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가 보다
-은감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은걸
참고 : 주로 구어에서,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のだ。ものだ(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감탄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話し手が新しく知った事実について感嘆するように述べ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전시회를 직접 와 보니 생각보다 꽤 괜찮은걸?
- 그 옷은 색깔도 예쁘고 모양도 날씬해 보여서 좋은걸.
- 가: 혼자 들기에는 짐이 너무 많은걸.
- 나: 그래? 그럼 나랑 같이 나눠서 들자.
- 2. のだ。だもの(두루낮춤으로)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설명하듯 말하거나 그 근거를 댈 때 쓰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自分の考えや主張を説明するように述べたりその根拠を示す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요즘 여러 가지 큰일을 겪었더니 힘든 일이 있어도 이제는 아무렇지도 않은걸.
- 나는 다른 사람보다 먼저 너와 만나려고 미리 약속을 잡은걸.
- 지수가 한 말에 나도 화가 났지만 꾹 참은걸.
- 가: 승규가 곧 유학을 간다고 왜 나한테 말해 주지 않았어?
- 나: 나도 어제 들은걸.
-은걸요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으로 끝난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여 쓴다.
- 1. ですね(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어떤 사실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어 감탄함을 나타내는 표현.(略待上称) 話し手がある事実について新しく知って感嘆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오늘은 어제보다 날씨가 좋은걸요.
- 새로 이사한 집 마당이 정말 넓은걸요.
- 주말이라 그런지 영화관에 사람이 많은걸요.
- 가: 미용실에 가서 머리를 조금 잘랐어요.
- 나: 어머, 전보다 많이 짧은걸요.
- 2. んですよ。んですもの(두루높임으로)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설명하듯 말하거나 그 근거를 댈 때 쓰는 표현.自分の考えや主張を説明するように述べたりその根拠を示すのに用いる表現。
- 세 사람이 살기에는 집이 좀 좁은걸요.
- 가방이 사진으로 본 것보다 작은걸요.
- 이 식당은 음식 맛은 좋은데 양이 좀 적은걸요.
- 가: 우리 주말에 같이 대청소하자.
- 나: 어떡하죠? 주말에 해야 할 일이 많은걸요.
-은 것
こと。の。もの
명사가 아닌 것을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이게 하거나 ‘이다’ 앞에 쓰일 수 있게 할 때 쓰는 표현.
名詞でないものを文中で名詞化し、「이다」の前にくるようにするのに用いる表現。
- 면접을 앞두고 처음으로 사는 정장이라 좋은 것을 사려고 마음먹었다.
- 어제도 봤는데 이해가 잘 안 돼서 읽은 것을 다시 읽었다.
- 이 구두는 아침 내내 열심히 닦은 것인데 광이 제대로 나지 않았다.
- 많은 것이 시간이 지나면 변한다.
- 가: 왜 이렇게 힘이 없어 보여?
- 나: 너무 바빠서 하루 종일 먹은 것이라고는 커피 한 잔밖에 없어.
-은 것 같다
-은 결과
たけっか【た結果】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한 결과로 뒤에 어떤 상황이 옴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した結果によって後の状況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박 씨는 여러 차례 조사를 받은 결과 범죄 혐의가 없음이 밝혀졌다.
- 지수는 폭식을 일삼은 결과 위의 기능이 손상되어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 영화 촬영 일정을 무리하게 잡은 결과 배우들의 피로가 누적되어 촬영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 가: 수진이는 좀 어때요?
- 나: 푹 쉬고 꾸준히 약을 먹은 결과 많이 좋아졌어요.
-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ㄴ 결과
-은고
참고 : 주로 구어에서,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か。のか(아주낮춤으로)(옛 말투로) 현재의 사실에 대해 점잖게 묻거나 꾸짖어 묻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下称) 現在の事実について堅苦しく尋ねる意を表す「終結語尾」で、古めかしい言い方。
- 조선 팔도에서는 어느 산이 가장 높은고?
- 우리 며늘아기 줄 선물로는 무엇이 좋은고?
- 배운 사람들이 생각하는 수준이 어찌 얕은고?
- 노인 둘이서 조용하게 여행하기는 어디가 괜찮은고?
- 가: 자네는 나이에 비해 어찌 그리 생각이 깊은고?
- 나: 과찬의 말씀이시옵니다.
- 2. か。のか(아주낮춤으로)(옛 말투로) 자기 자신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下称) 自問や推量の意を表す「終結語尾」で、古めかしい言い方。
- 이 일을 어쩌면 좋은고.
- 매일 보는 사이면서 무슨 말이 그리도 많은고?
- 모두가 애쓰던 일이 잘 해결이 되다니 얼마나 좋은고.
은거 (隱居)
발음 : [은거 ]
명사 名詞
- 1. いんきょ【隠居】세상을 피해 숨어서 지냄.俗世を離れて隠れ住むこと。
- 삼 년여의 은거.
- 은거 생활.
- 은거 장소.
- 은거 중에 있다.
- 은거를 하다.
- 삼 년여의 은거 끝에 민준이는 사람들 앞에 나타났다.
- 유명한 소설가는 표절 시비에 휘말린 끝에 은거 생활을 시작했다.
- 가: 보물을 훔친 범인이 드디어 잡혔다며?
- 나: 응. 은거 장소에서 잠깐 나왔다가 덜미를 잡혔대.
- 유의어 퇴거
- 2. いんきょ【隠居】벼슬에서 물러나 한가롭게 지냄.官職から離れて、のどかに暮らすこと。
- 은거 생활.
- 은거를 꿈꾸다.
- 은거를 시작하다.
- 은거를 염원하다.
- 은거를 하다.
- 관리는 나이가 들어 은거를 하기로 결심했다.
- 벼슬에서 물러난 관리는 은거의 길을 선택했다.
- 은퇴한 관리는 조용한 은거 생활에 적응해 갔다.
- 가: 유명한 학자들 중에 젊은 나이에 벼슬에서 물러난 사람들도 있나요?
- 나: 네. 간신들이 날뛰는 정권에 염증을 느끼고 은거를 하기도 했지요.
은거하다 (隱居 하다)
발음 : [은거하다 ]
동사 動詞
- 1. いんきょする【隠居する】세상을 피해 숨어서 지내다.俗世を離れて隠れ住む。
- 은거하는 생활.
- 은거한 선비.
- 은거한 학자.
- 깊은 산속에 은거하다.
- 절에 은거하다.
- 선비는 세상에 염증을 느끼고 절에서 은거했다.
- 큰돈을 훔친 도둑들은 들키지 않도록 인적이 드문 곳에서 은거했다.
- 가: 왜 깊은 산속에 은거하고 계시죠?
- 나: 세상이 떠들썩하니 조용히 살고 싶어서 그래.
- 문형 : 1이 2에 은거하다
- 유의어 퇴거하다
- 2. いんきょする【隠居する】벼슬에서 물러나 한가롭게 지내다.官職から離れて、のどかに暮らす。
- 은거하는 삶.
-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다.
- 자연 속에서 은거하다.
- 조용히 은거하다.
- 한가로이 은거하다.
- 관리는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며 일생을 마쳤다.
- 나이가 들자 관리는 한가로이 은거하며 살고자 했다.
- 가: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하려고 한 관리를 왕이 만류하기도 했어.
- 나: 그래? 나라면 물러나서 노후는 한가롭게 보내고 싶었을 것 같아.
- 문형 : 1이 2에 은거하다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 다음에, -은 다음에야, -은 대로, -은 대신에, -은데, -은 데다가, -은데도, 은닉죄, 은닉하다, 은덕 (0) | 2020.02.06 |
---|---|
-은 김에, -은 나머지, 은 고사하고, 은공, 은그릇, 은근슬쩍, 은근하다, 은근히, 은닉, 은닉되다 (0) | 2020.02.06 |
-으이, -으키-, -은¹, -은가, 으음, 으응, 으하하, 으허허, 으흐흐, 윽박지르다, 은¹, 은² (0) | 2020.02.06 |
-으오, -으오-, -으옵-, -으우, 으쓱하다, 으아¹, 으아², 으악¹, 으악², 으앙 (0) | 2020.02.06 |
-으시지요, -으십사, -으십시다, -으십시오, 으쓱, 으쓱거리다, 으쓱대다, 으쓱으쓱, 으쓱으쓱하다, 으쓱이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