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
참고 : 형용사나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이다.
- 1. phải... thì mới...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Cấu trúc thể hiện vế trước là điều kiện của vế sau.
- 네가 바쁘대야 내가 가서 돕지. 말을 안 하면 바쁜지 내가 어떻게 알겠어?
- 날씨가 좋대야 소풍이라도 가지. 비가 계속 와서 나가기 어려워.
- 책이 재미있대야 잘 팔리지. 표지만 예뻐서야 얼마 못 가지.
- 가: 네가 안 아프대야 엄마가 마음을 놓지.
- 나: 엄마 전 잘 지내고 있으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 2. thì어떤 상황을 가정했을 때 그것이 별로 심각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표현.Cấu trúc thể hiện việc khi giả định tình huống nào đó thì đó không phải là điều nghiêm trọng hoặc khó khăn lắm.
- 일이 많대야 얼마나 많겠어요?
- 그곳이 춥대야 남극만큼 춥겠어요?
- 그 나이에는 피곤하대야 한두 시간 쉬고 나면 금방 좋아져요.
- 가: 지수가 국이 짜대요.
- 나: 국이 짜대야 얼마나 짜겠어요? 물을 조금 넣어 끓이면 간이 맞을 거예요.
대야
발음 : [대야 ]
명사 Danh từ
cái chậu rửa mặt, cái thau rửa mặt
주로 세수할 때 물을 담아 쓰는 둥글고 넓적한 그릇.
Đồ dùng có hình tròn và rộng, chủ yếu dùng để chứa nước khi rửa mặt.
- 대야를 사용하다.
- 대야에 넣다.
- 대야에 담다.
- 대야에 뜨다.
- 대야에 붓다.
- 민준이는 시골 할머니 댁에 가면 세면대가 없어 대야에 물을 담아 세수를 한다.
- 유민이는 아기를 씻기기 위해 따뜻한 물을 담은 대야와 수건을 들고 방에 들어왔다.
- 가: 다리가 불편해서 세수는 어떻게 하니?
- 나: 가족들이 대야에 물을 받아다 줘요.
대양 (大洋) ★
발음 : [대ː양 ]
명사 Danh từ
đại dương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북극해, 남극해 같은 아주 넓은 바다.
Biển rất rộng lớn như Thái Bình Dương, Đại Tây dương, Ấn Độ dương, Bắc Băng Dương, Nam Băng Dương.
- 거대한 대양.
- 대양을 바라보다.
- 대양을 항해하다.
- 대양을 헤엄치다.
- 대양으로 흐르다.
- 인천에서 출발한 비행기는 대양을 건너 미국에 착륙했다.
- 인근 연해에서 유조선이 전복되어 기름이 대양으로까지 흘러들어 심각한 환경 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 가: 여객선을 타고 하는 여행은 어땠어?
- 나: 매일 밤 대양 한가운데서 선상 파티도 하고 색다른 일을 많이 경험했어.
대어 (大魚)
발음 : [대ː어 ]
명사 Danh từ
- 1. cá to큰 물고기.Cá lớn.
- 대어를 건지다.
- 대어를 구경하다.
- 대어를 놓치다.
- 대어를 발견하다.
- 대어를 잡다.
- 어부들은 대어를 낚기 위해 배를 타고 먼바다로 나갔다.
- 낚시를 나갔다가 생각지 못하게 대어를 잡은 그는 마을 사람들과 잔치를 벌였다.
- 2. con cá lớn, miếng mồi ngon(비유적으로) 목적한 바를 이루는 데 중요한 물건이나 사람.(cách nói ví von) Vật hoặc người quan trọng trong việc thực hiện mục đích.
- 대어를 건지다.
- 대어를 놓치다.
- 대어를 잡다.
- 대어로 손꼽히다.
- 대어로 주목받다.
- 김 선수는 현재 소속 팀과의 계약이 끝나면서 야구 선수 시장의 대어로 주목받고 있다.
- 주식 시장은 변화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대어를 잡기가 쉽지 않다.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대어를 낚다
대업
발음 : [대ː업 ]
활용 : 대업이[대ː어비], 대업도[대ː업또], 대업만[대ː엄만]
명사 Danh từ
đại nghiệp, đại sự, sự nghiệp lớn
국가와 같은 큰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사업.
Sự nghiệp được đạt đến ở tầm cấp cao như cấp nhà nước.
- 건국 대업.
- 국가의 대업.
- 통일의 대업.
- 역사적 대업.
- 대업을 성취하다. See More
- 많은 국민들이 남과 북의 통일이라는 대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 거대한 국가 자본이 투입된 댐 건설은 우리나라 역사에 남을 대업이었다.
- 가: 세종 대왕은 어떤 왕이었어요?
- 나: 한글 창제라는 대업을 이룩한 왕이지.
대여 (貸與) ★
발음 : [대ː여 ]
명사 Danh từ
việc cho mượn, việc cho mướn, việc cho thuê, việc cho vay
물건이나 돈을 빌려줌.
Việc cho mượn tiền hay đồ vật.
- 도서 대여.
- 무료 대여.
- 무상 대여.
- 대여 시설.
- 대여를 하다.
- 각 지하철역에서는 비가 내리면 승객들에게 무료로 우산 대여를 해 준다.
- 유민이는 기숙사 사무실에서 대여를 한 다리미를 제때 반납하지 않아 벌금을 물었다.
- 가: 과제에 필요한 책들이 많은데 다 사기에는 돈이 너무 많이 들어.
- 나: 도서관에서 대여를 해서 봐.
대여료 (貸與料)
발음 : [대ː여료 ]
명사 Danh từ
tiền thuê, phí thuê
물건을 빌려 쓰기 위해 내는 돈.
Tiền trả để mượn đồ vật rồi sử dụng.
- 건물 대여료.
- 사무실 대여료.
- 책 대여료.
- 대여료가 비싸다.
- 대여료가 오르다. See More
- 공연장 대여료는 공연이 끝난 후 지불하기로 했다.
- 우리 도서관에서는 책을 빌려주는 데 별도의 대여료를 받지 않는다.
- 가: 자전거 대여료가 얼마예요?
- 나: 시간당 오천 원입니다.
대여섯1 ★★
발음 : [대ː여섣 ]
활용 : 대여섯이[대ː여서시], 대여섯도[대ː여섣또], 대여섯만[대ː여선만]
수사 Số từ
khoảng năm sáu
다섯이나 여섯쯤 되는 수.
Số khoảng chừng năm hay sáu.
- 좁은 가게에는 손님 대여섯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 머리를 단정하게 자르니 승규는 나이가 대여섯은 어려 보였다.
- 가: 난 큰 집에서 살고 싶어.
- 나: 나도. 방 대여섯이 있는 넓은 집에 살면 좋겠다.
- 준말 대엿¹
대여섯2 ★★
발음 : [대ː여섣 ]
관형사 Định từ
khoảng năm sáu
다섯이나 여섯 정도의.
Chỉ mức khoảng năm hoặc sáu.
- 대여섯 사람.
- 대여섯 살.
- 이 식당에서 파는 음식은 대여섯 종류밖에 없다.
- 오늘 집들이에는 대여섯 명의 손님이 올 예정이다.
- 가: 낮에 대여섯 번이나 전화했었는데 받지 않더라?
- 나: 미안해. 전화기를 집에 두고 나갔었어.
- ※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쓴다.
- 준말 대엿²
대여점 (貸與店)
발음 : [대ː여점 ]
명사 Danh từ
cửa hàng cho thuê
돈을 받고 물건을 빌려주는 가게.
Cửa hàng nhận tiền rồi cho mượn đồ vật.
- 도서 대여점.
- 비디오 대여점.
- 대여점을 운영하다.
- 대여점을 이용하다.
- 대여점에 가다. See More
- 이 공원 안에는 자전거 대여점이 많이 있다.
- 나는 오전에 책 대여점에 가서 책 한 권을 빌려 왔다.
-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비디오 대여점을 운영하셨다.
- 가: 형, 나 이 책 좀 읽어도 돼?
- 나: 응. 그런데 그 책은 내일까지 대여점에 반납해야 해.
'한국어기초사전 > 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요¹, -대요², 대왕대비, 대외, 대외적¹, 대외적², 대용, 대용되다, 대용량, 대용물 (0) | 2020.02.06 |
---|---|
대여하다, 대역¹, 대역², 대역³, 대역하다, 대열, 대엿¹, 대엿², 대엿새, 대오¹, 대오², 대왕 (0) | 2020.02.06 |
대숲, 대승, 대승하다, 대시, 대시하다, 대식, 대식가, 대신, 대신하다, 대안 (0) | 2020.02.06 |
대성황, 대세, 대소, 대소변, 대소사, 대수¹, 대수², 대수로이, 대수롭다, 대수술 (0) | 2020.02.06 |
대설, 대설 경보, 대설 주의보, 대성, 대성공, 대성공하다, 대성당, 대성통곡, 대성통곡하다, 대성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