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폐되다 (荒廢 되다)
발음 : [황폐되다 /황폐뒈다 ]
동사 動詞
  1. 1. あれはてる【荒れ果てる】
    집, 땅, 숲 등이 거칠어져 못 쓰게 되다.
    家や土地、森などが荒れて駄目になる。
    • 황폐된 건물.
    • 황폐되어 버려지다.
    • 국토가 황폐되다.
    • 토지가 황폐되다.
    • 환경이 황폐되다.
    • 무분별하게 나무를 베어 낸 결과로 산림은 크게 황폐되었다.
    • 휴전 이후 국민들은 전쟁으로 황폐된 국토를 복구하기 위해 힘을 모았다.
    • 가: 이 건물은 오래 전 건물인데도 깨끗하군요.
    • 나: 불이 나서 한 차례 황폐되었다가 대대적으로 수리를 받은 것입니다.
    • 문형 : 1이 황폐되다
  2. 2. あれはてる【荒れ果てる】
    정신이나 생활 등이 거칠어지고 메말라 가게 되다.
    精神や生活などが荒れすさんで、うるおいがなくなる。
    • 황폐된 문화.
    • 황폐되어 타락하다.
    • 교육이 황폐되다.
    • 언어가 황폐되다.
    • 정신이 황폐되다.
    • 살기가 어려워지자 동네의 인심은 날로 황폐되고 서로를 믿지 못했다.
    • 우리 가족은 돈에 쪼들리는 황폐된 생활에 점점 지쳐 갔다.
    • 가: 지난 십 년간 한 번도 쉬지 않고 지금까지 달려오셨군요.
    • 나: 네, 이제는 황폐된 마음을 되살리기 위해 여행을 다녀올 생각입니다.
    • 문형 : 1이 황폐되다
황폐하다 (荒廢 하다)
발음 : [황폐하다 /황페하다 ]
동사 動詞
  1. 1. あらびる【荒びる】
    집, 땅, 숲 등이 거칠어져 못 쓰게 되다.
    家や土地、森などが荒れて駄目になる。
    • 황폐한 논밭.
    • 황폐한 땅.
    • 농토가 황폐하다.
    • 산림이 황폐하다.
    • 토양이 황폐하다.
    • 거리는 오랫동안 인적이 끊기어 황폐하게 버려져 있었다.
    • 비가 그치고 물이 빠지자 황폐하게 변한 논밭이 드러났다.
    • 가: 이 집은 금방이라도 귀신이 나올 것 같아요.
    • 나: 아무도 돌보는 사람이 없어서 황폐하기 이를 데 없군요.
    • 문형 : 1이 황폐하다
  2. 2. あらびる【荒びる】
    정신이나 생활 등이 거칠어지고 메말라 가다.
    精神や生活などが荒れすさんで、うるおいがなくなる。
    • 황폐한 인간성.
    • 마음이 황폐하다.
    • 문명이 황폐하다.
    • 삶이 황폐하다.
    • 정신이 황폐하다.
    •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는 마음이 황폐해서 쉽게 다른 사람들을 믿지 못했다.
    • 아버지가 술에 빠져 지낼 동안 우리 가족의 황폐한 생활이 이어졌다.
    • 가: 어제 또다시 끔찍한 범죄가 발생했다는 뉴스를 들으셨습니까?
    • 나: 네, 우리 사회가 얼마나 황폐했는지 보여 주는 사건이더군요.
    • 문형 : 1이 황폐하다
황폐화 (荒廢化)
발음 : [황폐화 /황페화 ]
명사 名詞
  1. 1. こうはいか【荒廃化】
    집, 땅, 숲 등을 돌보지 않고 그냥 두어 거칠어지고 못 쓰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家や土地、森などを手入れせずに放置していたため、駄目になること。また、そのさま。
    • 황폐화의 이유.
    • 국토의 황폐화.
    • 농촌의 황폐화.
    • 대지의 황폐화.
    • 도시의 황폐화.
    • See More
    • 서울은 인구 집중과 무분별한 개발로 황폐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 최근 지구 환경의 황폐화로 동식물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 가: 풀과 나무는 시들고 동물들은 모두 병들어 죽었습니다.
    • 나: 인간들이 자연환경에 심각한 황폐화를 가져왔기 때문이에요.
  2. 2. こうはいか【荒廃化】
    정신이나 생활 등이 거칠어지고 메마르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精神や生活などが荒れすさんで、うるおいがなくなること。また、そのさま。
    • 황폐화 과정.
    • 감정의 황폐화.
    • 도덕의 황폐화.
    • 이념의 황폐화.
    • 학문의 황폐화.
    • See More
    •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정서적인 단절이 교육의 황폐화를 불러왔다.
    • 지나친 개인주의로 인한 공동체의 황폐화가 사회에 널리 퍼지고 있다.
    • 가: 우리는 물질적으로는 넉넉하지만 정신적으로는 더욱 불행해졌습니다.
    • 나: 맞아요, 돈으로는 마음의 황폐화를 막을 수 없어요.
황폐화되다 (荒廢化 되다)
발음 : [황폐화되다 /황페화뒈다 ]
동사 動詞
  1. 1. こうはいかされる【荒廃化される】
    집, 땅, 숲 등을 돌보지 않고 그냥 두어 거칠어지고 못 쓰게 되다.
    家や土地、森などを手入れせずに放置したため、駄目になる。
    • 황폐화된 도시.
    • 산림이 황폐화되다.
    • 숲이 황폐화되다.
    • 지구가 황폐화되다.
    • 환경이 황폐화되다.
    • 전쟁으로 도시는 모두 불타고 황폐화되었다.
    • 홍수로 황폐화된 농장에서는 수확률이 지난해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 가: 이곳은 산불이 나기 전까지는 무척 아릅답던 곳이었어요.
    • 나: 네, 하지만 지금은 몹시 황폐화되어서 사람의 발길도 끊어졌습니다.
    • 문형 : 1이 황폐화되다
  2. 2. こうはいかされる【荒廃化される】
    정신이나 생활 등이 거칠어지고 메마르게 되다.
    精神や生活などが荒れすさんで、うるおいがなくなる。
    • 황폐화된 교육.
    • 문명이 황폐화되다.
    • 상상력이 황폐화되다.
    • 의식이 황폐화되다.
    • 정신적으로 황폐화되다.
    •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빚을 갚느라고 내 삶은 몹시 황폐화됐다.
    • 음악은 내게 황폐화된 마음을 치유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 가: 황폐화된 정치 현실을 바로잡을 방법이 없을까요?
    • 나: 우선 국민들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입니다.
    • 문형 : 1이 황폐화되다
황폐화하다 (荒廢化 하다)
발음 : [황폐화하다 /황페화하다 ]
동사 動詞
  1. 1. こうはいかする【荒廃化する】
    집, 땅, 숲 등을 돌보지 않고 그냥 두어 거칠어지고 못 쓰게 되다. 또는 그렇게 만들다.
    家や土地、森などを手入れせずに放置したため、駄目になる。また、そのようにする。
    • 황폐화한 땅.
    • 농토를 황폐화하다.
    • 산을 황폐화하다.
    • 숲을 황폐화하다.
    • 지구를 황폐화하다.
    • 등산객들이 마구 버린 쓰레기가 산을 황폐화했다.
    • 전쟁은 승전국과 패전국을 가리지 않고 국가를 황폐화할 수 있다.
    • 가: 요즘 농촌에 가면 젊은 세대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어요.
    • 나: 맞아요, 이대로 가다가는 농촌이 황폐화하는 것을 막을 수 없을 겁니다.
    • 문형 : 1이 황폐화하다, 1이 2를 황폐화하다
  2. 2. こうはいかする【荒廃化する】
    정신이나 생활 등이 거칠어지고 메마르게 되다. 또는 그렇게 만들다.
    精神や生活などが荒れすさんで、うるおいがなくなる。また、そのようにする。
    • 황폐화한 마음.
    • 대학을 황폐화하다.
    • 문화를 황폐화하다.
    • 생활을 황폐화하다.
    • 정서를 황폐화하다.
    • 가난은 우리 가족의 삶을 황폐화하고 희망을 빼앗아 갔다.
    • 입시 위주의 교육이 학교 생활을 황폐화했다.
    • 가: 여기서는 옆집에서 누가 죽어도 모를 만큼 서로 무관심하오.
    • 나: 이렇게 황폐화한 동네에 나는 절대 살고 싶지 않네.
    • 문형 : 1이 황폐화하다, 1이 2를 황폐화하다
황해 (黃海)
발음 : [황해 ]
명사 名詞
ファンへ【黄海】
한국의 서쪽에 있는 바다. 한반도와 중국에 둘러싸여 있으며 중국 내륙에서 흘러 오는 황토 때문에 바닷물이 누렇다. 밀물과 썰물 때의 수위의 차가 심하여 간석지가 발달해 있다.
韓国の西側にある海。韓半島と中国に囲まれており、中国内陸から流れてくる黄土のために海水が黄濁している。満ち潮と引き潮の水位の差が激しく、干潟が発達している。
  • 넓은 황해.
  • 황해 앞.
  • 황해의 해안.
  • 황해가 흐리다.
  • 황해를 건너다.
  • 동해의 수심에 비해 황해의 수심은 얕은 편이다.
  • 한반도에서 황해를 건너면 중국으로 바로 갈 수 있다.
황해남도 (黃海南道)
발음 : [황해남도 ]
명사 名詞
ファンへナムド【黄海南道】
한반도 중서부에 있는 도. 북한이 1954년에 황해도에서 분리하여 신설하였다. 주요 도시로는 해주가 있다.
韓半島の中西部にある道。北韓が1954年に黄海道(ファンヘド)から分離させて新設した。主要都市には海州(ヘジュ)がある。
  • 북한의 황해남도.
  • 황해남도 주민.
  • 황해남도 출신.
  • 황해남도가 신설되다.
  • 황해남도를 지나다.
  • 북한은 황해도를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나누었다.
  • 우리 할아버지는 지금 신설된 황해남도 지역에서 태어났다.
황해도 (黃海道)
발음 : [황해도 ]
명사 名詞
ファンへド【黄海道】
우리나라 중서부에 있는 도. 쌀, 사과, 조기가 많이 나며 온천이 유명하다. 현재 북한에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나뉘어 있다.
韓半島の中西部にある道。米やリンゴ、イシモチが多くとれ、温泉が有名な地域。現在、北韓によって黄海南道(ファンへナムド)と黄海北道(ファンへブクド)に分かれている。
  • 넓은 황해도.
  • 황해도 출신.
  • 황해도 태생.
  • 황해도를 여행하다.
  • 황해도에서 건너오다.
  • 북한은 황해도의 행정 구역을 남북으로 나누었다.
  • 우리 할머니는 황해도 음식을 잘 만드셨다.
황해북도 (黃海北道)
발음 : [황해북도]
명사 名詞
ファンへブクド【黄海北道】
한반도 중부 내륙 지방인 도. 북한이 1954년에 황해도에서 분리하여 신설하였다. 주요 도시로는 사리원 등이 있다.
韓半島の中部内陸地方の道。北韓が1954年に黄海道(ファンヘド)から分離させて新設した。主要都市には沙里院(サリウォン)などがある。
  • 북한의 황해북도.
  • 황해북도 주민.
  • 황해북도 출신.
  • 황해북도가 신설되다.
  • 황해북도를 여행하다.
  • 겨울에 지형의 영향으로 황해북도에 많은 눈이 내린다.
  • 할아버지는 북한의 황해북도에 있는 고향을 항상 그리워하셨다.
황혼 (黃昏)
발음 : [황혼 ]
명사 名詞
  1. 1. たそがれ【黄昏】。ゆうぐれ【夕暮れ】。ゆうがた【夕方】
    해가 지고 조금씩 어두워지는 때. 또는 그때의 빛.
    日が暮れて、少しずつ暗くなっていく時。また、その頃の光。
    • 도시의 황혼.
    • 여름의 황혼.
    • 황혼 무렵.
    • 황혼이 오다.
    • 황혼을 보다.
    • See More
    • 바다 위에는 붉은 황혼이 넓게 깔려 있었다.
    • 어스름한 황혼 속에서 한 사내의 실루엣이 어렴풋하게 보인다.
    • 가: 날도 저물어 가는데 창밖으로 뭘 그렇게 보고 있어요?
    • 나: 황혼이 너무 아름다워서 눈을 뗄 수가 없구려.
  2. 2. たそがれ【黄昏】。ゆうぐれ【夕暮れ】。ゆうがた【夕方】
    (비유적으로) 사람의 생애나 나라의 운명 등이 한창인 고비를 지나 점점 약해져 마지막에 이른 상태.
    (比喩的に)人の生涯や国の運命などが最大の盛りを越えて、だんだんと弱まり、勢いが衰えるころの状態。
    • 인생의 황혼.
    • 황혼이 깃들다.
    • 황혼이 찾아오다.
    • 황혼을 준비하다.
    • 황혼에 이르다.
    • See More
    • 나는 화려했던 젊은 시절을 뒤로 하고 인생의 황혼을 맞이했다.
    • 자식들을 다 결혼시킨 부부는 고향으로 내려가 황혼을 보냈다.
    • 가: 황혼에 다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기분이 어떠십니까?
    • 나: 육십이 넘은 나이에 이런 열정이 생길 줄은 나도 몰랐소.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