얻어맞다
발음 : [어ː더맏따 ]
활용 : 얻어맞아[어ː더마자], 얻어맞으니[어ː더마즈니], 얻어맞는[어ː더만는]
동사 動詞
  1. 1. なぐられる【殴られる】。なぐりつけられる【殴り付けられる】。おうだされる【殴打される】
    남에게 심하게 맞다.
    他人にひどく殴られる。
    • 따귀를 얻어맞다.
    • 매를 얻어맞다.
    • 머리를 얻어맞다.
    • 뺨을 얻어맞다.
    • 얼굴을 얻어맞다.
    • See More
    • 나는 동생에게 욕을 했다가 아버지에게 머리를 얻어맞았다.
    • 민준이는 형으로부터 뺨을 얻어맞아서 얼굴이 퉁퉁 부어올랐다.
    • 가: 하지 말라는데 자꾸 까부니까 얻어맞지.
    • 나: 그렇다고 때리면 어떡해?
    • 문형 : 1이 2에게/로부터 3을 얻어맞다
  2. 2. ひなんされる【非難される】。たたかれる【叩かれる】
    (비유적으로) 대중이나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받다.
    (比喩的に)大衆やマスコミから非難を受ける。
    • 욕을 얻어맞다.
    • 언론에 얻어맞다.
    • 여론에 얻어맞다.
    • 심하게 얻어맞다.
    • 유명 연예인은 말실수를 하여 비판 여론에 얻어맞았다.
    • 큰 잘못을 한 정치인은 언론에 얻어맞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 나는 이상한 오해로 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얻어맞아 상처를 받았다.
    • 문형 : 1이 2에 얻어맞다
얻어먹다 ★★
발음 : [어ː더먹따 ]
활용 : 얻어먹어[어ː더머거], 얻어먹으니[어ː더머그니], 얻어먹는[어ː더멍는]
동사 動詞
  1. 1. もらいぐいする【貰い食いする】
    남에게 음식을 달라고 사정해서 공짜로 먹다.
    人に食べ物を恵んでくれるように頼んで、ただで食べる。
    • 밥을 얻어먹다.
    • 술을 얻어먹다.
    • 음식을 얻어먹다.
    • 얻어먹고 다니다.
    • 얻어먹으며 살다.
    • 얻어먹는 주제에 찬밥이냐 더운밥이냐를 가릴 수는 없었다.
    • 아이가 구걸을 해서 밥을 얻어먹고 있는 것을 보니 눈물이 흘렀다.
    • 남자는 자기가 공짜로 밥을 얻어먹는 거지가 아니라는 걸 보여 주고 싶어 했다.
    • 가: 그 친구 아버지 소식 들었어?
    • 나: 사업이 망해서 길에서 얻어먹고 사신다던데.
    • 문형 : 1이 2에서/에게서/로부터 3을 얻어먹다
  2. 2. ごちそうされる【ご馳走される】。おごってもらう【奢ってもらう】
    남이 공짜로 주거나 사 주는 음식을 먹다.
    他人に食べ物をただでもらったり買ってもらったりして食べる。
    • 밥을 얻어먹다.
    • 술을 얻어먹다.
    • 점심을 얻어먹다.
    • 한 끼 얻어먹다.
    • 나는 그날 친구네 집에 놀러갔다가 밥까지 얻어먹고 왔다.
    • 김 선배는 구두쇠라 나는 선배에게 밥 한 끼 얻어먹어 본 적이 없다.
    • 가: 우리 가게엔 어쩐 일이야?
    • 나: 술이나 한 잔 얻어먹을까 하고 왔지.
    • 문형 : 1이 2에서/에게서/로부터 3을 얻어먹다
  3. 3. いわれる【言われる】。あびせられる【浴びせられる】。ののしられる【罵られる】
    남에게 나쁜 말을 듣다.
    他人に悪く言われる。
    • 그러니까 욕 얻어먹을 짓을 왜 하니?
    • 사람들에게 욕 얻어먹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 승규는 이기적인 성격 때문에 여러 사람한테 욕을 얻어먹고 다녔다.
    • 가: 자네가 얼마나 욕을 얻어먹고 있는지 아나?
    • 나: 제가 그렇게 큰 잘못을 한 건가요?
    • 문형 : 1이 2에서/에게서/로부터 3을 얻어먹다
얻어터지다
발음 : [어ː더터지다 ]
활용 : 얻어터지어[어ː더터지어/ 어ː더터지여](얻어터져[어ː더터저]), 얻어터지니[어ː더터지니]
동사 動詞
うちのめされる【打ちのめされる】。めったうちにされる【めった打ちにされる】
(속된 말로) 남에게 심하게 맞다.
他人にひどく殴られることを俗にいう語。
  • 얻어터진 상처.
  • 뺨을 얻어터지다.
  • 형에게 얻어터지다.
  • 심하게 얻어터지다.
  • 한 대 얻어터지다.
  • 나는 반에서 가장 힘센 아이에게 뺨을 얻어터져서 멍이 들었다.
  • 민준이는 잘못을 하는 바람에 부모님으로부터 엉덩이를 얻어터졌다.
  • 가: 너 얼굴이 왜 그래? 완전 빨갛게 됐어.
  • 나: 형한테 대들다가 얼굴을 얻어터졌어.
  • 문형 : 1이 2에게/로부터 3을 얻어터지다
발음 : [얼ː ]
명사 名詞
たましい【魂】。せいしん【精神】
정신의 바탕이나 본질.
精神の土台・本質。
  • 민족의 .
  • 조상의 .
  • 과 문화.
  • 이 빠지다.
  • 을 기리다.
  • See More
  • 우리는 민족의 을 소개할 수 있는 전통문화 전시회를 열었다.
  • 지수는 처음 보는 신기한 광경에 을 빼놓고 정신없이 두리번거렸다.
  • 가: 무슨 일인데 그렇게 이 빠져 있어?
  • 나: 아, 내가 복권에 당첨된 것 같아.
관용구 · 속담(1)
얼-1
접사 接辞
  1. 1.
    '덜된', '모자라는', '어중간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未熟の」、「足りない」、「中途半端な」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승낙
    • 바람
    • 요기
    •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2. 2.
    '분명하지 못하게' 또는 ‘대충’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不確実に」または「いい加減に」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버무리다
    • 넘어가다
    • 보이다
    • 비치다
    • ※ 일부 동사 앞에 붙는다.
얼-2
(얼고, 얼어, 얼어서, 얼면, 얼었다, 얼어라)→얼다
얼다 ★★★
발음 : [얼ː다 ]
활용 : 얼어[어러], 어니[어ː니], 업니다[엄ː니다]
동사 動詞
  1. 1. こおる【凍る】。いてつく【凍て付く】
    액체나 물기가 있는 물체가 찬 기운으로 인해 고체 상태로 굳어지다.
    液体や水分を含んだ物体が冷たい外気によって固体の状態になる。
    • 언 땅.
    • 강이 얼다.
    • 물이 얼다.
    • 수도관이 얼다.
    • 얼음이 얼다.
    • See More
    • 강물이 새파랗게 얼어서 유리알 같았다.
    • 얼마나 날씨가 추운지 볼펜이 얼어서 잉크가 잘 나오지 않았다.
    • 가: 엄마. 왜 물이 안 나와?
    • 나: 어제 날씨가 추웠는지 수도관이 다 얼어서 터졌지 뭐니.
    • 문형 : 1이 얼다
    • 반대말 녹다
  2. 2. こおる【凍る】。こごえる【凍える】
    추위로 몸의 전체나 일부가 감각이 없어질 만큼 아주 차가워지다.
    寒さのため、体の全体や一部が感覚が無くなるほど非常に冷たくなる。
    • 꽁꽁 언 발.
    • 얼어 죽다.
    • 몸이 얼다.
    • 손이 꽁꽁 얼다.
    • 입술이 얼다.
    • 겨울 바람에 어린 아들의 몸은 꽁꽁 얼어 있었다.
    • 열대 지방에 갑작스러운 한파가 닥쳐 사람들이 얼어 죽었다.
    • 가: 왜 이렇게 부들부들 떨어? 추워?
    • 나: 응. 손끝이랑 발이 다 얼었어.
    • 문형 : 1이 얼다
    • 반대말 녹다
  3. 3. あがる【上がる】。きんちょうする【緊張する】
    어떤 분위기나 사람에게 기가 눌려 지나치게 긴장하다.
    ある雰囲気や人に圧倒されて、過度に緊張する。
    • 나는 바짝 얼어 모기 같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 지수는 선생님 앞에서만 서면 얼어서 말이 나오지 않았다.
    • 나는 무대에 오르자 얼어서 외웠던 대사를 모두 잊어버렸다.
    • 가: 엄마, 나 면접 갔다 올게.
    • 나: 그래, 면접관 앞이라고 너무 얼지 말고 자신감 있게 해!
    • 문형 : 1이 얼다
관용구 · 속담(2)
얼간이
발음 : [얼가니 ]
명사 名詞
まぬけ【間抜け】。ばか【馬鹿】
똑똑하지 못하고 멍청한 사람.
賢明でなく愚かなこと。
  • 얼간이 취급.
  • 얼간이라고 놀리다.
  • 얼간이로 불리다.
  • 나는 학창 시절 말이 서툴렀던 친구에게 바보 얼간이라고 놀렸던 것을 후회했다.
  • 민준이는 어렸을 때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해도 가만히 있어서 얼간이 취급을 받았다.
  • 가: 형, 나 오늘 반 친구들한테 돈을 뺏겼어.
  • 나: 너 언제까지 얼간이처럼 당하고만 살래?
얼갈이
발음 : [얼ː가리 ]
명사 名詞
  1. 1.
    겨울에 논밭을 대충 갈아엎음.
    冬に田畑を粗くすき返すこと。
    • 얼갈이를 한 밭.
    • 얼갈이를 해 놓다.
    • 나는 얼갈이를 했던 밭에 채소를 심었다.
    • 우리 아버지는 겨울을 맞아 논을 얼갈이를 해 두셨다.
    • 겨울에 얼갈이를 한 뒤로 전혀 돌보지 않은 밭은 잡초가 무성했다.
  2. 2.
    채소를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심는 일. 또는 그 채소.
    野菜を晩秋や初冬に植えること。また、その野菜。
    • 얼갈이 한 단.
    • 얼갈이 김치.
    • 얼갈이 배추.
    • 얼갈이 재배.
    • 얼갈이를 기르다.
    • See More
    • 나는 겨울에 심어 수확한 신선한 얼갈이로 김치를 담갔다.
    • 겨울이면 어머니께서 따뜻하고 맛있는 얼갈이 배추 된장국을 끓여 주셨다.
    • 가: 겨울이라 시장에 얼갈이가 나왔기에 사서 겉절이를 무쳤어.
    • 나: 저도 맛을 좀 볼 수 있을까요?
얼결
발음 : [얼껼 ]
명사 名詞
どさくさ
어떤 일이 뜻밖이거나 복잡해서 정신을 제대로 차리지 못한 사이.
突然の出来事や複雑な事態のため混乱している間。
  • 얼결에 둘러대다.
  • 얼결에 들어가다.
  • 얼결에 소리치다.
  • 얼결에 알다.
  • 얼결에 일어나다.
  • See More
  • 나는 친구가 계속 물어보는 바람에 얼결에 비밀을 털어놓았다.
  • 지수는 하도 정신이 없어서 얼결에 동생의 부탁을 들어주기로 했다.
  • 가: 공을 잡아야지 피하면 어떡해?
  • 나: 미안해. 공이 갑자기 날아오니까 깜짝 놀라서 얼결에 피해 버렸어.
  • ※ 주로 '얼결에'로 쓴다.
  • 유의어 얼떨결
얼굴 ★★★
발음 : [얼굴 ]
명사 名詞
  1. 1. かお【顔】。つら・おもて【面】。がんめん【顔面】
    눈, 코, 입이 있는 머리의 앞쪽 부분.
    目・鼻・口がある、頭の前の部分。
    • 시커먼 얼굴.
    • 붉은 얼굴.
    • 하얀 얼굴.
    • 얼굴이 그을리다.
    • 얼굴이 뽀얗다.
    • See More
    • 어머니도 이제 나이가 드셨는지 얼굴에 주름이 많이 늘었다.
    • 아이들의 짓궂은 놀림에 선생님의 얼굴이 홍당무처럼 새빨개졌다.
    • 그들은 큰 모자로 얼굴을 가리고 남들이 모르게 건물을 빠져 나갔다.
    • 가: 승규는 얼굴 전체에 여드름이 잔뜩 났더라.
    • 나: 그러게, 사춘기도 지났는데 말야.
  2. 2. かおかたち【顔形】。かおだち【顔立ち】。ようぼう【容貌】
    머리 앞쪽 부분의 전체적인 생김새나 모습.
    頭の前の部分の全体的なつくりや姿。
    • 고운 얼굴.
    • 못생긴 얼굴.
    • 무섭게 생긴 얼굴.
    • 잘생긴 얼굴.
    • 준수한 얼굴.
    • See More
    • 다소 싸늘하게 생긴 그 얼굴은 어디선가 본 듯 굉장히 낯이 익었다.
    • 지수는 귀엽게 생긴 얼굴 때문에 어디를 가든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 아버지는 얼굴만 보고 사람을 판단할 것이 아니라 마음을 먼저 보라고 하셨다.
    • 가: 어제 소개팅이 있었다면서 어땠어?
    • 나: 갸름하고 예쁘게 생긴 얼굴이 마음에 들더라.
  3. 3. かお【顔】。たいめん【体面】。めんぼく【面目】
    주위에 널리 알려져 얻은 평판, 명예, 체면, 면목.
    周りに広く知られて得た評判・名誉・体面・面目。
    • 얼굴이 서다.
    • 얼굴을 세우다.
    • 김 사장은 직원들에게 대접을 하고 나니 얼굴이 좀 서는 듯했다.
    • 그렇게 심한 말을 했는데 민준이가 무슨 얼굴로 여기에 다시 나타나겠어?
    • 사람들 앞에서 큰 실수를 한 후부터는 나는 좀처럼 얼굴을 세울 수가 없었다.
    • 가: 이제 와서 제가 무슨 얼굴로 부모님을 뵙겠습니까?
    • 나: 아니에요, 지난날의 잘못을 빌면 모든 것을 용서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4. 4. かおつき【顔つき】。ひょうじょう【表情】
    어떠한 심리 상태가 겉으로 드러난 표정.
    ある心理状態が表に現れた表情。
    • 겁에 질린 얼굴.
    • 고통스러운 얼굴.
    • 근심스러운 얼굴.
    • 기쁜 얼굴.
    • 만족스러운 얼굴.
    • See More
    • 나의 질문에 아이들은 아무것도 모른다는 얼굴로 나를 쳐다보았다.
    • 아버지는 심각한 얼굴로 나의 진로에 대해서 진지하게 물어보셨다.
    • 가: 어제 승규가 돈을 빌려 달라고 찾아왔다고?
    • 나: 응, 어찌나 근심스러운 얼굴을 하는지 안 빌려줄 수가 없더라.
  5. 5. かお【顔】。じんぶつ【人物】
    어떤 활동을 하는 인물.
    ある活動をする人物。
    • 국민들은 이번 선거를 통해 이 시대를 이끌 새 얼굴이 나타나길 기대하고 있다.
    • 나는 아무리 주위를 둘러보아도 중요한 임무를 맡길 만한 얼굴이 보이지 않았다.
    • 김 부장은 신입 사원들에게 우리 회사를 이끌어 갈 새 얼굴로서의 자세를 교육하였다.
    • ※ 주로 '~의 새 얼굴'로 쓴다.
  6. 6. かお【顔】。しょうちょう【象徴】
    어떠한 사물을 대표하거나 본래의 모습을 잘 드러내 주는 대표적인 것.
    ある事物を代表したり、本来の様子をよく現したりする代表的な物事。
    • 고장의 얼굴.
    • 마을의 얼굴.
    • 서울의 얼굴.
    • 시대의 얼굴.
    • 우리나라의 얼굴.
    • 한강은 서울의 대표적 얼굴이다.
    • 지수는 우리 모임의 얼굴로 그가 아니었다면 우리가 이렇게 모일 수 없었다.
    • 가: 외국인들이 요새 서울로 여행을 많이 오는 것 같아.
    • 나: 서울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얼굴이니까.
관용구 · 속담(11)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