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 (學校生活)
발음 : [학꾜생활 ]
명사 名詞
がっこうせいかつ【学校生活】
학생이 학교에서 학생으로서 활동하며 지내는 생활.
児童・生徒・学生が、学校で活動しながら生活すること。
- 성실한 학교생활.
- 착실한 학교생활.
- 학교생활을 게을리하다.
- 학교생활을 잘하다.
- 학교생활을 하다.
- 민준이는 학교생활을 착실히 하는 모범적인 학생이었다.
- 승규는 전학 후 새로운 학교에서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많이 애를 먹었다.
- 가: 지수가 이번에 초등학교에 입학했죠?
- 나: 네, 지수에게도 드디어 학교생활이 시작된 거죠.
학교장 (學校長)
발음 : [학꾜장 ]
명사 名詞
がっこうちょう【学校長】。こうちょう【校長】
초, 중, 고등학교에서 각 학교의 교육과 행정을 책임지고 학교를 대표하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小・中・高等学校で、各学校の教育と運営を総括し、学校を代表する職位。また、その職位にある人。
- 학교장 책임.
- 학교장 직인.
- 학교장의 추천.
- 학교장의 승인.
- 학교장의 의지. See More
- 이 학생들에 대해서는 학교장이 직접 면담을 하기로 하였다.
- 교육청에서는 각 학교장에게 바뀐 제도를 시행할 것을 지시하였다.
- 가: 지수가 이번에 과학 경진 대회에 나간다면서요?
- 나: 네, 학교장의 추천으로 나가게 됐어요.
- 유의어 교장
학구적1 (學究的)
발음 : [학꾸적 ]
명사 名詞
がっきゅうてき【学究的】。アカデミック
학문 연구에 온 정신을 기울여 열중하는 것.
もっぱら学問の研究に携わること。
- 학구적인 분위기.
- 학구적인 태도.
- 학구적인 자세.
- 학구적인 가정.
- 학구적으로 생활하다. See More
- 민준이는 평소에 책을 읽거나 논문을 쓰면서 학구적으로 생활한다.
- 지수는 학구적인 가정에서 자라 다른 아이들과 달리 놀기보다는 책 읽기를 좋아한다.
- 가: 김 교수님께서는 여전히 학구적인 태도를 잃지 않으셨네.
- 나: 맞아, 늘 학문에 대한 열정에 차 있으신 것 같아.
학구적2 (學究的)
발음 : [학꾸적 ]
관형사 冠形詞
がっきゅうてき【学究的】。アカデミック
학문 연구에 온 정신을 기울여 열중하는.
もっぱら学問の研究に携わるさま。
- 학구적 태도.
- 학구적 자세.
- 학구적 논쟁.
- 학구적 문화.
- 학구적 풍토. See More
- 유민이는 한 학기 내내 학구적 태도로 강의에 집중하였다.
- 우리 반 아이들은 학구적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 가: 우리 대학에서도 학구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어야 합니다.
- 나: 맞아요, 학문 연구가 대학의 가장 중요한 임무니까요.
학구파 (學究派)
발음 : [학꾸파 ]
명사 名詞
がっきゅうはだ【学究肌】
학문 연구 또는 공부에 열중하는 사람. 또는 그런 사람들의 집단.
学問の研究や勉強などに携わる人。また、そのような人々の集団。
- 노력하는 학구파.
- 학구파 의식.
- 지수는 학문에 있어 끝없이 노력하는 학구파이다.
- 유민이는 천재라기보다 노력하는 학구파에 가까웠다.
- 민준이는 입학할 때부터 매일 새벽까지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구파였다.
- 가: 승규는 아직도 연구실에 있는 거야?
- 나: 응, 걔는 진짜 학구파야.
학군 (學群)
발음 : [학꾼 ]
명사 名詞
がっく【学区】
입시 제도에 의해 지역별로 나누어 놓은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무리.
入試制度に従い、中学校・高等学校などを地域別に区分したもの。
- 선호하는 학군.
- 학군이 다르다.
- 학군이 같다.
- 학군이 좋다.
- 학군에 속하다.
- 나와 승규의 학교는 같은 도시에 있지만 다른 학군에 속해 있다.
- 학교가 있는 지역의 분위기에 따라 학부모나 학생이 특히 선호하는 학군이 있다.
- 가: 지수는 건너편 아파트로 이사 갔다면서?
- 나: 네, 지수가 곧 고등학교에 가는데 거기가 학군이 좋잖아요.
학군단 (學軍團)
발음 : [학꾼단 ]
명사 名詞
がくせいぐんじきょういくだん【学生軍事教育団】
복무를 지원한 대학생에게 군사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여 졸업 후 장교로 임명하는 군사 교육단.
服務を志願した学生を対象に軍事教育と訓練を行い、卒業後に将校に任官する軍事教育団。
- 학군단 소속.
- 학군단 장교.
- 학군단을 창설하다.
- 학군단에 들어가다.
- 학군단에 입단하다. See More
- 민준이는 졸업 이후 장교가 되기 위해 교내 학군단에 들어갔다.
- 학군단 대원은 교내에서 다른 대원에게 거수 경례를 해야 한다.
- 가: 학군단에 지원하면 뭐가 좋아?
- 나: 우선 대학교 졸업 이후에 군대에 장교로 갈 수 있다는 점이 좋아.
학급 (學級)
발음 : [학끕 ]
활용 : 학급이[하끄비], 학급도[학끕또], 학급만[학끔만]
명사 名詞
くみ【組】。がっきゅう【学級】。クラス
한 교실에서 공부하는 학생의 집단.
同じ教室で勉強する児童・生徒のまとまり。
- 학급 활동.
- 학급 행사.
- 학급 관리.
- 학급 생활.
- 학급 임원. See More
- 지수의 학교는 한 반에 삼십 명씩으로 학급을 편성하였다.
- 우리 학교는 학생 수가 적어서 한 학년에 한 학급밖에 없다.
- 평소에 학급 활동을 열심히 하는 승규가 이번 새 학기에 반장이 되었다.
- 가: 우리 학교는 한 학년에 다섯 학급씩 있어.
- 나: 그래? 그럼 한 반에는 몇 명씩 배정돼?
- 참고어 반²
학급 문고 (學級文庫)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がっきゅうぶんこ【学級文庫】
각 학급에 갖추어 둔 책. 또는 그 책을 모아 둔 곳.
学級内に備えられた本。また、その本が置いてある場所。
- 학급 문고의 책.
- 학급 문고를 운영하다.
- 학급 문고를 관리하다.
- 학급 문고를 읽다.
- 학급 문고에 놓다.
- 우리 반은 학급 문고를 학생들이 직접 관리한다.
- 책을 좋아하는 지수는 학급 문고에 있는 책을 거의 다 읽었다.
- 가: 책은 왜 학교에 가지고 가니?
- 나: 학급 문고에 전시할 책을 집에서 가져오기로 했어요.
학기 (學期) ★★★
발음 : [학끼 ]
명사 名詞
がっき【学期】
한 학년 동안을 학업의 필요에 따라 구분한 기간.
1学年を学業の必要に応じて区分した一定の期間。
- 가을 학기.
- 봄 학기.
- 첫 학기.
- 학기가 끝나다.
- 학기가 시작하다.
- 이번 학기는 논문을 쓰느라고 정신없이 지나갔다.
- 승규는 대학 입학 후 첫 학기에 우수한 학점을 받았다.
- 유학을 온 유민이는 설레는 마음에 얼른 학기가 시작하기만을 기다렸다.
- 가: 지수야, 이번 학기가 마지막 학기니?
- 나: 네. 이번 학기만 끝나면 드디어 졸업이에요.
- ※ 한국에서는 보통 3~8월과 9~2월의 두 학기로 나눈다.
'한국어기초사전 > 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문, 학문적¹, 학문적², 학문하다, 학번, 학벌, 학보, 학보사, 학부, 학부모 (0) | 2020.02.07 |
---|---|
학내, 학년, 학대, 학대하다, 학도, 학력¹, 학력², 학령, 학령기, 학맥 (0) | 2020.02.07 |
-학, 하향, 하현달, 하회탈, 하회하다, 학, 학계, 학과, 학교, 학교 교육 (0) | 2020.02.07 |
하품, 하품하다, 하프, 하필, 하하¹, 하하², 하한, 하한가, 하행, 하행선 (0) | 2020.02.07 |
하차하다, 하찮다, 하천, 하청, 하체, 하층, 하층민, 하치장, 하키, 하편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