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 (中立)
발음 : [중닙 ]
활용 : 중립이[중니비], 중립도[중닙또], 중립만[중님만]
명사 名詞
ちゅうりつ【中立】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편들지 않는 공평하고 올바른 태도.
対立するどちらの側にも偏ったり味方したりしない、公平で正しい態度。
  • 검찰의 중립.
  • 정치적 중립.
  • 중립 단체.
  • 중립 원칙.
  • 중립 의지.
  • See More
  • 나는 싸움이 난 두 자매 사이에서 철저하게 중립을 지켰다.
  • 우리는 회사에서 일을 할 때는 정치적으로 중립을 지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가: 우리나라가 결국 중립을 선언했대.
  • 나: 잘한 것 같아. 다른 나라끼리 싸우는데 괜히 관여해서 좋을 게 뭐 있겠어.
중립국 (中立國)
발음 : [중닙꾹 ]
활용 : 중립국이[중닙꾸기], 중립국도[중닙꾹또], 중립국만[중닙꿍만]
명사 名詞
ちゅうりつこく【中立国】。きょくがいちゅうりつこく【局外中立国】
나라 사이의 다툼이나 전쟁에서 중립을 지키는 나라.
対立している国または交戦中の国双方に対して中立を守る国。
  • 중립국 노선.
  • 중립국을 고르다.
  • 중립국을 고수하다.
  • 중립국을 선언하다.
  • 중립국에 보내다.
  • See More
  • 각국의 많은 정치인들이 전쟁에 회의를 느끼고 중립국으로 망명했다.
  • 그 나라는 전 세계가 전쟁에 휘말릴 때도 중립국을 고수하며 국민들을 보호했다.
  • 가: 어제 뉴스에서 우리가 중립국을 선언했다는 보도가 나오더라.
  • 나: 응, 나도 봤어. 참 현명한 선택인 것 같아. 괜히 다른 나라들 간의 갈등에 관여해서 좋을 게 없잖아.
중립성 (中立性)
발음 : [중닙썽 ]
명사 名詞
ちゅうりつせい【中立性】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편들지 않는 공평하고 올바른 태도를 취하는 성질.
対立するどちらの側にも偏ったり味方したりしない、公平で正しい態度をとる性質。
  • 정부의 중립성.
  • 정치적 중립성.
  • 중립성 확보.
  • 중립성이 보장되다.
  • 중립성이 유지되다.
  • See More
  • 우리나라는 어지러운 국제 관계 속에서 중립성 확보에 나섰다.
  • 감찰 기관은 어떤 세력도 관여할 수 없게 중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 가: 이번 사건을 두고 검찰 쪽에서는 중립성을 특히 강조하더라.
  • 나: 그래야겠지. 정치적으로 휘둘려서는 안 되잖아.
중립적1 (中立的)
발음 : [중닙쩍 ]
명사 名詞
ちゅうりつてき【中立的】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편들지 않는 공평하고 올바른 태도를 취하는 것.
対立するどちらの側にも偏ったり味方したりしない、公平で正しい態度をとること。
  • 중립적인 개념.
  • 중립적인 기구.
  • 중립적인 나라.
  • 중립적인 답변.
  • 중립적인 말.
  • See More
  • 언론인은 기사를 쓸 때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그 나라는 끝까지 중립적인 성격을 버리지 않으며 전쟁에 휘말리지 않았다.
  • 가: 사법 기관은 중립적인 기구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해.
  • 나: 맞아. 하지만 요즘은 정치 세력과 결탁하는 모습이 보여서 참 안타까워.
중립적2 (中立的)
발음 : [중닙쩍 ]
관형사 冠形詞
ちゅうりつてき【中立的】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편들지 않는 공평하고 올바른 태도를 취하는.
対立するどちらの側にも偏ったり味方したりしない、公平で正しい態度をとるさま。
  • 중립적 가치.
  • 중립적 구성.
  • 중립적 매체.
  • 중립적 성향.
  • 중립적 역할.
  • See More
  • 정치적으로 중립적 성향을 띠는 신문사를 만드는 것이 내 꿈이다.
  • 중립적 입장에서 볼 때 이번 일은 정치인들의 권력 다툼밖에는 되지 않는다.
  • 가: 과학은 정말 가치 중립적 학문인 것 같아.
  • 나: 응, 맞아.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하는 것 없이 있는 사실 그대로를 보여 주지.
중매 (仲媒)
발음 : [중매 ]
명사 名詞
ばいしゃく【媒酌・媒妁】。なかだち【仲立ち】。みあい【見合い】
결혼이 이루어지도록 남녀를 소개하는 일.
結婚を目的に男女を紹介すること。
  • 중매가 들어오다.
  • 중매를 부탁하다.
  • 중매를 서다.
  • 중매를 하다.
  • 중매로 만나다.
  • 좋은 조건의 중매가 들어왔지만 나는 내 남자 친구와 결혼할 계획이다.
  • 결혼을 할 나이가 되니 여기저기에서 중매를 서겠다는 사람들이 나왔다.
  • 가: 언니는 형부랑 어떻게 만나서 결혼하게 된 거야? 연애를 오랫동안 했었나?
  • 나: 아니. 나는 이모가 서 주신 중매로 만나서 결혼했어.
관용구 · 속담(1)
중매결혼 (仲媒結婚)
발음 : [중매결혼 ]
명사 名詞
みあいけっこん【見合い結婚】
중매로 만나서 이루어진 결혼.
見合いによって知り合った男女の結婚。
  • 중매결혼을 선호하다.
  • 중매결혼을 주선하다.
  • 중매결혼을 추진하다.
  • 중매결혼을 추천하다.
  • 중매결혼을 하다.
  • 과거에는 어른들의 소개를 통해 만나서 결혼하는 중매결혼이 일반적이었다.
  • 결혼 할 나이가 된 언니는 중매쟁이의 주선으로 좋은 남자를 만나 중매결혼을 하였다.
  • 가: 나는 절대 중매결혼은 하지 않을 거야.
  • 나: 너는 자연스럽게 만나서 연애하다가 결혼하는 것이 더 좋나 보구나.
중매쟁이 (仲媒 쟁이)
발음 : [중매쟁이 ]
명사 名詞
なこうど【仲人】。ばいしゃく【媒酌】。ばいしゃくにん【媒酌人】
(낮잡아 이르는 말로) 결혼이 이루어지도록 남녀를 소개하는 사람.
結婚の仲立ちのために男女を紹介する人を卑しめていう語。
  • 중매쟁이의 말.
  • 중매쟁이의 소개.
  • 중매쟁이의 주선.
  • 중매쟁이가 찾아오다.
  • 중매쟁이를 보내다.
  • See More
  • 나는 만나본 상대는 어땠냐는 중매쟁이의 질문에 대답을 피했다.
  • 어머니는 중매쟁이에게 좋은 신붓감을 알아봐 달라고 부탁을 하셨다.
  • 가: 얘야, 너도 이제 나이가 많은데 결혼해야지. 중매쟁이 말로는 이 아가씨가 괜찮다고 하더구나.
  • 나: 어머니, 저는 아직 결혼하기에는 준비가 너무 안 되어 있어요.
중매하다 (仲媒 하다)
발음 : [중매하다 ]
동사 動詞
なかだちをする【仲立ちをする】。ばいしゃくする【媒酌する】
결혼이 이루어지도록 남녀를 소개하다.
結婚の仲立ちのために男女を紹介する。
  • 중매하는 사람.
  • 남녀를 중매하다.
  • 둘을 중매하다.
  • 친구에게 중매하다.
  • 신중하게 중매하다.
  • 나는 결혼할 나이가 되면서 서로 잘 어울리는 두 남녀를 중매했다.
  • 나와 언니는 친동생의 결혼 상대를 찾는 일이기에 다른 때보다 더 신중하게 중매했다.
  • 가: 네가 아는 사람 중에 좋은 남자들 여럿 있지 않니? 친구들에게 중매할 생각 좀 해 봐.
  • 나: 그러게. 내가 그 생각을 못했네. 한번 물어 볼게.
  • 문형 : 1이 2를 중매하다, 1이 2에/에게 3을 중매하다
  • 유의어 중신하다
중머리
발음 : [중ː머리 ]
명사 名詞
  1. 1. ぼうずあたま【坊主頭】。まるぼうず【丸坊主】
    빡빡 깎은 중의 머리. 또는 그런 머리의 중.
    髪を短く、丸刈りにした頭。また、その頭をした僧侶。
    • 하얀 중머리.
    • 중머리가 보이다.
    • 중머리가 지나가다.
    • 중머리를 하다.
    • 중머리로 깎다.
    • 동자승들은 하얀 중머리를 하고서는 지주 스님 뒤를 따라 뛰어갔다.
    • 세상만사가 싫다던 그는 결국 중머리로 깎고는 절로 들어가서 중이 되었다.
    • 가: 우리 이대로 산에서 굶어 죽는 것 아닐까?
    • 나: 어! 저기 좀 봐. 방금 중머리가 지나갔어! 이 근처에 분명히 절이 있을 거야. 저 스님을 따라 가 보자.
  2. 2. いがぐりあたま【毬栗頭】。ぼうずあたま【坊主頭】。まるぼうず【丸坊主】
    중의 머리처럼 빡빡 깎은 머리. 또는 그렇게 머리를 깎은 사람.
    僧侶の頭のように丸刈りにした頭。また、その頭をした人。
    • 중머리의 학생.
    • 중머리를 하다.
    • 중머리로 깎다.
    • 중머리로 만들다.
    • 부모님 세대만 해도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은 모두 중머리로 머리를 깎아야 했다.
    • 교복을 입은 중머리의 학생들이 대학교에 단체로 견학을 와서 설명을 듣고 있었다.
    • 가: 나는 정말 이 중머리에서 벗어났으면 소원이 없겠어! 이게 뭐야 정말.
    • 나: 그렇지만 학교 교칙이니 어쩔 수 없지 뭐. 졸업하고 나서 마음껏 길러.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