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버릇하다
-어 버리다
-어 보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1. てみる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표현.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試しにや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지수는 찌개가 간이 알맞은지 먹어 보았다.
- 손님, 그 원피스가 마음에 드시면 한번 입어 보세요.
- 건강식품이나 약은 꼼꼼히 따져 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 가: 와. 이 그림 네가 그린 거야?
- 나: 응. 그냥 심심풀이로 그려 본 거야.
- 2. たことがある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이전에 경험했음을 나타내는 표현.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以前に経験した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너 학교에서 귀신 나온다는 이야기 들어 봤어?
- 나는 셰익스피어를 좋아해 그의 책은 다 읽어 봤다.
- 크게 다쳐 본 사람이라면 건강의 소중함을 잘 알고 있기 마련이다.
- 가: 새로 나온 라면 먹어 봤어?
- 나: 응. 맛있다고 소문이 나서 사 먹었는데 생각보다 별로였어.
-어 보이다
-어 봤자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이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버이
발음 : [어버이 ]
어버이날
발음 : [어버이날 ]
명사 名詞
オボイナル。りょうしんのひ【両親の日】。ふぼのひ【父母の日】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과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 정한 기념일. 5월 8일이다. 부모님께 빨간 카네이션을 달아 드린다.
父親と母親の愛情と恩恵に感謝の気持ちを表すために定めた記念日。5月8日。両親の胸元に赤いカーネーションのコサージュをつけてあげる。
어법 (語法)
발음 : [어ː뻡 ]
활용 : 어법이[어ː뻐비], 어법도[어ː뻡또], 어법만[어ː뻠만]
명사 名詞
ごほう【語法】
말의 일정한 법칙.
言葉遣いの一定の法則。
- 한국어의 어법.
- 어법을 배우다.
- 어법에 따르다.
- 어법에 맞다.
- 어법에 어긋나다.
- 작년에 국립 국어원에서는 삼백여 개의 용어를 어법에 맞게 다듬는 작업을 하였다.
- 국어 선생님은 내가 일기에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을 쓰면 맞는 표현으로 고쳐 주셨다.
- 가: 엄마, 동생이 어린데도 어떻게 말을 어법에 맞게 잘하는 거죠?
- 나: 모국어니까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어법에 익숙해져서 그런 거야.
- 참고어 문법
어벙하다
발음 : [어벙하다 ]
활용 : 어벙한[어벙한], 어벙하여[어벙하여](어벙해[어벙해]), 어벙하니[어벙하니], 어벙합니다[어벙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まぬけだ【間抜けだ】。とんまだ
야무지지 못하고 조금 멍청하다.
考えや行動に抜かりがあってややばかげている。
- 어벙하게 굴다.
- 어벙하게 보이다.
- 어벙하게 처리하다.
- 어벙하게 행동하다.
- 사람이 어벙하다. See More
- 길을 잃은 듯이 보이는 사내는 어벙한 얼굴로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 동생은 어벙해서 밖에 나가면 만날 손해를 보았다.
- 가: 값싼 물건을 장사꾼한테 속아서 비싸게 주고 샀어.
- 나: 그렇게 어벙하니까 사기를 당하지.
- 문형 : 1이 어벙하다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서인지, 어선, 어선단, 어설프다, 어설피, 어수룩하다, 어수선하다, 어순, 어스름, 어스름하다 (0) | 2020.02.06 |
---|---|
-어 빠지다, -어서, -어서는 안 되다, -어서야, 어부지리, 어불성설, 어사, 어색하다, 어서, 어서어서 (0) | 2020.02.06 |
어물어물, 어물어물하다, 어물쩍, 어물쩍거리다, 어물쩍대다, 어물쩍어물쩍, 어물쩍어물쩍하다, 어물쩍이다, 어물쩍하다, 어미¹, 어미², 어민 (0) | 2020.02.06 |
어머나, 어머니, 어머님, 어머머, 어멈, 어명, 어묵, 어문학, 어물거리다, 어물대다 (0) | 2020.02.06 |
어림, 어림없다, 어림잡다, 어림짐작, 어림짐작하다, 어림하다, 어릿광대, 어마어마하다, 어말 어미, 어머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