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다
속담 모난 돌이 정 맞는다
  1. 1. 角立った石が打たれる。出る杭は打たれる。高木は風に折らる
    여럿 가운데 두드러지는 사람이 남에게 미움을 받게 된다.
    多くの中で目立つ人が憎まれる。
    • 가: 이번 시험에서 일 등을 한 지수는 다른 아이들이랑 잘 못 어울리나 봐.
    • 나: 그러게, 모난 돌이 정 맞는다더니 말이야.
  2. 2. 角立った石が打たれる。出る杭は打たれる。高木は風に折らる
    성격이 꼿꼿하고 곧은 사람은 남의 공격을 받는다.
    性格がまっすぐで、きまじめな人は攻撃される。
    • 가: 예로부터 강직한 사람은 적이 많더라.
    • 나: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말도 있잖아.
모래
속담 모래 위에 선 누각[집]
砂上の楼閣
(비유적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곧 허물어질 수 있는 물건이나 일.
(比喩的に)基礎がしっかりしていないため、すぐに崩れやすい物事。
  • 가: 지수 너 이번에 또 일등 했다면서?
  • 나: 어쩌다 일등 한 거야. 기초도 없어서 모래 위에 선 누각이나 다름이 없어.
모로
속담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横にはってもソウルに行き着つけばよい
수단이나 방법은 상관없이 목적만 이루면 된다.
手段や方法はともかく、目的だけ達すればよい。
  • 가: 박 과장은 눈꼴사나울 정도로 부장님께 아부를 하더니 결국 승진을 하더라.
  • 나: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더니, 그렇게 해서라도 승진을 했으니 목표를 이루었네.
모르다
속담 모르면 약이요 아는 게 병
知らなければ薬、知れば病。知らぬが仏
아무것도 모르면 마음이 편하고 좋지만, 무엇을 좀 알고 있으면 그것 때문에 걱정이 생겨 오히려 좋지 않다는 말.
何も知らなければ気が楽でいいが、何かを知ると、心配になってかえって良くないという意味。
  • 가: 어제 텔레비전에서 봤는데 식당 주방들이 정말 더럽더라고요.
  • 나: 모르면 약이요 아는 게 병이라고 알고는 밖에서 음식 못 사먹어요.
목구멍
속담 목구멍이 포도청
喉が捕盗庁(昔の警察)
먹고살기 위해서 해서는 안 될 짓까지 할 수밖에 없음.
食ベて生きるためには、してはいけないことまでするしかない。
  • 가: 왜 도둑질을 했나?
  • 나: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먹을 게 없어서 훔쳤소.
목마르다²
속담 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
喉の渇く者が井戸を掘る。渇して井を穿つ
제일 급하고 필요한 사람이 그 일을 서둘러 하게 되어 있다.
最も必要で切羽詰っている人がその事を急いで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
  • 가: 새 프로그램 사용법을 직접 익히기로 했다며?
  • 나: 응. 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고 당장 일이 급해서 결국 내가 직접 하기로 했어.
못²
속담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
食べられない柿、突き刺してみる
자기가 갖지 못하게 된 것에 대해서 심술궂은 마음으로 남도 갖지 못하도록 못쓰게 만들다.
自分が持っていない物事を人も持てなくしようと、意地悪をして駄目にする。
  • 그 예쁜 여가수가 갑자기 결혼하자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는 식으로 이상한 소문들이 퍼졌다.
  • 가: 엄마, 누가 금상 받은 제 그림에 낙서를 해놨어요. 너무 속상해요.
  • 나: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고 누군가 너 상 받은 것을 질투했는가 보구나.
속담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登れない木は見向きもするな
불가능한 일은 빨리 단념하라.
不可能な事は早く断念せよ。
  • 젊은이들이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는 패배 의식에 사로잡혀 새로운 일에 도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가: 나 결심했어. 저 여가수랑 결혼할거야.
  • 나: 꿈 깨라.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고 했어.
못되다
속담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이 난다.
出来損ないの子牛、尻から角が生える
성품이 나쁜 사람이 나쁜 짓을 많이 한다.
品性の悪い人が悪事をたくさん働く。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더니, 예의가 없는 민준이는 어딜 가나 손가락질을 받는다.
  • 가: 엄마! 왜 자꾸 나만 혼내는 거야?
  • 나: 네가 자꾸 버릇없는 행동을 하니까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는 말을 듣는 거야.
속담 못되면 조상 탓 (잘되면 제 탓)
悪い事は祖先のせい(良い事は自分のお陰)
일이 안될 때 그 책임을 남에게 돌리는 태도.
事がうまく行かない時、その責任を他人に転嫁する態度。
  • 가: 이번 시험도 망쳤어. 선생님이 실력이 없는 게 분명해.
  • 나: 못되면 조상 탓이라더니, 시험을 못 본 건 너인데 왜 선생님 탓을 하냐?
무소식
속담 무소식이 희소식
便りのないのは良い便り
아무 소식이 없는 것은 별일이 없다는 뜻이니 기쁜 소식이나 다름없다.
便りがないのは、無事であるという意味なので、嬉しい消息に他ならない。
  • 가: 신혼여행을 떠난 아이들에게 잘 도착했다는 연락이 없네요.
  • 나: 무소식이 희소식이라잖아. 무사히 도착해서 재미있게 놀고 있을 거야.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