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면 좋겠다
ならいい。ばいい。といい
말하는 사람의 소망이나 바람을 나타내거나 현실과 다르게 되기를 바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
話し手の希望や願望を表わしたり現実と違う事態が起こることを望む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빨리 방학이 왔으면 좋겠어.
  • 사고 싶은 걸 다 사게 돈이 많았으면 좋겠다.
  • 너무 덥다. 시원한 콜라라도 한 잔 마셨으면 좋겠네.
  • 가: 하루 종일 비가 지겹게 오네요.
  • 나: 그러게요. 내일은 날씨가 맑으면 좋겠어요.
  •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또는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면 좋겠다
-으므로
어미 語尾
から。ので。ため。ゆえ【故】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原因や理由の意を表す「連結語尾」。
  • 정말 최선을 다했으므로 더 이상 아쉬움은 없다.
  • 최근에 산 책을 재미있게 읽었으므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 전기 제품에 물이 닿으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 어린이들은 칫솔질이 서툴고, 단 음식을 즐겨 먹으므로 이가 썩기 쉽다.
  • 가: 바다가 깊으므로 조심해서 수영을 하셔야 합니다.
  • 나: 네, 알겠습니다.
  •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또는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므로
-으세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よう。ましょう
(예사 낮춤으로) 함께 하자고 권유하거나 요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等称) 一緒にしようと誘ったり要求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자 다들 서 있지 말고 의자에 앉으세.
  • 다른 팀보다 우리가 먼저 기회를 잡으세.
  • 자네 말을 잊어버리기 전에 종이에 적으세.
  • 가: 잃어버린 강아지를 우리가 같이 찾으세.
  • 나: 아무렴 혼자 찾는 것보다는 여러 명이 찾는 게 낫지.
  • ※ 주로 구어에서 쓴다.
  • 참고어 -세
-으세요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ます。です。てください
(두루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説明・疑問・命令・要請の意を表す「終結語尾」。
  • 어떤 책을 읽으세요?
  • 이쪽으로 와서 앉으세요.
  • 일단 인쇄물을 먼저 받으세요.
  • 지금부터 하는 말을 잘 들으세요.
  • 선생님, 안색이 많이 안 좋으세요.
  • 가: 아이의 상태는 어떤가요?
  • 나: 열은 내렸으니 이제 마음 놓으세요.
-으셔
참고 :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1. 1. なさる。される。なさるのか。されるのか
    (두루낮춤으로) 문장의 주어를 높이면서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듣는 사람에게 물을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文の主語を敬い、ある事実を叙述したり聞き手にそれについて尋ねたりするのに用いる表現。
    • 김 씨는 마음도 넓으셔.
    • 왜 이렇게 깍쟁이 같으셔.
    • 사람 보는 눈이 그리도 없으셔.
    • 자네는 이런 일도 그냥 넘어가다니 성격도 좋으셔.
    • 가: 이 반지가 바로 이번에 우리 아들이 선물로 준거야.
    • 나: 우리 형님은 복도많으셔.
  2. 2. なさい。ましょう
    (두루낮춤으로) 명령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命令や勧誘の意を表す「終結語尾」。
    • 김 씨에게 도움을 받으셔.
    • 몸을 녹이게 따뜻한 이불 아래 있으셔.
    • 다른 식구들이 오려면 시간이 걸릴 테니 먼저 먹으셔.
    • 건물 주인을 직접 보고 서류를 받으셔.
    • 가: 내가 뭐 도와줄 거는 없어?
    • 나: 그냥 가만이 앉아 있으셔.
-으셔요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ます。です。てください
(두루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説明・疑問・命令・要請の意を表す「終結語尾」。
  • 건강은 좀 괜찮으셔요?
  • 박 선생님, 전화 받으셔요.
  • 무슨 책을 그렇게 재밌게 읽으셔요?
  • 버스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손잡이를 꽉 잡으셔요.
  • 준비된 재료를 큰 그릇에 넣고 잘 섞으셔요.
  • 가: 그곳에 가려면 지하철역에서 내려서 어떻게 가면 되죠?
  • 나: 출구로 나오셔서 백 미터 가량 직진하면 오른쪽에 보이는 큰 서점을 찾으셔요.
  • 가: 지수야, 아버지께 진지 드시라고 해라.
  • 나: 아버지께서는 지금 씻으셔요. 씻고 나오시면 말씀드릴게요.
-으소서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てくださいませ。なさいませ
(아주높임으로) 정중한 부탁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上称) 丁寧な依頼や要請の意を表す「終結語尾」。
  • 신이시여, 저의 기도를 들으소서.
  • 자세한 이야기는 하인을 불러 물으소서.
  • 조상님께서는 자손들의 절을 받으소서.
  • 가: 장군, 적군이 쳐들어오기 전에 서둘러 군사를 모으소서.
  • 나: 알겠다. 당장 모이라 하라.
  • ※ 주로 옛말의 구어에서 많이 쓰고, 현대에는 기도문이나 시와 같은 문어에서 쓴다.
  • 참고어 -소서
-으쇼
참고 :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1. 1. なさい。てくれ
    (예사 높임으로) 허물없이 명령할 때 쓰는 표현.
    (中称)砕けた言い方で命令するのに用いる表現。
    • 빨리빨리 먹으쇼.
    • 잠시만 기다리고 있으쇼.
    • 가지고 온 물건을 여기에 잠시 놓으쇼.
    • 형님, 내가 지금 불러 주는 전화번호를 적으쇼.
  2. 2. のか。んだ
    (예사 높임으로) 허물없이 물을 때 쓰는 표현.
    (中称)砕けた言い方で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새로 산 집은 예전보다 넓으쇼?
    • 나에게 온 물건인데 왜 댁이 받으쇼?
    • 배고프다더니 왜 먹지는 않으쇼?
    • 형님 자리는 여기인데 왜 그 자리에 앉으쇼?
으스대다
발음 : [으스대다 ]
활용 : 으스대어, 으스대니
동사 動詞
いばる【威張る】
보기에 좋지 않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えらそうに振舞ってみっともない態度を取る。
  • 으스대는 꼴.
  • 으스대는 모습.
  • 으스대며 다니다.
  • 거들먹거리며 으스대다.
  • 자랑하며 으스대다.
  • 승규는 자신이 연예인과 친구라며 으스댔다.
  • 민준이는 뉴스 인터뷰 후 스타가 된 것처럼 으스댔다.
  • 가: 지수가 대표로 뽑혔다며?
  • 나: 응, 그런데 거들먹거리며 으스대는 꼴이 아주 가관이야.
  • 문형 : 1이 으스대다
으스러뜨리다
발음 : [으스러뜨리다 ]
활용 : 으스러뜨리어[으스러뜨리어/ 으스러뜨리여], 으스러뜨리니
동사 動詞
くだく【砕く】。おしくだく【押し砕く】
덩어리를 깨뜨려 잘게 부스러지게 하다.
塊になっている物を強い力を加えて細かくする。
  • 나무를 으스러뜨리다.
  • 돌을 으스러뜨리다.
  • 물건을 으스러뜨리다.
  • 팔을 으스러뜨리다.
  • 완전히 으스러뜨리다.
  • 승규는 돌을 망치로 쳐 으스러뜨렸다.
  • 떨어진 쇳덩이는 민준이의 팔을 완전히 으스러뜨렸다.
  • 가: 시계가 왜 다 망가진 거야?
  • 나: 유민이가 화난다고 던져서 완전히 으스러뜨렸어.
  • 문형 : 1이 2를 으스러뜨리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