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박
발음 : [박빡 ]
부사 副詞
  1. 1. がりがり
    자꾸 세게 긁거나 문지르는 소리. 또는 그 모양.
    しきりに強く引っかいたりこする音。また、その様子。
    • 박박 소리.
    • 박박 긁다.
    • 박박 문지르다.
    • 박박 비비다.
    • 박박 지우다.
    • 어머니는 물에 박박 문질러 씻은 쌀을 밥솥에 넣으셨다.
    • 목욕탕에 간 지수는 뜨거운 물에 몸을 불리고 때를 박박 문질렀다.
    • 가: 얘, 박박 소리가 날 정도로 긁으면 피부가 상하잖니?
    • 나: 너무 가려워서 그래요.
  2. 2. びりびり
    얇고 질긴 종이나 천 등을 자꾸 찢는 소리. 또는 그 모양.
    薄くて固い紙や布などをしきりに破る音。また、その様子。
    • 박박 찢기다.
    • 박박 찢다.
    • 지수는 영수증들을 박박 찢어 쓰레기통에 버렸다.
    • 민준은 친구와 싸우다가 입고 있던 옷이 박박 소리를 내며 찢어졌다.
    • 가: 이 서류는 어떻게 할까요?
    • 나: 박박 찢어서 태워 버리세요.
  3. 3. ごしごし
    광택이 나도록 자꾸 닦거나 문지르거나 깎는 모양.
    艶が出るように続けて磨いたりこすったりする様子。
    • 박박 닦다.
    • 박박 닦이다.
    • 박박 문대다.
    • 박박 문지르다.
    • 지수는 윤이 날 정도로 방바닥을 박박 닦았다.
    • 목수는 널빤지가 반들반들해질 때까지 대패로 박박 문질렀다.
    • 가: 유리창이 너무 지저분하네?
    • 나: 박박 닦아 놓을게요.
  4. 4. みじかく【短く】
    머리털이나 수염 등을 아주 짧게 깎은 모양.
    髪の毛や髭などをとても短く刈った様子。
    • 박박 깎다.
    • 박박 밀다.
    • 박박 자르다.
    • 민준은 머리를 박박 깎고 중이 되었다.
    • 김 씨는 수염이 거추장스럽게 느껴져 박박 밀어 버렸다.
    • 가: 너 왜 갑자기 머리를 박박 민 거야?
    • 나: 날씨가 더워져서.
  5. 5. つよく【強く】。しつこく
    자꾸 무리하게 고집을 피우는 모양.
    しきりにひどく意地を張る様子。
    • 박박 고집을 피우다.
    • 박박 기를 쓰다.
    • 박박 대들다.
    • 박박 악을 쓰다.
    • 박박 애를 쓰다.
    • See More
    • 승규와 유민은 서로 자기가 맞다고 박박 우겼다.
    • 지수는 어떻게든 시합에서 자기를 이기려고 박박 애를 쓰는 민준이 안쓰러웠다.
    • 가: 내 돈 물어내! 물어내!
    • 나: 이 사람이 박박 악만 쓴다고 되나?
  6. 6. ぎしぎし
    이 등을 세게 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強く歯ぎしりなどをする音。また、その様子。
    • 박박 갈다.
    • 박박 갈리다.
    • 전쟁에서 진 왕은 이를 박박 갈며 복수를 계획했다.
    • 지수는 밤새 남편이 이를 박박 갈아 잠을 잘 수 없었다.
    • 가: 이게 무슨 소리야?
    • 나: 승규가 이를 박박 가는 소리야.
박복하다 (薄福 하다)
발음 : [박뽀카다 ]
활용 : 박복한[박뽀칸], 박복하여[박뽀카여](박복해[박뽀캐]), 박복하니[박뽀카니], 박복합니다[박뽀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はっこうだ【薄幸だ】。ふしあわせだ【不幸せだ】
복이 없고 평생의 운수가 사납다.
幸せに恵まれず一生運が悪い。
  • 박복한 사람.
  • 박복한 신세.
  • 박복한 여자.
  • 박복한 인생.
  • 박복한 팔자.
  • 남편을 일찍 여의고 아이도 잃고 자신도 불치병에 걸린 김 씨는 박복한 사람이다.
  • 한평생을 가난에 찌들어 고생만 한 아저씨는 정말 박복하다고 할 수 있었다.
  • 가: 그 남자, 결혼을 세 번 했는데 부인들이 다 병으로 일찍 죽었대.
  • 나: 박복한 팔자군.
  • 문형 : 1이 박복하다
박봉 (薄俸)
발음 : [박뽕 ]
명사 名詞
はっきゅう【薄給】
적은 봉급.
安い給料。
  • 박봉을 받다.
  • 박봉을 벌다.
  • 박봉을 쪼개다.
  • 박봉을 털다.
  • 박봉에 시달리다.
  • 유민은 남편의 박봉을 가지고도 알뜰하게 살림하여 제법 큰돈을 모았다.
  • 박봉에 시달리는 승규는 좀 더 많은 봉급을 주는 직장으로 옮길 생각이다.
  • 가: 돈 좀 꿔 줘.
  • 나: 야, 나도 박봉으로 겨우 먹고사는데 돈이 어디 있겠냐?
박빙 (薄氷)
발음 : [박삥 ]
명사 名詞
  1. 1. はくひょう・うすごおり【薄氷】
    얇게 살짝 언 얼음.
    薄く張った氷。
    • 박빙 위.
    • 박빙이 깔리다.
    • 박빙이 끼다.
    • 박빙이 얼다.
    • 박빙을 밟다.
    •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자 강에 박빙이 살짝 얼었다.
    • 식혜를 추운 바깥에 놓아두었더니 안에 박빙이 생겼다.
    • 가: 호수가 얼었는데 위에서 스케이트 탈까?
    • 나: 박빙이라 위험해서 안 돼.
  2. 2. はくひょう【薄氷】
    (비유적으로) 아주 작은 차이.
    (比喩的に)僅かな差。
    • 박빙의 상황.
    • 박빙의 승부.
    • 박빙의 우세.
    • 박빙의 우위.
    • 박빙의 차이.
    • 두 축구 팀은 박빙의 승부를 펼쳐 일 대 영으로 경기를 마쳤다.
    • 김 후보는 이 후보와 박빙의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선거에 당선되었다.
    • 가: 내가 이겼어!
    • 나: 흥, 일 점 차이인 박빙의 우위일 뿐이야.
    • ※ 주로 '박빙의'로 쓴다.
박사 (博士) ★★
발음 : [박싸 ]
명사 名詞
  1. 1. はくし・はかせ【博士】
    대학에서 주는 가장 높은 학위. 또는 그 학위를 받은 사람.
    大学で授与される最高学位。または、その学位を授与された人。
    • 공학 박사.
    • 문학 박사.
    • 신학 박사.
    • 정치학 박사.
    • 박사 과정.
    • See More
    • 지수는 박사 과정을 마치고 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 그는 올해에 논문을 써서 내년쯤에 박사 학위를 받을 예정이다.
    • 언어학 박사인 그는 최근 사회와 언어 변화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있다.
    • 가: 승규가 미국에서 돌아왔다며?
    • 나: 유학 간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박사가 돼서 돌아오다니.
  2. 2. はかせ【博士】。ものしり【物知り】
    (비유적으로) 아는 것이 많거나 어떤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
    (比喩的に)博識で、ある分野に詳しい人。
    • 게임 박사.
    • 수학 박사.
    • 연애 박사.
    • 요리 박사.
    • 컴퓨터 박사.
    • 그는 게임이라면 모르는 것이 없는 게임 박사였다.
    • 남 괴롭히고 골탕 먹이는 일에 있어서는 승규가 박사였다.
    • 지수는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척척 알아맞히는 수학 박사였다.
    • 가: 모니터 화면이 잘 안 나오는데 이것 좀 봐 줘.
    • 나: 나는 잘 모르니까 컴퓨터 박사인 민준이한테 가서 물어봐.
박살
발음 : [박쌀 ]
명사 名詞
깨어져 완전히 부서짐.
打ち砕かれて粉々になること。
  • 박살이 나다.
  • 박살을 내다.
  • 우리 집 유리창이 갑자기 날아온 야구공에 박살이 났다.
  • 화가 난 김 씨는 들고 있던 핸드폰을 던져 박살을 냈다.
  • 가: 접시가 왜 박살이 났어?
  • 나: 찬장에서 꺼내다가 실수로 떨어뜨렸어요.
박색 (薄色)
발음 : [박쌕 ]
활용 : 박색이[박쌔기], 박색도[박쌕또], 박색만[박쌩만]
명사 名詞
ぶきりょう【不器量】。ぶさいく【不細工】
아주 못생긴 얼굴. 또는 그런 사람.
醜い顔。または、そういう顔の人。
  • 천하 박색.
  • 심한 박색.
  • 타고난 박색.
  • 박색인 아내.
  • 박색의 여인.
  • 지수는 얼굴이 박색인데 성격도 나빠 주위 사람들이 싫어한다.
  • 모두가 유민을 박색이라고 하지만 찬찬히 보면 예쁜 구석도 있다.
  • 가: 신부가 너무 못생겼다.
  • 나: 신부 화장을 했는데도 저 정도면 박색인가 봐.
  • ※ 주로 여자에게 쓴다.
박수 (拍手) ★★★
발음 : [박쑤 ]
명사 名詞
はくしゅ【拍手】
기쁨, 축하, 환영, 칭찬 등을 나타내거나 장단을 맞추려고 두 손뼉을 마주 침.
喜び・お祝い・歓迎・褒めの気持ちを表したり、調子を合わせるために手を打ち合わせること。
  • 기립 박수.
  • 열렬한 박수.
  • 박수 소리.
  • 박수가 쏟아지다.
  • 박수를 보내다.
  • See More
  • 공연을 성공적으로 끝낸 무용수에게 우레와 같은 박수가 쏟아졌다.
  • 신랑과 신부는 하객들이 보내는 축복의 박수 속에서 행복해하였다.
  • 가: 어머, 아기가 노래에 맞춰 박수를 치네?
  • 나: 노랫소리에 신이 났나 봐.
박수갈채 (拍手喝采)
발음 : [박쑤갈채 ]
명사 名詞
はくしゅかっさい【拍手喝采】
손뼉을 치고 소리를 질러 축하하고 칭찬함.
手を叩き、大声をあげて祝ってほめること。
  • 뜨거운 박수갈채.
  • 박수갈채가 쏟아지다.
  • 박수갈채를 받다.
  • 박수갈채를 보내다.
  • 그 가수는 수많은 청중들의 박수갈채를 받으며 무대 위에 등장했다.
  • 부상을 당했음에도 끝까지 경기를 뛴 선수에게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박수무당
발음 : [박쑤무당 ]
명사 名詞
バクスムーダン
귀신을 받들어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남자.
神に仕えて占いと「クッ(祈りの儀式)」を行うことを職業とする男。
  • 영험한 박수무당.
  • 박수무당이 굿하다.
  • 박수무당이 되다.
  • 박수무당을 만나다.
  • 박수무당을 찾다.
  • 박수무당은 방울을 흔들며 굿을 하기 시작했다.
  • 민준의 아버지는 용하다고 소문난 박수무당이었다.
  • 가: 여자만 무당이 될 수 있어?
  • 나: 아니. 남자인 박수무당도 있어.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