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1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て
    앞의 말이 뒤의 말보다 먼저 일어났거나 뒤의 말에 대한 방법이나 수단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前の事柄が後の事柄より先に行われたか、後の事柄の方法や手段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나는 옷을 접 옷장에 넣었다.
    • 영수는 에어컨을 틀어 더위를 식혔다.
    • 벚꽃이 날려 내 어깨 위에 떨어졌다.
    • 그는 매일 아침 침대 위의 이불을 개 가지런히 정리한다.
  2. 2. て。たので。たから
    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前の事柄が後の事柄の原因や理由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친구가 시험에 떨져 재수를 했다.
    • 호수의 수심이 깊 수영을 금지합니다.
    • 제 날씨가 너무 추워 감기에 걸리고 말았다.
    • 옆에 있던 사람이 갑자기 소리를 질러 깜짝 놀라 쳐다보았다.
  3. 3. て
    동사와 형용사를 보조 용언인 ‘두다’, ‘버리다’, ‘보다’, ‘있다’, ‘주다’ 등과 이어 줄 때 쓰는 연결 어미.
    動詞と形容詞、「이다」を補助用言「두다」「버리다」「보다」「있다」「주다」などとつなげる役割をする「連結語尾」。
    • 이 책 좀 읽 보렴.
    • 나는 동생이 싫어하는 반찬을 대신 먹어 줬다.
    • 화분의 꽃이 아직까지 지지 않고 피 있었다.
    • 시험 기간이라 어젯밤에 늦게까지 자지 않고 깨어 있었더니 피곤하다.
    • ※ 주로 ‘-어 가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버리다’, ‘-어 보다’, ‘-어 보이다’, ‘-어 오다’, ‘-어 있다’, ‘-어 주다’로 쓴다.
    • 참고어 -아¹, -여¹
  4. 4. のか。なさい。よう。ましょう
    (두루낮춤으로)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 명령,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ある事実を叙述したり、質問・命令・勧誘の意を表す「終結語尾」。
    • 지수야, 뭘 먹?
    • 영수 딸은 정말 예뻐.
    • 노래가 다 끝나면 촛불을 불.
    • 가: 저 너무 배고파서 더 이상 못 참겠요.
    • 나: 잠깐만 더 기다리고 있어. 이제 준비가 다 되었어.
-어3 (語) ★★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말’, ‘단어’의 뜻을 나타내는 ‘어’는 접미사이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외래어 다음에서는 띄어 쓰거나 붙여 쓸 수 있다.
접사 接辞
ご【語】
‘말’ 또는 ‘단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言葉」または「単語」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고유
  • 기계
  • 그리스
  • 민족
  • 중국
  • See More
-어 가다
  1. 1. ていく。てく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가 계속 진행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が引き続き進む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가을 들판에는 곡식들이 익어 가고 있다.
    •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 농작물이 시들어 가고 있다.
    • 승규는 점점 늙어 가는 아내를 보면 항상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 가: 엄마, 나 배고픈데 밥 아직 안 됐어요?
    • 나: 응. 다 되어 가. 조금만 기다리렴.
    •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아 가다, -여 가다
  2. 2. ていく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이따금 반복함과 동시에 또 다른 행동을 이어 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度々繰り返すと同時に別の行為を続けて行う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어머니는 동전 하나도 아껴 가며 돈을 모으셨다.
    • 텔레비전에 나온 한 정치인이 침을 튀겨 가며 정부를 비난하고 있었다.
    • 거짓말도 가려 가면서 해야지. 감히 선생님께 그런 거짓말을 하다니!
    • 가: 공부도 좋지만 좀 쉬어 가면서 하렴.
    • 나: 이것만 끝내고 쉴 거예요.
    •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 뒤에 붙여 주로 ‘-어 가며’, ‘-어 가면서’로 쓴다.
    • 참고어 -아 가다, -여 가다
-어 가지고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1. 1. て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의 결과나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の結果や状態が維持され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날씨가 추워 가지고 산책 나가는 것도 힘들다.
    • 나는 찌개에 넣을 채소들을 씻어 가지고 잘게 썰어 두었다.
    • 우리는 각자 맡은 부분에 대한 계획서를 써 가지고 오기로 했다.
    • 가: 지하철에서 신문을 펼쳐 놓고 읽는 사람들은 너무 배려심이 없는 것 같아.
    • 나: 맞아. 좀 접어 가지고 읽으면 좋을 텐데.
  2. 2. て。から。ので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가 뒤의 말의 원인이나 이유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が後に述べる事柄の原因や理由であることを表す表現。
    • 지수는 지갑을 잃어버려 가지고 차비도 없어 집까지 걸어왔다.
    • 민준이가 심한 감기에 걸려 가지고 오늘 학교에 못 올 것 같대요.
    • 동물원의 동물들이 무척 귀여워 가지고 나는 계속 카메라의 셔터를 눌러 댔다.
    • 가: 오늘 왜 이렇게 피곤해하니?
    • 나: 어제 늦게까지 술을 마셔 가지고 컨디션이 안 좋아.
얘기하다
발음 : [얘ː기하다 ]
동사 動詞
  1. 1. はなす【話す】。かたる【語る】。のべる【述べる】
    어떠한 사실이나 상태, 현상, 경험, 생각 등에 관해 누군가에게 말을 하다.
    ある事実・状態・現象・経験・考えなどについて誰かに言う。
    • 결론을 얘기하다.
    • 경험을 얘기하다.
    • 느낌을 얘기하다.
    • 문제를 얘기하다.
    • 비밀을 얘기하다.
    • See More
    • 엄마는 아이에게 방을 치우라고 얘기했다.
    • 토론자는 상대 토론자에게 분명하면서도 조리 있게 자신의 견해를 얘기하였다.
    • 사회자는 발표자에게 시간이 부족하니 발표 내용을 요약해서 말해 달라고 얘기했다.
    • 피해자의 가족들은 형사에게 이번 사건에 대하여 더 이상 얘기하지 않으려는 눈치였다.
    • 가: 엄마, 엄마는 어떻게 아빠를 만났어요? 얘기해 주세요.
    • 나: 그래, 좋아. 너희 아빠를 처음 만났던 게 자그마치 십 년 전의 일이야.
    • 가: 너 정말로 이 말들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지 않았니?
    • 나: 그럼요, 아무한테도 얘기하지 않았어요.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얘기하다, 1이 2에/에게 3-고 얘기하다
    • 문형참고 : '3에 대하여'로도 쓴다.
    • 본말 이야기하다
  2. 2. はなす【話す】。はなしあう【話し合う】
    다른 사람과 말을 주고받다.
    他の人と言葉を交わす。
    • 단둘이 얘기하다.
    • 부모님과 얘기하다.
    • 연인과 얘기하다.
    • 서로 얘기하다.
    • 수군수군 얘기하다.
    • See More
    • 친구들이 이번 여름에 어디로 여행 갈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 민준은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밤새도록 옛 추억들을 얘기하였다.
    • 가: 김 선생님과 이번 업무에 대해 얘기해 보셨나요?
    • 나: 네. 방금 전에 김 선생님을 만나서 업무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어요.
    • 문형 : 1이 (2와) 얘기하다, 1이 (2와) 3을 얘기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오고 '3에 대하여'로도 쓴다.
    • 본말 이야기하다
  3. 3. はなす【話す】。かたる【語る】。ものがたる【物語る】
    어떤 사실이나 있지 않은 일을 사실처럼 꾸며 재미있게 말을 하다.
    ある事実や実在しないことを事実のように面白く作り上げて言葉で表現する。
    • 무용담을 얘기하다.
    • 신화를 얘기하다.
    • 일대기를 얘기하다.
    • 전설을 얘기하다.
    • 줄거리를 얘기하다.
    • See More
    • 승규는 친구에게 어제 본 영화 내용을 실감나게 얘기하였다.
    • 아저씨가 아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얘기해 주었다.
    • 가: 어린이 여러분. 오늘은 선생님이 여러분에게 재미있는 동화를 얘기해 줄 거예요.
    • 나: 와! 재미있겠다. 선생님, 얼른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얘기하다, 1이 2에/에게 3-고 얘기하다
    • 문형참고 : '3에 대하여'로도 쓴다.
    • 본말 이야기하다
  4. 4. いう【言う】。ひょうかする【評価する】
    어떠한 것에 대한 소문을 내거나 평을 하다.
    ある物事について噂をしたり、判断をしたりする。
    • 바보라고 얘기하다.
    • 한 마디로 얘기하다.
    • 긍정적으로 얘기하다.
    • 냉철하게 얘기하다.
    • 혹독하게 얘기하다.
    • 몇몇 평론가들은 그 미술 작품을 시대를 앞서 가는 획기적인 작품으로 얘기한다.
    • 사람들은 형을 차가운 남자로 얘기하지만 사실 형은 조금 무뚝뚝한 사람일 뿐이다.
    • 가: 김 부장님, 누가 부장님이 회사를 그만둘 거라고 얘기하던데 사실이에요?
    • 나: 전혀 그렇지 않아. 대체 누가 그런 말도 안 되는 헛소문을 퍼뜨린 거야?
    • 문형 : 1이 2를 3으로 얘기하다, 1이 2를 3-고 얘기하다, 1이 2-고 얘기하다
    • 본말 이야기하다
얘깃거리
발음 : [얘ː기꺼리 /얘ː긷꺼리 ]
명사 名詞
いいぐさ【言草】。はなしのたね【話の種】
이야기할 만한 재료나 내용.
話をするための種や内容。
  • 얘깃거리가 넘치다.
  • 얘깃거리가 되다.
  • 얘깃거리가 많다.
  • 얘깃거리가 있다.
  • 얘깃거리를 나누다.
  • See More
  • 사회자는 얘깃거리가 떨어졌어도 무대에서 내려오지 않았다.
  • 소설가는 도무지 새로운 얘깃거리가 떠오르지 않아 고민했다.
  • 나는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그동안 쌓였던 얘깃거리를 풀어 놓았다.
1
발음 : [어 ]
명사 名詞
한글 자모 ‘ㅓ’의 이름.
ハングル字母の「ㅓ」の名称。
2 ★★★
발음 : [어 ]
감탄사 感動詞
  1. 1. あ。あら。や。おお。わあ
    놀라움, 당황함, 초조함, 다급함의 느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驚き、うろたえ、焦りなどの感情を表す時に発する語。
    • , 이게 뭐야?
    • 어, 어떻게 된 거지?
    • , 그건 아닌 것 같은데?
    • , 이러다가 차 놓치겠다.
    • , 아무도 없는 줄 알았는데 사람이 있었네.
    • 어, 여기 있던 연필이 어디로 갔지?
    • , 벌써 금요일이잖아?
    • 가: 부장님 퇴근 안 하세요?
    • 나: ,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됐었나?
  2. 2. あ。あら。おお。わあ
    기쁨이나 감동의 느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喜びや感動を表す時に発する語。
    • , 물이 참 시원하다!
    • , 우리 지수가 참 똑똑한데?
    • , 그것 참 좋군.
    • , 정말 잘 됐.
    • , 배부르다!
    • , 오랜만에 만나니 정말 반갑네.
    • 유민아, 안녕? 나, , 승규야, 이게 웬일이야? 오랜만이다!
  3. 3. あ。やれやれ
    걱정, 근심, 안타까움, 한탄의 느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心配、懸念、嘆きの感情を表す時に発する語。
    • , 속상해라.
    • , 짜증나고 귀찮아.
    • , 왜 이렇게 더운 거야.
    • , 힘들 죽겠네.
  4. 4. あ。おい。ほら
    남에게 말을 걸거나 주의를 끌 때, 말에 앞서 내는 소리.
    呼びかけたり注意を引いたりする時に発する語。
    • , 김 선생.
    • , 여기 좀 봐.
    • , 여기야!
    • , 저것 좀 봐.
    • 가: , 나 좀 보게나.
    • 나: 네? 부르셨나요?
  5. 5. あ。おお
    모르던 것을 깨달았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知らなかったことに気付いた時に発する語。
    • , 이제 생각났다.
    • “아”하면 “”하고 척 알아들야지.
    • , 그래서 선생님이 화가 나신 거구나.
    • 가: 여기로 가면 더 빨리 가실 수 있요.
    • 나: , 급하던 차에 잘 됐네요.
    • 가: 기침할 때에는 도라지를 끓여서 마시면 좋아요.
    • 나: , 그래요? 당장 도라지 물을 마셔 볼게요.
  6. 6. あの。ええ
    주저하며 말을 시작할 때 내는 소리.
    ためらいながら言い出す時に発する語。
    • , 그러니까 말이야.
    • , 있잖아, 할 말이 있는데
    • , 하지만 말이야.
    • , 그래서 말인데.
    • 가: , 그런데 말이야.
    • 나: 답답하게 그러지 말고 빨리 말해.
어-
(어는데, 어니, 어는, 언, 얼, 업니다)→얼다
얼다 ★★★
발음 : [얼ː다 ]
활용 : 얼어[어러], 어니[어ː니], 업니다[엄ː니다]
동사 動詞
  1. 1. こおる【凍る】。いてつく【凍て付く】
    액체나 물기가 있는 물체가 찬 기운으로 인해 고체 상태로 굳어지다.
    液体や水分を含んだ物体が冷たい外気によって固体の状態になる。
    • 언 땅.
    • 강이 얼다.
    • 물이 얼다.
    • 수도관이 얼다.
    • 얼음이 얼다.
    • See More
    • 강물이 새파랗게 얼어서 유리알 같았다.
    • 얼마나 날씨가 추운지 볼펜이 얼어서 잉크가 잘 나오지 않았다.
    • 가: 엄마. 왜 물이 안 나와?
    • 나: 어제 날씨가 추웠는지 수도관이 다 얼어서 터졌지 뭐니.
    • 문형 : 1이 얼다
    • 반대말 녹다
  2. 2. こおる【凍る】。こごえる【凍える】
    추위로 몸의 전체나 일부가 감각이 없어질 만큼 아주 차가워지다.
    寒さのため、体の全体や一部が感覚が無くなるほど非常に冷たくなる。
    • 꽁꽁 언 발.
    • 얼어 죽다.
    • 몸이 얼다.
    • 손이 꽁꽁 얼다.
    • 입술이 얼다.
    • 겨울 바람에 어린 아들의 몸은 꽁꽁 얼어 있었다.
    • 열대 지방에 갑작스러운 한파가 닥쳐 사람들이 얼어 죽었다.
    • 가: 왜 이렇게 부들부들 떨어? 추워?
    • 나: 응. 손끝이랑 발이 다 얼었어.
    • 문형 : 1이 얼다
    • 반대말 녹다
  3. 3. あがる【上がる】。きんちょうする【緊張する】
    어떤 분위기나 사람에게 기가 눌려 지나치게 긴장하다.
    ある雰囲気や人に圧倒されて、過度に緊張する。
    • 나는 바짝 얼어 모기 같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 지수는 선생님 앞에서만 서면 얼어서 말이 나오지 않았다.
    • 나는 무대에 오르자 얼어서 외웠던 대사를 모두 잊어버렸다.
    • 가: 엄마, 나 면접 갔다 올게.
    • 나: 그래, 면접관 앞이라고 너무 얼지 말고 자신감 있게 해!
    • 문형 : 1이 얼다
관용구 · 속담(2)
어간 (語幹)
발음 : [어ː간 ]
명사 名詞
ごかん【語幹】
동사나 형용사가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
動詞や形容詞が活用する時に変化しない部分。
  • 어간과 어미.
  • 어간을 밝히다.
  • 어간을 찾다.
  • 어간에 붙다.
  • 학생들은 동사의 활용 목록을 보고 어간과 어미를 분석했다.
  • '입다'는 '입고', '입으니, '입어서'처럼 활용할 수 있는데 이때 어간은 '입-'이다.
  • ※ '먹다', '먹으며', '먹고'에서 '먹-'이 어간이다.
  • 참고어 어근, 어미²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