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듯
참고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1. 1. ように。みたいに。らしく
    뒤에 오는 말의 내용과 관련하여 짐작할 수 있거나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상태나 상황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
    後に述べる事柄と関連して、見当がついたり似ていると思われる状態や状況を表すのに用いる表現。
    • 지수는 몹시 추운 듯 몸을 덜덜 떨었다.
    • 승규는 프랑스에 가 본 적도 없으면서 마치 살아 본 듯 이야기했다.
    • 유민이를 나를 만나자 십 년 전에 헤어졌던 친구를 만난 듯 반가워했다.
    • 가: 민준이한테 근무를 바꿔 달라고 부탁해 봤어?
    • 나: 말했는데 곤란한 듯 머뭇거리더라고. 다른 사람한테 부탁할까 봐.
  2. 2. ようで
    그런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한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
    そのようでもありそうでないようでもある状態を表す表現。
    • 저 여자를 전에 본 듯 만 듯 생각이 잘 안 나.
    • 지수는 화장을 한 듯 만 듯 옅게 하고 나왔다.
    • 밖이 시끄러워서 잠을 잔 듯 만 듯 잤더니 피곤하다.
-ㄴ 듯싶다
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とみえる【と見える】
앞에 오는 말의 내용을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内容を推測する意を表す表現。
  • 요즘 두 사람이 항상 같이 다니는 게 부쩍 친해진 듯싶다.
  • 자꾸 기침을 하는 게 아무래도 감기에 걸린 듯싶다.
  • 아무 말도 안 하는 걸 보니 승규는 화가 많이 난 듯싶었다.
  • 가: 오랜만이다. 요새 왜 통 연락이 없었니?
  • 나: 선생님께서 너무 바쁘신 듯싶어서 연락을 드리기도 죄송하더라고요.
-ㄴ 듯하다
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とみえる【と見える】
앞에 오는 말의 내용을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内容を推測する意を表す表現。
  • 승규의 표정이 안 좋은 걸 보니 내가 실수를 한 듯했다.
  • 그의 얼굴은 어디에선가 본 듯했고 처음 만나는 사람인데도 왠지 친숙했다.
  • 학교가 조용한 걸 보니 모두 집으로 돌아간 듯했다.
  • 가: 오랜만이다. 요새 왜 통 연락이 없었니?
  • 나: 선배님께서 너무 바쁘신 듯해서 조금 이따가 연락을 드리려고 했어요.
-ㄴ 마당에
からには。というじょうきょうに【という状況に】。というときに【という時に】。というのに【と言うのに】
앞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일이 이루어진 상황이나 처지를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事態が実現した状況や境遇を表す表現。
  • 비가 많이 와서 집이 허물어진 마당에 희망을 갖기란 쉽지 않다.
  • 아무리 비싼 도자기라 할지라도 이미 깨진 마당에 무슨 소용이 있겠어?
  • 오랫동안 사귄 여자 친구와 정이 많이 들었겠지만 헤어진 마당에 미련은 가져서 뭐해.
  • 가: 요즘 물가가 너무 올라서 큰일이에요. 교통비마저 오를까 봐 걱정이에요.
  • 나: 이것저것 다 오른 마당에 교통비인들 안 오르겠어요?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는 마당에, -은 마당에
-ㄴ 만큼
참고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1. 1. だけ。ほど。くらい
    뒤에 오는 말이 앞에 오는 말과 비례하거나 비슷한 정도 혹은 수량임을 나타내는 표현.
    後に述べる事柄が前に述べる事柄と比例するか、ほぼ同じような程度や数量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모든 일에는 노력한 만큼 결과가 따르는 법이니 열심히 해야 한다.
    • 지수는 봉사 활동을 하느라 바쁘고 힘들었지만 힘든 만큼 보람도 컸다.
    • 그 배우는 외모가 아름다운 만큼 마음씨도 고와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거액을 기부했다고 한다.
    • 가: 지수야, 너 오늘 학교에서 안 좋은 일 있었니?
    • 나: 발표 준비를 정말 열심히 했는데 긴장해서 준비한 만큼 잘하지 못해서 속상해.
  2. 2. から。ので。からには。だけ
    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述べる事柄が後に述べる事柄の理由や根拠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승규는 자동차로 출퇴근을 하는데 회사가 먼 만큼 기름값이 많이 든다.
    • 민준이는 열심히 저축을 해서 어렵게 유학을 간 만큼 열심히 공부하고 돌아왔다.
    • 요즘은 취업하기가 어려운 만큼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기 전에 취업 준비를 철저히 한다.
    • 가: 우리가 너무 일찍 출발했나 봐요. 영화 시작 시간보다 한 시간이나 일찍 도착했네요.
    • 나: 시간이 이른 만큼 여유롭게 차나 한잔 마시고 영화를 보면 되겠네요.
-ㄴ 모양이다
ようだ。らしい
다른 사실이나 상황으로 보아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났거나 어떤 상태라고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他の事実や状況から判断して、現在ある事態が起こっているかある状態になると推測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승규가 요즘 계속 피곤해 하던데 일이 힘든 모양이에요.
  • 어머니께서 음식을 많이 준비하시던데 손님들을 초대하신 모양이에요.
  • 학생들이 밤늦도록 공부하는 걸 보니 내일이 시험인 모양이다.
  • 백화점에 사람이 많은 걸 보니 세일 기간인 모양이야.
  • 가: 아직도 밖에 비가 오니?
  • 나: 사람들이 우산을 안 쓰고 다니는 걸 보니 비가 그친 모양이야.
  • 가: 승규야, 아버지 어디 가셨니?
  • 나: 배낭이랑 등산화가 없는 걸 보니 산에 가신 모양이에요.
-ㄴ바
참고 : 주로 문어에서 쓴다.
어미 語尾
  1. 1. たところ。てみると
    뒤에 오는 말과 관련하여 이미 이루어진 어떤 상황을 배경이나 근거로 미리 제시할 때 쓰는 연결 어미.
    後に述べる事柄と関連して、すでに実現しているある状況を背景や根拠として前もって提示するのに用いる「連結語尾」。
    • 지수는 약속을 여러 번 어긴바 신용이 떨어졌다.
    • 보내 준 자료를 검토한바 모든 입력이 잘되어 있었다.
    • 발표 전에 모든 자료를 제시한바 모든 사람이 읽어 왔을 것이다.
    • 지금껏 승규를 지켜본바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는바, -던바, -은바
  2. 2. たところ。てみると
    뒤에 오는 말과 관련하여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배경이나 근거로 제시할 때 쓰는 연결 어미.
    後に述べる事柄と関連して、ある事実や状態を背景や根拠として提示するのに用いる「連結語尾」。
    • 승규의 집은 생활이 넉넉한바 돈이 아까운 줄 몰랐다.
    • 나는 그의 오랜 친구인바 그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
    • 조카가 초등학생인바 어린이의 관람이 제한되는 영화를 함께 볼 수 없었다.
    • 가: 너의 죄가 큰바 벌을 달게 받도록 하여라.
    • 나: 제발 용서해 주십시오.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은바
-ㄴ 반면에
はんめん【反面】。が。けど。にひきかえ
앞에 오는 말과 뒤에 오는 말이 서로 반대되는 사실임을 나타내는 표현.
前にくる言葉と後にくる言葉の内容が相反するもの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독거 노인을 돕는 봉사 활동은 힘든 반면에 보람이 크다.
  • 그 약은 쓴 반면에 효과가 빨라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 집에서 회사는 먼 반면에 아이들 학교는 가까워서 다행이야.
  • 나는 항상 용돈이 부족한 반면 지수는 항상 남는 걸 보면 신기하다.
  • 민준이는 일이 끝나자마자 자리를 떠난 반면 승규는 남아서 마무리를 도왔다.
  • 가: 급히 처리해야 할 일이 있는데 승규 씨한테 부탁할까 봐.
  • 나: 승규 씨는 일 처리가 빠른 반면에 가끔 실수를 하기도 하니까 다시 한번 검토해야 할 거야.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쓰고, ‘-ㄴ 반면’으로도 쓴다.
  • 참고어 -는 반면에
  • 유의어 -은 반면에
-ㄴ 법이다
ものだ
앞의 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그렇게 정해져 있거나 그런 것이 당연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動作や状態が既定のものであるか、それが当然だ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농사일이 젊은 사람에게는 힘든 법이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고운 법이다.
  •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다.
  • 가: 요즘 민준 씨 자식 자랑이 이만저만이 아니에요.
  • 나: 원래 자기 자식은 다 예쁜 법이야.
-ㄴ 이상
からには。いじょう【以上】
앞의 말이 이미 정해진 사실이므로 어떻게 해야 한다거나 어떤 상황임이 당연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内容が既定のものであるため、こうすべきだ、またはこんな状況になって当然だ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일이 이렇게 바쁜 이상 주말에 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대회에 이미 참가하기로 한 이상 최선을 다할 것이다.
  • 이곳은 관계자가 아닌 이상 출입할 수 없습니다.
  • 약속을 한 이상 꼭 지키도록 노력하자.
  • 회의 날짜가 여러 개 겹친 이상 뭐 하나는 조정을 해야겠다.
  • 가: 가게에 손님이 안 와서 걱정이에요.
  • 나: 어렵게 문을 연 이상 이대로 문을 닫을 수는 없으니 내일부터 적극적으로 홍보를 해 봅시다.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쓰고, ‘-ㄴ 이상은’으로도 쓴다.
  • 참고어 -는 이상, -은 이상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