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막음
발음 : [임마금 ]
명사 名詞
くちどめ【口止め】。くちふさぎ【口塞ぎ】。くちがため【口固め】
여러 수단을 써서 비밀이나 자기에게 불리한 일을 말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
様々な手段を講じて、自分に不利なことや秘密などをいわないようにすること。
- 입막음 명령.
- 입막음 조치.
- 입막음의 대가.
- 입막음이 필요하다.
- 입막음을 부탁하다. See More
- 김 부장은 직원에게 뇌물을 주면서 입막음을 부탁했다.
- 승규는 회사 비리에 대한 입막음의 대가로 엄청난 돈을 받았다.
- 대장은 작전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부하들에게 입막음을 단단히 해 놓았다.
입말
발음 : [임말 ]
명사 名詞
- 1. はなしことば【話し言葉】。こうご【口語】。こうとうご【口頭語】일상적인 대화에서 사람들이 쓰는 말.日常会話などに用いられる言葉遣い。
- 입말을 쓰다.
- 입말로 말하다.
- 입말로 쓰다.
- 입말로 표현하다.
- 입말에 가깝다.
- 우리가 입말로 말할 때는 조사를 많이 생략한다.
- 설명문과 논설문에서는 입말보다는 글말이 많이 쓰인다.
- 드라마나 영화의 대본에서 대사는 비록 글로 쓰여 있지만 입말에 가깝다.
- 김 작가는 현장감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입말로 작품을 쓴다.
- 2. はなしことば【話し言葉】。こうご【口語】。おんせいげんご【音声言語】음성으로 나타내는 언어.音声によって伝えられる言語。
- 입말 연구.
- 입말의 사용.
- 입말과 글말.
- 입말로 소통하다.
- 학생들이 녹음한 입말을 듣고 있다.
- 입말은 글말보다 보존하기 어렵다.
- 가: 입말과 글말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 나: 사람들이 의사소통에 입말을 많이 사용하니까 입말이 더 중요한 것 같아.
입맛 ★★
발음 : [임맏 ]
활용 : 입맛이[임마시], 입맛도[임맏또], 입맛만[임만만]
명사 名詞
- 1. くちあたり【口当たり】。しょくよく【食欲】음식을 먹을 때 입에서 느끼는 맛. 또는 음식을 먹고 싶은 욕구.物を食べる時、口で感じる味。または、食べたくなる欲求。
- 입맛이 나다.
- 입맛이 당기다.
- 입맛이 돌다.
- 입맛이 떨어지다.
- 입맛이 변하다. See More
- 이 찌개는 짜지도 맵지도 않아 제 입맛에 잘 맞아요.
- 감기를 심하게 앓으면서 입맛을 잃었는지 배도 고프지 않고, 먹고 싶은 것도 없어요.
- 가: 식사 전에 단 것을 그렇게 많이 먹으면 입맛만 떨어져.
- 나: 너무 배가 고파서 식사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없는걸.
- 2. このみ【好み】(비유적으로) 어떤 일이나 물건에 흥미를 느껴 즐기고 싶어 하거나 가지고 싶어 하는 마음.(比喩的に)ある物事に興味を感じて、楽しみたがるか持ちたがる気持ち。
- 입맛이 까다롭다.
- 입맛이 당기다.
- 입맛을 붙이다.
- 입맛에 맞다.
- 이곳은 상영하는 영화가 많아 입맛에 맞는 영화를 고를 수 있어요.
- 내 친구는 입맛이 까다로워 그 어떤 집들이 선물도 마음에 안 들어 할 것 같다.
- 가: 새로 시작한 일은 적성에 잘 맞아요?
- 나: 아직이요. 하지만 입맛을 붙여 보기로 했으니 곧 좋아지겠죠.
관용구 · 속담(4)
입맞춤
발음 : [임맏춤 ]
명사 名詞
- 1. くちづけ【口付け】。せっぷん【接吻】。キス사랑의 표현으로 상대의 입에 자기의 입을 대어 맞춤.愛の表現として、相手の唇に自分の唇をつけること。
- 연인의 입맞춤.
- 감미로운 입맞춤.
- 달콤한 입맞춤.
- 뜨거운 입맞춤.
- 진한 입맞춤. See More
- 왕자의 입맞춤에 공주는 긴 잠에서 깨어났다.
- 사랑하는 애인과 진한 입맞춤을 나누고 헤어졌다.
- 가: 양쪽 볼이 왜 그렇게 빨개? 애인이랑 입맞춤이라도 한 거야?
- 나: 아니야. 밖이 너무 추워서 그런 거야.
- 유의어 키스
- 2. くちづけ【口付け】。せっぷん【接吻】。キス서양에서, 인사를 할 때나 존경을 표시할 때 상대의 손등이나 빰에 입을 맞춤.西洋で、挨拶をする時や尊敬を表す時に相手の手の甲や頬に唇をつけること。
- 아버지의 입맞춤.
- 작별의 입맞춤.
- 가벼운 입맞춤.
- 작은 입맞춤.
- 짧은 입맞춤. See More
- 제자가 스승의 손등에 한 짧은 입맞춤에서 진심이 느껴졌다.
- 딸을 시집 보내는 아버지의 입맞춤에 하객들은 참았던 눈물을 쏟아 냈다.
- 가: 스페인에서는 처음 보는 사람과 가벼운 입맞춤으로 인사를 나누더라.
- 나: 다른 나라에서도 그렇게 인사하는 경우가 많아.
- 유의어 키스
입맞춤하다
발음 : [임맏춤하다 ]
동사 動詞
- 1. くちづけする【口付けする】。せっぷんする【接吻する】。キスする사랑의 표현으로 상대의 입에 자기의 입을 대어 맞추다.愛の表現として、相手の唇に自分の唇をつける。
- 입맞춤하는 장면.
- 입술에 입맞춤하다.
- 볼에 입맞춤하다.
- 껴안고 입맞춤하다.
- 뜨겁게 입맞춤하다.
- 아내는 미국으로 떠나는 남편의 볼에 입맞춤하였다.
- 민준이는 여자 친구의 탐스러운 입술에 입맞춤하고 싶었다.
- 가: 뭘 그렇게 열심히 보고 있어?
- 나: 연인들이 다정하게 입맞춤하는 장면인데 정말 아름다워.
- 문형 : 1이 2에/에게 입맞춤하다, 1이 (2와) 입맞춤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 유의어 키스하다
- 2. くちづけする【口付けする】。せっぷんする【接吻する】。キスする서양에서, 인사를 할 때나 존경을 표시할 때 상대의 손등이나 빰에 입을 맞추다.西洋で、挨拶をする時や尊敬を表す時に相手の手の甲や頬に唇をつける。
- 빰에 입맞춤하다.
- 손등에 입맞춤하다.
- 아이에게 입맞춤하다.
- 친구와 입맞춤하다.
- 가볍게 입맞춤하다. See More
- 신사는 예의를 갖추어 예쁜 아가씨의 손등에 입맞춤했다.
- 승규는 오랜만에 보는 조카가 반가워서 빰에 입맞춤하였다.
- 가: 민준아, 아까 입맞춤하면서 헤어진 사람 누구야?
- 나: 응. 새로 사귄 외국인 친구야.
- 문형 : 1이 2에/에게 입맞춤하다, 1이 (2와) 입맞춤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 유의어 키스하다
입매
발음 : [임매 ]
명사 名詞
くちつき【口付き】。くちもと【口元】
입의 생긴 모양.
口のあたりのようす。
- 고운 입매.
- 단정한 입매.
- 입매가 야무지다.
- 입매가 일그러지다.
- 입매가 자연스럽다. See More
- 지수는 도톰한 입술과 고운 입매를 가지고 있다.
- 평소 싫어하던 승규를 만난 민준이의 입매가 살짝 일그러졌다.
- 증명사진을 찍을 때는 입매를 자연스럽게 해야 사진도 잘 나온다.
- 내가 준 선물을 받고 여자 친구는 입매를 살짝 올리며 미소를 지었다.
- 가: 새로 태어난 너희 조카는 누구를 닮았니?
- 나: 입매가 야무지게 생긴 것이 꼭 오빠를 닮았어.
입문 (入門)
발음 : [임문 ]
명사 名詞
- 1. にゅうもん【入門】무엇을 배우는 과정에 처음 들어섬. 또는 그 과정.何かを習う課程に初めて入ること。また、その課程。
- 방송 입문.
- 정계 입문.
- 정치 입문.
- 입문을 밝히다.
- 입문을 선언하다.
- 나는 골프 입문 오 년 만에 처음 우승을 했다.
- 지수는 고등학교 졸업 후 연예계 입문을 결심했다.
- 가: 갑자기 정치 입문이라니 너무 뜻밖이네요.
- 나: 오래 전부터 생각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 2. にゅうもん【入門】어떤 학문의 길에 처음 들어섬. 또는 그때 처음 배우는 과정.ある学問を学びはじめること。また、その時に初めて学ぶ課程。
- 국어학 입문.
- 언어학 입문.
- 철학 입문.
- 입문 교과서.
- 입문 과정.
- 대학교 신입생들을 위한 사회학 입문 강의가 개설되었다.
- 이 책은 물리학 입문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쉽게 써졌다.
- 가: 저 같은 초보자가 들을 수 있는 경제학 수업도 있나요?
- 나: 네, 다음 달부터 경제 입문 강의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 ※ 주로 학문을 뜻하는 명사 뒤에 쓴다.
입문하다 (入門 하다)
발음 : [임문하다 ]
동사 動詞
にゅうもんする【入門する】
무엇을 배우는 과정에 처음 들어서다.
何かを習う課程に初めて入る。
- 교직에 입문하다.
- 성악에 입문하다.
- 연기에 입문하다.
- 정치에 입문하다.
- 프로에 입문하다.
- 최 의원은 십칠 대 국회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 민준이는 언론계에 입문한 지 일 년도 안 되는 신입 기자이다.
- 가: 특별히 연극에 입문한 계기가 있으십니까?
- 나: 학창 시절에 선생님의 권유로 연극반 활동을 했는데 그때 재미를 느꼈어요.
- 문형 : 1이 2에 입문하다
입바르다
발음 : [입빠르다 ]
활용 : 입바른[입빠른], 입발라[입빨라], 입바르니[입빠르니], 입바릅니다[입빠름니다]
형용사 形容詞
바른말을 하는 데 막힘이 없다.
遠慮せずに正しいことを言う。
- 입바른 말.
- 입바른 소리.
- 김 의원은 토론에서 입바른 말만 골라서 하는 걸로 유명하다.
- 사내는 아무 때나 입바른 소리를 해서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들기도 한다.
- 가: 내가 틀린 말을 한 것도 아닌데 왜 눈치를 봐야 합니까?
- 나: 아무리 입바른 소리라도 자리를 봐 가면서 해야지.
- ※ 주로 '입바른'으로 쓴다.
- 문형 : 1이 입바르다
입방아
발음 : [입빵아 ]
명사 名詞
うわさ【噂】。わだい【話題】
어떤 사실을 이야깃거리로 삼아 이러쿵저러쿵 쓸데없이 입을 놀리는 일.
ある事実をねたにしてあれこれ無駄口を叩くこと。
- 입방아의 대상.
- 입방아가 심하다.
- 입방아를 멈추다.
- 입방아에 오르내리다.
- 입방아에 오르다.
-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의 사생활이 사람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 삼촌은 남들 앞에 나서기를 좋아해서 쓸데없이 입방아의 대상이 됐다.
- 가: 자네 글쎄 오 대리가 회사를 옮긴다는 거 알고 있었나?
- 나: 쓸데없는 일로 입방아 놀리지 말고 일이나 해.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입방아(를) 찧다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병, 입북, 입북하다, 입사, 입사하다, 입산, 입산하다, 입상, 입상자, 입상하다 (0) | 2020.02.06 |
---|---|
입버릇, 입법, 입법권, 입법 기관, 입법부, 입법안, 입법하다, 입법화, 입법화되다, 입법화하다 (0) | 2020.02.06 |
입당, 입당하다, 입대, 입대하다, 입덧, 입동, 입력, 입력되다, 입력하다, 입마개 (0) | 2020.02.06 |
입금, 입금되다, 입금액, 입금자, 입금하다, 입김, 입다, 입단, 입단하다, 입담 (0) | 2020.02.06 |
입건하다, 입고, 입고되다, 입고하다, 입관, 입관되다, 입관하다, 입구, 입국, 입국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