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답디까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っていましたか【と言っていましたか】。というんですか【と言うんですか】
(아주높임으로) 듣는 사람이 과거에 들은 사실에 대해 물을 때 쓰는 표현.
(上称)聞き手が過去に聞いた事実について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어디서 맥주 한 캔에 이렇게 높은 가격을 받는답디까?
  • 누가 그런 책을 자기 돈 주고 사서 읽는답디까?
  • 내가 언제 그런 약속을 했답디까?
  • 가: 대체 점심은 언제 먹는답디까?
  • 나: 두 시쯤 먹는다던데.
-는답디다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っていました【と言っていました】。というんです【と言うんです】
(예사 높임으로) 이전에 직접 들은 내용이나 사실을 전할 때 쓰는 표현.
(中称)過去に直接聞いた話の内容や事実を伝えるのに用いる表現。
  • 중국 사람들은 밥을 먹을 때 꼭 차와 같이 먹는답디다.
  • 지수는 알뜰해서 옷도 꼭 시장에서 사서 입는답디다.
  • 승규가 이사 갈 집을 찾는답디다.
  • 가: 설마 그런 일이야 있겠어?
  • 나: 설마가 사람 잡는답디다.
-는답시고
어미 語尾
とかいって。からといって
주어가 앞의 말을 뒤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에 대한 근거라고 내세우는 것을 말하는 사람이 못마땅하게 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主語が前の事柄を後にくる行動の根拠として示すことを、話し手が悪く評価する意を表す「連結語尾」。
  • 내 이사를 돕는답시고 친구가 오히려 더 정신이 없다.
  • 아들 녀석은 책을 읽는답시고 앉아서 꾸벅꾸벅 졸고 있다.
  • 승규는 길을 묻는답시고 지나가는 여자에게 말을 걸어 보았다.
  • 가: 지수는 어디 갔어?
  • 나: 공부도 다 안 해 놓고 스트레스를 받는답시고 놀러 나갔어요.
-는대1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の。のよ
(두루낮춤으로)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前の話が表す事実について強く否定したり疑問を提起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누가 이렇게 더러운 곳에서 씻는대?
  • 콩나물이 얼마나 비싸다고 값을 깎는대?
  • 네 신발이 어쩜 이렇게 나한테 꼭 맞는대?
  • 가: 이 많은 책을 언제 다 읽는대?
  • 나: 정말. 숙제가 많아도 너무 많아.
-는대2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といっていた【と言っていた】。そうだ。って。んだって
    (두루낮춤으로)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他人の話の内容を間接的に伝えるのに用いる表現。
    • 오늘 저녁에 뷔페를 먹는대.
    • 이번 학기 동안 그 책을 다 읽는대.
    • 드라마 결말에서 주인공이 결국 죽는대.
    • 가: 내일부터 신청서 접수를 받는대.
    • 나: 그러면 지금 미리 신청서를 써놔야 겠다.
  2. 2. って。んだって。んだってな。というのか【と言うのか】
    (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이 이전에 들어서 알고 있는 사실을 물어볼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聞き手が過去に聞いて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尋ねるのに用いる表現。
    • 민준이가 이 노래를 듣는대?
    • 유민이는 전문가 코스를 밟는대?
    • 그 사람이 자기 살 집을 직접 짓는대?
    • 가: 지수가 빵을 여기에 두면 가져가서 먹는대?
    • 나: 응. 이따가 여기에 들른다고 했어.
-는대도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うのに【と言うのに】。といっても【と言っても】。としても
앞에 오는 말이 어떤 상황을 가정하거나 실제 상황을 제시하지만 뒤에 오는 말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がある状況を仮定したり実際の状況を提示したりするが、後の言葉には何の影響も及ぼさ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많이 먹는대도 살이 찌지 않았다.
  • 아무리 빨리 씻는대도 학교에 늦을 것 같다.
  • 매월 꼬박꼬박 이자를 갚는대도 원금은 줄어들지 않는다.
  • 수술을 하면 병이 낫는대도 김 씨는 두려움 때문에 수술을 꺼렸다.
  • 가: 다른 사람이 생겼다면서 유민이가 헤어지재. 붙잡고 싶어.
  • 나: 네가 울면서 붙잡는대도 유민이는 떠날 것 같아.
-는 대로
참고 :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1. 1. まま。とおり【通り】
    앞에 오는 말이 뜻하는 현재의 행동이나 상황과 같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の表す現在の行動や状況と同じ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네 동생이 어디 가서 아직 집에 안 들어오는지 아는 대로 말해 보렴.
    • 여러분, 제가 발음하는 대로 잘 따라 해 보세요.
    • 각자가 생각하는 대로 의견을 말한 후 서로 논의를 해서 발표 내용을 만들자.
    • 미술 작품은 네가 보고 느끼는 대로 감상하는 것이 중요해.
    • 가: 매일 만드는 대로 요리했는데 오늘은 평소보다 맛이 없는 것 같아요.
    • 나: 아니에요. 맛있는걸요. 잘 먹을게요.
  2. 2. とすぐ。しだい【次第】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나타나는 그때 바로, 또는 직후에 곧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ある動作や状態が実現した時にすぐ、あるいはその直後に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먼 곳에 다녀와야 하니까 일어나는 대로 준비해서 떠나자.
    • 여행에서 돌아오는 대로 학교에 등록하러 갈 거예요.
    • 유민이는 수업이 끝나는 대로 곧장 집으로 갔다.
    • 가: 지수야, 여행 잘 다녀오렴.
    • 나: 네, 엄마. 거기 도착하는 대로 전화를 드릴게요.
  3. 3. したらことごとく。のはすべて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나타나는 하나하나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ある動作や状態が実現する一つ一つ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민준이는 시간이 나는 대로 고향에 계신 어머니를 찾아뵙는다.
    • 승규는 길에서 불쌍한 사람이 도와 달라고 하는 대로 돈을 준다.
    • 화가 난 지수는 보이는 대로 다 던졌다.
    • 가: 유민이가 또 사탕을 먹고 있네. 아이가 달라는 대로 다 주면 어떡해.
    • 나: 하도 울어서 달래려면 어쩔 수가 없었어.
  4. 4. かぎり【限り】。だけ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出来る限り最大限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될 수 있는 대로 쉽게 설명해야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다.
    • 생일 파티는 되는 대로 비밀을 유지해서 지수를 놀라게 해 주자.
    • 숙제는 하는 대로 미리 해 둬야 나중에 힘들지 않아.
    • 우리가 후원금을 모으는 대로 모아서 전해 줄 테니 너무 걱정하지 마.
    • 가: 우리 이번 주말에 어디 갈까?
    • 나: 글쎄, 사람이 많은 곳은 되는 대로 피하고 싶은데 어디 조용한 곳 없어?
-는대서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うので【と言うので】。というから【と言うから】
다른 사람에게 들은 내용을 근거로 다음 내용을 전개함을 나타내는 표현.
他人から聞いた内容を根拠にして後にくる内容を展開させ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어머니께서 종합 검진을 받는대서 병원에 같이 갔다.
  • 민준이가 과일을 잘 먹는대서 딸기와 바나나를 샀어요.
  • 후배가 제본한 책을 찾는대서 내 책도 찾아오길 부탁했어.
  • 염색을 하고 바로 머리를 감으면 약이 안 먹는대서 하루 동안 머리를 감지 않았다.
  • 가: 도서관에 같이 갔던 승규는 어쩌고 너만 집에 왔니?
  • 나: 승규는 책을 더 읽는대서 먼저 집에 왔죠.
-는대서야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といっては【と言っては】。んだったら
듣거나 알게 된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함을 나타내는 표현.
聞いた事実や知った事実について疑問を提起したり否定的に判断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고기만 먹는대서야 어떻게 부족한 영양소를 채우겠니?
  • 이 추운 날 미니스커트를 입는대서야 감기 걸리기 십상이지.
  • 걸핏하면 가게 문을 닫는대서야 어떻게 돈을 벌겠어요?
  • 가: 말은 안 하고 눈물만 쏟는대서야 누가 네 마음을 알겠니?
  • 나: 너무 기가 막혀서 아무 말도 안 나와요.
-는 대신에
참고 : '있다', '없다', '계시다'나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1. 1. が。けど。けれど。けれども
    앞에 오는 말과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태나 행동 등이 서로 다르거나 반대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と後にくる言葉の表す状態や行動などが異なったり、相反したり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이번 주에 장마로 매일 비가 오는 대신에 다음 주부터는 날씨가 좋다니 일주일만 참아 보자.
    • 성인이 되면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대신에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
    • 영수는 주중에는 밥을 거의 사 먹는 대신에 주말에는 집에서 요리를 해 먹는다.
    • 가: 지수는 또 놀러 나갔어요?
    • 나: 이번 주에 친구들과 노는 대신에 다음 주에는 매일 열심히 공부하겠대요.
  2. 2. かわりに【代わりに】。にかえて【に代えて】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를 비슷하거나 맞먹는 다른 행동이나 상태로 바꾸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を、それに相応する他の行動や状態に代えることを表す表現。
    • 유민이는 부모님을 자주 찾아뵙지 못하는 대신에 전화를 자주 드린다.
    • 승규는 저녁 늦게까지 일하는 대신에 월급을 더 받는다.
    • 지수는 웨딩드레스를 사는 대신에 빌려서 입기로 했다.
    • 요즘은 필요한 것을 직접 사러 가는 대신에 인터넷으로 주문하기도 한다.
    • 가: 요즘 주말에도 회사에 나와야 해서 너무 피곤해.
    • 나: 이번 일이 마무리될 때까지는 어쩔 수 없잖아. 그래도 지금 일하는 대신에 나중에 휴가를 준다니 기대가 돼.
    • 가: 우리 이번 주말에 영화를 보기로 했지?
    • 나: 응. 그런데 날씨가 좋으니까 영화를 보는 대신에 공원에 놀러 가면 어때?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