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자아 (超自我)
발음 : [초자아 ]
명사 名詞
ちょうじが【超自我】。スーパー エゴ
정신 분석학에서, 자아의 본능적 욕구를 누르고 도덕과 양심에 따라 행동하게 하는 정신 요소.
精神分析学で、自我の本能的欲求を抑えて道徳と良心に従って行動するようにしてくれる精神要素。
  • 강력한 초자아.
  • 초자아의 결핍.
  • 초자아의 작용.
  • 초자아와의 싸움.
  • 초자아가 우세하다.
  • See More
  • 사람의 초자아는 도덕적 양심과 비슷하다.
  • 초자아는 인간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인으로 양심에 따라 금지, 비난,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 부모의 양육 과정에서 형성되는 초자아는 가족과 사회의 전통을 습득하여 본연의 성적, 공격적 충동을 통제한다.
  • 가: 난 초자아가 너무 강해서인지 모든 걸 완벽한 도덕적 잣대로 판단해서 결정하곤 해.
  • 나: 그럼 너무 답답하고 힘들지 않니? 조금은 마음 편히 네 감정에 귀 기울여 봐.
초자연 (超自然)
발음 : [초자연 ]
명사 名詞
ちょうしぜん【超自然】
자연 과학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뛰어나고 신비한 존재.
自然科学の法則では説明のつかない優れていて神秘的な存在。
  • 초자연 현상.
  • 초자연의 세계.
  • 초자연의 일.
  • 초자연의 존재.
  • 초자연의 힘.
  • 과학자들은 창조론자들이 믿는 초자연 현상에 대해 터무니없다며 비판하였다.
  • 신화에 나오는 초자연을 합리적인 이성에 맞추어 해석하면 허무맹랑한 것처럼 느껴진다.
  • 가: 넌 귀신이나 천사 같은 초자연 존재를 믿니?
  • 나: 그럼. 난 천국이나 지옥 같은 초자연 세계도 있다고 확신해.
초자연적1 (超自然的)
발음 : [초자연적 ]
명사 名詞
ちょうしぜんてき【超自然的】
자연 과학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뛰어나고 신비한 존재나 힘에 의한 것.
自然科学の法則では説明のつかない優れていて神秘的な存在や力によること。
  • 초자연적인 사건.
  • 초자연적인 존재.
  • 초자연적인 현상.
  • 초자연적인 힘.
  • 초자연적으로 나타나다.
  • 승규는 UFO나 외계인과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가 있다고 믿는다.
  • 연구 팀은 이번 비행기 사고에 대해 초자연적이고 불가사의한 일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 가: 이 조그만 돌에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믿는 건 아니겠지?
  • 나: 무슨 소리! 이건 그냥 돌이 아니라 소원을 들어 주는 돌이라고.
초자연적2 (超自然的)
발음 : [초자연적 ]
관형사 冠形詞
ちょうしぜんてき【超自然的】
자연 과학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뛰어나고 신비한 존재나 힘에 의한.
自然科学の法則では説明のつかない優れていて神秘的な存在や力によるさま。
  • 초자연적 대상.
  • 초자연적 세계.
  • 초자연적 세력.
  • 초자연적 의지.
  • 초자연적 존재.
  • See More
  • 유한한 인간은 종교를 통해 초자연적 존재를 믿고 의지한다.
  • 성경에는 죽은 사람이 살아나고 바다가 갈라지는 많은 초자연적 일들이 적혀 있다.
  • 가: 어제 세계 레슬링 챔피언 무대 봤니?
  • 나: 응, 그 선수는 정말 초자연적 힘을 가진 것 같더라. 도저히 사람이라곤 믿어지지 않았어.
초장1 (初場)
발음 : [초장 ]
명사 名詞
  1. 1. くちあけ【口開け・口明け】。かわきり【皮切り】
    장이 서기 시작한 무렵. 또는 막 서기 시작한 장.
    市が立ってまもないころ。また開店したばかりの商店街。
    • 초장 시간.
    • 초장을 맞추다.
    • 초장부터 붐비다.
    • 초장에 가다.
    • 초장에 들르다.
    • See More
    • 초장부터 붐비기 시작하는 것을 보니 오늘은 장사가 잘 될 것 같다.
    • 대부분의 물건들이 초장에 다 팔리고 오후가 되니 남은 것이 거의 없었다.
    • 가: 내일 장이 서는 날이니까 아침부터 서두르자.
    • 나: 그래. 초장 시간에 맞춰서 들어가자. 지난번에는 너무 늦게 갔더니 물건이 없더라.
  2. 2. さいしょ【最初】。はじめ【初め】。しょっぱな【初っ端】
    일을 시작한 처음.
    物事の始まり。
    • 초장을 고려하다.
    • 초장부터 막히다.
    • 초장에 보이다.
    • 초장에 잡히다.
    • 초장에 질리다.
    • See More
    • 이번 일은 초장부터 막히기 시작하더니 한 달째 일의 진전이 없다.
    • 여럿이서 함께 일하니 초장이지만 벌써 일의 전체적인 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 가: 나 오늘은 더 이상 일 못하겠어. 너무 힘들다.
    • 나: 이봐. 초장부터 이렇게 패기가 없어서 기한 내에 완성이나 할 수 있겠어?
초장2 (醋醬)
발음 : [초장 ]
명사 名詞
  1. 1. すじょうゆ【酢醤油】
    식초를 넣은 간장.
    酢を入れた醤油。
    • 초장을 곁들다.
    • 초장을 담다.
    • 초장을 만들다.
    • 초장을 묻히다.
    • 초장을 찍다.
    • See More
    • 조금 싱거웠던 만두를 초장에 찍어 먹으니 훨씬 맛있었다.
    • 어머니께서는 부침개를 먹을 때 꼭 필요하다며 초장을 챙겨 주셨다.
    • 가: 아가씨, 선반 위에 있는 식초를 간장 종지에 조금 부어 주세요.
    • 나: 언니 초장 만들려고 그러시죠? 네, 그럴게요.
  2. 2. チョゴチュジャン
    식초를 넣은 고추장.
    酢を入れたコチュジャン。
    • 새콤한 초장.
    • 초장이 부족하다.
    • 초장이 필요하다.
    • 초장을 가져오다.
    • 초장을 만들다.
    • See More
    • 봄나물을 새콤한 초장에 무쳐먹으니 입맛이 돌아왔다.
    • 나는 회를 먹을 때 간장보다는 초장에 찍어 먹는 것을 더 좋아한다.
    • 가: 어라? 초장을 가져오는 걸 깜박했네?
    • 나: 어쩐지. 뭔가 허전하다 했더니 음식에 소스가 없었구나.
초저녁 (初 저녁) ★★
발음 : [초저녁 ]
활용 : 초저녁이[초저녀기], 초저녁도[초저녁또], 초저녁만[초저녕만]
명사 名詞
よいのくち【宵の口】。ゆうぐれ【夕暮れ】。ひぐれ【日暮れ】
저녁이 시작되는 때.
夕方の始まり。
  • 초저녁 무렵.
  • 초저녁이 되다.
  • 초저녁이 지나다.
  • 초저녁에 잠이 들다.
  • 아직 초저녁이다.
  • 초저녁의 시골집 굴뚝에서는 밥 짓는 연기가 피어올랐다.
  • 날씨가 워낙 추워서인지 초저녁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거리에 인적이 드물다.
  • 가: 나 어제 피곤했는지 초저녁부터 잠들어 버렸어.
  • 나: 그때부터 오늘 아침까지 잔 거야?
초점 (焦點) ★★
발음 : [초쩜 ]
명사 名詞
  1. 1. しょうてん【焦点】。フォーカス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대상이나 문제점.
    人々の関心が集中される物事や話題。
    • 관심의 초점.
    • 논의의 초점.
    • 논쟁의 초점.
    • 문제의 초점.
    • 변화의 초점.
    • See More
    • 최근 경제 문제가 세계 뉴스의 초점이 되고 있다.
    • 학교는 공부만 잘하는 아이보다는 사람 됨됨이가 갖추어진 아이를 길러내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 가: 유민이는 가끔 엉뚱한 소리를 잘 하지 않니?
    • 나: 응, 얘기 중에 초점에서 벗어나는 말을 잘 하지.
  2. 2. しょうてん【焦点】
    렌즈나 굴곡이 있는 거울 등을 통과한 빛이 한곳으로 모이는 점.
    レンズや球面鏡などを通過した光線が集中する一点。
    • 돋보기의 초점.
    • 렌즈의 초점.
    • 카메라의 초점.
    • 초점을 맞추다.
    • 초점을 흐리게 하다.
    • See More
    • 이 카메라는 초점을 잡는 속도가 빠르다.
    • 망원 렌즈는 초점 거리가 길어서 멀리 있는 물체를 찍을 때 사용한다.
    • 가: 초점이 안 맞았는지 사진이 모두 흐리네.
    • 나: 그래? 내가 카메라를 잘못 만져서 그렇게 됐나 봐.
  3. 3. しょうてん【焦点】
    눈이 대상을 가장 확실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맞추는 점.
    最もはっきり対象が見られるように当てる一点。
    • 초점 없는 눈길.
    • 초점 없는 시선.
    • 초점이 안 맞다.
    • 초점이 없다.
    • 초점이 흐리다.
    • See More
    • 남편은 아직도 술이 덜 깼는지 초점이 없는 눈을 하고 방에서 나왔다.
    • 지수는 갑작스러운 부모님의 교통사고 소식에 잠시 초점을 잃은 눈으로 멍하니 하늘을 바라보았다.
    • 가: 요즘 칠판이 흐리게 보이고 초점이 잘 안 맞아.
    • 나: 눈이 나빠졌나 보다.
초정 (初政)
발음 : [초정 ]
명사 名詞
새로 자리에 오른 임금이나 새로 근무지에 도착한 지방의 관리가 일을 시작하던 일.
新しく即位した王や新しい地域に赴任した地方の官吏が業務を始めること。
  • 초정의 정책.
  • 초정을 시작하다.
  • 초정을 하다.
  • 초정에 바로잡다.
  • 초정에 이루다.
  • See More
  • 그는 비록 나이가 어린 왕이었지만 초정에 대부분의 부정부패를 바로잡았다.
  • 아버지는 새로운 지역에서 초정을 시작하게 되어 며칠 동안은 매우 바쁘셨다.
  • 가: 역사 기록을 보면 초정에 세력을 확실하게 확보한 왕들이 왕위를 오래 유지하는 것 같아.
  • 나: 응. 맞아. 특히 나이가 어린 왕일수록 초반에 왕위를 탄탄하게 하는 데에 노력을 많이 했지.
초조 (焦燥) ★★
발음 : [초조 ]
명사 名詞
しょうそう【焦燥・焦躁】
답답하거나 안타깝거나 걱정이 되어 마음이 조마조마함.
苛立ちやもどかしさ、心配などでいらいらすること。
  • 초조의 눈빛.
  • 초조의 빛.
  • 초조와 기대.
  • 초조와 긴장.
  • 초조에 사로잡히다.
  • 경찰의 수사망이 좁혀질수록 범인은 범행이 드러날까 봐 초조에 사로잡혔다.
  • 수능 성적표가 나오는 날이 되자 학생들은 모두 얼굴에 초조의 빛이 드러났다.
  • 가: 형, 나 이번에도 면접에서 떨어지면 정말 어떡하지? 너무 걱정돼.
  • 나: 그렇게 초조에 사로잡혀 있다가는 될 일도 잘 안 돼. 긴장 풀어.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