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廳)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Affix
-cheong
‘행정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A suffix used to mean an administrative organ.
- 검찰청
- 경찰청
- 관청
- 교육청
- 구청 See More
첫째1 ★★★
발음 : [첫째 ]
명사 Noun
- 1. first무엇보다도 앞서는 것. 제일.The thing preceding all other things, the topmost
- 첫째로 꼽다.
- 첫째로 들다.
- 첫째로 손꼽히다.
- 첫째로 중요하다.
- 첫째로 치다.
- 배우자를 고를 때 첫째로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성격이다.
- 세종 대왕의 업적 중에서 첫째로 꼽히는 것은 한글을 만든 것이다.
- 가: 이번에 차를 한 대 사려고 하는데 뭘 보고 차를 골라야 하나?
- 나: 차는 뭐니 뭐니 해도 안전성이 첫째로 볼 수 있지.
- ※ 주로 '첫째로'로 쓴다.
- 2. firstborn; eldest여러 형제나 자매 중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사람.The person who is the oldest among many brothers or sisters.
- 첫째가 태어나다.
- 첫째를 낳다.
- 첫째를 임신하다.
- 첫째로 살다.
- 첫째와 결혼하다.
- 지수는 첫째라서 그런지 어른스럽고 책임감이 강하다.
- 자식이 둘인 집에서는 첫째가 입던 옷을 둘째가 물려 입기도 한다.
- 가: 옆집 부부가 사고로 갑자기 죽었다며?
- 나: 응. 그래서 첫째가 가장이 되어 동생들을 돌보게 되었대.
- 유의어 맏이
첫째2 ★★★
발음 : [첟째 ]
수사 Numeral
first
순서가 가장 먼저인 차례.
The first number in a sequence.
- 글을 이해하려면 첫째, 꼼꼼하게 잘 읽어 보아야 한다.
-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첫째, 적성에 맞는지, 둘째, 보람을 느낄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 가: 너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해?
- 나: 첫째는 건강, 둘째는 행복, 셋째는 사랑이 아닐까?
첫째3 ★★★
발음 : [첟째 ]
관형사 Determiner
first
맨 처음 차례의.
The first in a series of things; something that comes before all others.
- 첫째 권.
- 첫째 누나.
- 첫째 단계.
- 첫째 목표.
- 첫째 부분. See More
- 우리 회사는 매달 첫째 금요일에 회식을 한다.
- 회장이 병으로 입원하자 첫째 아들이 가업을 물려받았다.
- 가: 과제를 할 때에는 첫째 단계에서 계획을 잘 세워야 문제가 안 생겨.
- 나: 맞아, 무엇이든지 처음이 제일 중요하지.
첫째가다
발음 : [첟째가다 ]
활용 : 첫째가[첟째가], 첫째가니[첟째가니]
동사 Verb
be first
무엇보다 앞서 특별히 꼽히거나 으뜸이 되다.
To be significantly better or more skilled at something than others.
- 첫째가는 미모.
- 첫째가는 부자.
- 첫째가는 실력.
- 나라에서 첫째가다.
- 반에서 첫째가다.
- 지수는 6학년 전체 학생 중에서 첫째가는 우등생이다.
- 우리 마을에서 첫째가는 미모를 자랑하는 유민이는 남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 가: 우리 아들은 성실하기로 치면 대한민국에서 첫째갈 놈이야.
- 나: 훌륭한 아드님을 두셨네요.
- 문형 : 1이 2에서 첫째가다
첫차 (첫 車) ★
발음 : [첟차 ]
명사 Noun
first bus; first train
그날의 맨 처음 떠나는 차.
The first bus or train for the day.
- 새벽 첫차.
- 첫차 시각.
- 첫차가 출발하다.
- 첫차를 놓치다.
- 첫차로 떠나다. See More
- 나는 해가 뜨기도 전에 첫차를 타고 집을 나셨다.
- 그는 새벽에 전화를 받고는 첫차를 타고 고향에 내려갔다.
- 가: 아저씨, 이 버스 첫차가 몇 시에 있어요?
- 나: 새벽 5시에 있습니다.
- 반대말 막차
첫판
발음 : [첟판 ]
명사 Noun
first round
일이 벌어지는 맨 처음의 판.
The first round of an event or process.
- 첫판이 끝나다.
- 첫판을 깨다.
- 첫판을 따다.
- 첫판을 이기다.
- 첫판부터 지다.
- 바둑 경기의 첫판은 큰 점수 차이로 시시하게 끝났다.
- 우리 팀은 첫판에서 졌지만 둘째, 셋째 판을 이겨서 역전승을 거두었다.
- 가: 게임은 잘 되니?
- 나: 아니, 첫판부터 죽어서 처음부터 다시 하고 있어.
첫해
발음 : [처태 ]
명사 Noun
first year
어떤 일을 시작한 맨 처음의 해.
The first year when one starts doing something.
- 귀국 첫해.
- 유학 첫해.
- 입학 첫해.
- 시집온 첫해.
- 첫해를 맞다. See More
- 대통령은 취임 첫해부터 각종 복지 정책을 쏟아내었다.
- 한국으로 유학 온 첫해에는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고생을 했다.
- 가: 이 떡 좀 잡숴 보세요. 제가 귀농 첫해에 수확한 쌀로 만든 것이랍니다.
- 나: 잘 먹을게요. 첫 수확을 하셨다니 정말 뿌듯하시겠어요.
청 (請)
발음 : [청 ]
명사 Noun
favor; request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부탁함. 또는 그 부탁.
The act of asking someone to do something, or such a request.
- 간곡한 청.
- 청을 거절하다.
- 청을 들어주다.
- 청을 받아들이다.
- 청을 뿌리치다.
- 김 대리는 부장님께 부서를 옮겨 달라는 청을 드렸다.
- 지수는 거절을 잘 못해서 친구들의 청을 웬만하면 들어주는 편이다.
- 가: 어려운 청이 하나 있는데, 백 만 원만 빌려줄 수 있니?
- 나: 그럼. 우리 사이에 그깟 돈도 못 빌려주겠어?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청(을) 넣다
청각 (聽覺) ★
발음 : [청각 ]
활용 : 청각이[청가기], 청각도[청각또], 청각만[청강만]
명사 Noun
sense of hearing
귀로 소리를 듣고 느끼는 감각.
The sense by which sound is perceived with the ears.
- 청각 장애.
- 청각이 발달하다.
- 청각이 예민하다.
- 청각을 잃다.
- 청각을 회복하다.
- 민준이는 사고로 고막이 파열된 뒤 청각을 잃었다.
- 청각이 예민한 어머니는 발소리에도 잠에서 깨곤 하신다.
- 가: 너 그렇게 늘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면 청각이 둔해져.
- 나: 소리를 작게 해서 들으니까 걱정 마세요.
'한국어기초사전 > 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구서, 청구하다, 청국장, 청군, 청년, 청년기, 청년층, 청동, 청동기, 청동기 시대 (0) | 2020.02.07 |
---|---|
청각 장애인, 청개구리, 청결, 청결하다, 청결히, 청과, 청과물, 청교도, 청구, 청구권 (0) | 2020.02.07 |
첫발, 첫봄, 첫사랑, 첫새벽, 첫선, 첫소리, 첫술, 첫여름, 첫인사, 첫인상 (0) | 2020.02.07 |
첫가을, 첫걸음, 첫날, 첫날밤, 첫눈¹, 첫눈², 첫돌, 첫딸, 첫마디, 첫머리 (0) | 2020.02.07 |
첩경, 첩보, 첩보망, 첩보전, 첩자, 첩첩¹, 첩첩², 첩첩산중, 첩첩이, 첫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