슬아슬한 장면.
- 아슬아슬하게 넘기다.
- 아슬아슬하게 맞추다.
- 영화에서 낭떠러지에 차가 걸쳐 추락하기 직전의 아슬아슬한 장면이 나왔다.
- 벽은 작은 바람에도 폭삭 주저앉을 것처럼 아슬아슬해 보였다.
- 가: 이 길에는 트럭들이 많이 다니는구나.
- 나: 그래서 아이가 길에서 뛰어다닐 때마다 아슬아슬해요.
- 문형 : 1이 아슬아슬하다
아시아 (Asia) ★★
명사 名詞
アジア
지구의 동북쪽에 있는 육대주의 하나. 일본에서 터키에 걸치는 지역으로 한국, 중국, 인도 등의 나라가 위치한다.
地球の北東部に当たる六大州の一。日本からトルコにかけて広がる地域で、韓国や中国、インドなどの国が位置している。
아아
발음 : [아아 ]
감탄사 感動詞
- 1. わぁ。ああ크게 감동하거나 매우 속상하여 한숨을 쉴 때 내는 소리.大いに感動したり、とても落胆してため息をついたりする時に思わず口から出てくる声。
- 아아! 정말 황홀한 광경이군.
- 아아, 갈 데도 없이 떠도는 이 신세란.
- 아아! 이곳의 야경은 정말 아름다운 것 같아.
- 아아!, 세상에서 이렇게 맛있는 음식은 처음 먹어 봐!
- 가: 아아, 뜻대로 되는 일도 없고 정말 속상하다.
- 나: 걱정하지 마. 앞으로는 다 잘될 거야.
- 2. おお。おっと놀라거나 뜻밖의 일을 당했을 때 나오는 소리.驚いたり意外な事態に出くわした時、思わず口から出てくる声。
- 아아! 이를 어떡하지!
- 아아! 적군들이 몰려오고 있어!
- 아아! 이게 얼마만입니까? 이런 데서 다 만나다니.
- 가: 아아! 이게 뭐야? 네 다리에서 피가 나잖아!
- 나: 그냥 좀 넘어진 거야. 호들갑 떨지 마.
- 큰말 어어
- 3. わあ무리를 지어서 싸우거나 단체로 시합을 할 때, 기운을 내거나 돋우려고 내는 소리.群れを成して戦ったり団体で試合をする時、気合を入れたり励ましたりする目的で出す声。
- “아아!” 함성과 함께 선수들이 운동장으로 뛰어나갔다.
- 시위대들을 "아아" 소리를 지르며 거리로 달려 나갔다.
- 백만 명이 넘는 군사들이 일제히 “아아!” 함성을 지르며 적군을 향해 돌진했다.
- 큰말 어어
아야
발음 : [아야 ]
감탄사 感動詞
- 1. いてっ갑자기 아픔을 느낄 때 나오는 소리.突然痛みを感じた時に思わず口から出てくる声。
- 아야! 따가워!
- 아야! 칼에 베였어.
- 아야! 바늘에 찔렸어.
- 아야! 장미 가시에 찔렸어.
- 아야! 갑자기 꼬집으면 어떡해.
- 2. おっと。やっちゃった무슨 일이 잘못된 것을 알았을 때 내는 소리.失敗をやらかしたことに気づいた時に出す声。
- 아야! 답을 잘못 썼다.
- 아야! 나 때문에 다쳤니?
- 아야, 빨간 불인데 횡단보도를 건널 뻔했네.
- 가: 네가 밀어서 넘어졌잖아.
- 나: 아야, 내가 민 줄 몰랐어. 미안해.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요, 아우, 아우르다, 아우성, 아우성치다, 아울러, 아웃, 아웃사이더, 아유, 아이¹, 아이², 아이고 (0) | 2020.02.06 |
---|---|
-아야지요, -아야 하다, -아 오다, 아양, 아역, 아연실색하다, 아열대, 아예, 아옹다옹, 아옹다옹하다 (0) | 2020.02.06 |
아수라장, 아쉬우-, 아쉬움, 아쉬워-, 아쉬워하다, 아쉽-, 아쉽다, 아스팔트, 아스피린, 아슬아슬 (0) | 2020.02.06 |
-아 빠지다, -아서, -아서는 안 되다, -아서야, -아서인지, 아뿔싸, 아사, 아삭, 아서라, 아세톤 (0) | 2020.02.06 |
-아 보다, -아 보이다, -아 봤자, 아버지, 아범, 아부, 아부하다, 아비, 아비규환, 아빠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