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버릇하다
なれる【慣れる】。つけ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습관적으로 반복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習慣的に繰り返す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매운 음식도 자꾸 먹어 버릇하면 잘 먹게 된다.
  • 자꾸 인상을 써 버릇하면 미간에 주름이 쉽게 생긴다.
  • 우리 아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같은 침대에 재워 버릇해서 아직도 함께 자려고 해.
  • 가: 숙제는 내일 할게요.
  • 나: 그렇게 자꾸 미뤄 버릇하면 못써. 하고 자.
-어 버리다
てしまう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 완전히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が完全に終わった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나는 지하철에서 졸다가 그만 내릴 역을 지나쳐 버렸다.
  • 승규는 배가 고파 동생 몫까지 다 먹어 버렸다.
  • 나는 민준이에게 너무 화가 나서 그가 준 편지를 찢어 버렸다.
  • 가: 책상 위에 있는 쓰레기 같은 것들은 좀 치워 버려라.
  • 나: 아냐, 다 필요한 것들이니까 버리면 안 돼.
-어 보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 뒤에 붙여 쓴다.
  1. 1. てみ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試しにや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찌개가 간이 알맞은지 먹어 보았다.
    • 손님, 그 원피스가 마음에 드시면 한번 입어 보세요.
    • 건강식품이나 약은 꼼꼼히 따져 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 가: 와. 이 그림 네가 그린 거야?
    • 나: 응. 그냥 심심풀이로 그려 본 거야.
  2. 2. たことがあ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이전에 경험했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以前に経験した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너 학교에서 귀신 나온다는 이야기 들어 봤어?
    • 나는 셰익스피어를 좋아해 그의 책은 다 읽어 봤다.
    • 크게 다쳐 본 사람이라면 건강의 소중함을 잘 알고 있기 마련이다.
    • 가: 새로 나온 라면 먹어 봤어?
    • 나: 응. 맛있다고 소문이 나서 사 먹었는데 생각보다 별로였어.
-어 보이다
てみえる。くみえる。にみえる。そうだ
겉으로 볼 때 앞의 말이 나타내는 것처럼 느껴지거나 추측됨을 나타내는 표현.
見かけでは前の言葉の表す状態のように見えたり思われ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또래보다 다섯 살은 어려 보여서 가끔 오해를 샀다.
  • 민준이는 얌전하고 말이 적어 또래보다 어른스러워 보였다.
  • 부러울 것이 없어 보이는 유민이도 실제로는 외로운 아이였다.
  • 가: 이 케이크가 정말 맛있어 보인다.
  • 나: 그렇지? 지금 방금 구운 거라서 진짜 맛있을 거야.
-어 봤자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이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ても。たところで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진다 해도 어차피 소용없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が実現したとしてもどうせ無駄だ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이런 옛날 기술은 배워 봤자 쓸 데가 없다.
  • 지민이가 예뻐 봤자 그 언니만큼은 아니지.
  • 기다려 봤자 어차피 그 사람은 너한테 다시 안 와.
  • 백날 책으로 읽어 봤자 실제로 경험해 보지 않으면 모르는 것이다.
  • 가: 자식은 키워 봤자 결혼해 버리면 소용이 없어.
  • 나: 맞아. 역시 배우자가 좋은 거야.
어버이
발음 : [어버이 ]
명사 名詞
おや【親】。ふぼ【父母】。りょうしん【両親】
아버지와 어머니.
父親と母親。
  • 어버이의 은혜.
  • 어버이를 공경하다.
  • 어버이를 모시다.
  • 어버이를 받들다.
  • 어버이를 섬기다.
  • 승규는 그의 선생님을 어버이로 모시고 항상 공경하는 마음을 가졌다.
  • 텔레비전 방송에서 어떤 아저씨가 늙으신 어버이를 평생 극진히 받들며 사는 모습이 방영되었다.
  • 가: 이번 행사에서 부모님의 날은 왜 정한 거야?
  • 나: 언제나 우리를 보살피고 사랑해 주시는 어버이의 은혜를 잊지 말자는 취지겠지.
어버이날
발음 : [어버이날 ]
명사 名詞
オボイナル。りょうしんのひ【両親の日】。ふぼのひ【父母の日】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과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 정한 기념일. 5월 8일이다. 부모님께 빨간 카네이션을 달아 드린다.
父親と母親の愛情と恩恵に感謝の気持ちを表すために定めた記念日。5月8日。両親の胸元に赤いカーネーションのコサージュをつけてあげる。
어법 (語法)
발음 : [어ː뻡 ]
활용 : 어법이[어ː뻐비], 어법도[어ː뻡또], 어법만[어ː뻠만]
명사 名詞
ごほう【語法】
말의 일정한 법칙.
言葉遣いの一定の法則。
  • 한국어의 어법.
  • 어법을 배우다.
  • 어법에 따르다.
  • 어법에 맞다.
  • 어법에 어긋나다.
  • 작년에 국립 국어원에서는 삼백여 개의 용어를 어법에 맞게 다듬는 작업을 하였다.
  • 국어 선생님은 내가 일기에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을 쓰면 맞는 표현으로 고쳐 주셨다.
  • 가: 엄마, 동생이 어린데도 어떻게 말을 어법에 맞게 잘하는 거죠?
  • 나: 모국어니까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어법에 익숙해져서 그런 거야.
어벙하다
발음 : [어벙하다 ]
활용 : 어벙한[어벙한], 어벙하여[어벙하여](어벙해[어벙해]), 어벙하니[어벙하니], 어벙합니다[어벙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まぬけだ【間抜けだ】。とんまだ
야무지지 못하고 조금 멍청하다.
考えや行動に抜かりがあってややばかげている。
  • 어벙하게 굴다.
  • 어벙하게 보이다.
  • 어벙하게 처리하다.
  • 어벙하게 행동하다.
  • 사람이 어벙하다.
  • See More
  • 길을 잃은 듯이 보이는 사내는 어벙한 얼굴로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 동생은 어벙해서 밖에 나가면 만날 손해를 보았다.
  • 가: 값싼 물건을 장사꾼한테 속아서 비싸게 주고 샀어.
  • 나: 그렇게 어벙하니까 사기를 당하지.
  • 문형 : 1이 어벙하다
어부 (漁夫/漁父)
발음 : [어부 ]
명사 名詞
りょうし・ぎょし【漁師】。ぎょふ【漁夫】
물고기를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漁業を職業とする人。
  • 어부 생활.
  • 어부 출신.
  • 선원과 어부.
  • 어부가 귀항하다.
  • 어부가 되다.
  • See More
  • 아버지는 평생을 고기 잡는 어부로 사셨다.
  • 어부들이 고기잡이 배에서 그물을 손질하고 있다.
  • 가: 파도가 너무 거세서 낚시는 힘들겠다.
  • 나: 그러게. 저기 어부들도 고기잡이배를 묶고 있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