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다면1
-는다면2
というなら【と言うなら】。というならば【と言うならば】。というんだったら【と言うんだったら】
누군가가 어떤 생각이나 의지를 밝히는 경우를 가정하여 그것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표현.
誰かが何かについて意思を表明する場合を仮定して、それが後の事柄の条件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네가 안 먹는다면 내가 다 먹어야지.
- 영수가 시간이 남는다면 우리 집에 들렀다 가라고 해.
- 내 말을 안 믿는다면 나도 더 이상 너한테 할 말이 없어.
- 가: 승규한테 언제 도착할 건지 전화해 보자.
- 나: 그래. 승규가 많이 늦는다면 우리부터 시작하자.
-는다면서1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そうだね。んだってな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아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他人から聞いて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聞き手に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너 다음 달에 결혼 날짜 잡는다면서?
- 이번에는 안 밀리고 월급을 꼬박꼬박 받는다면서?
- 이제부터는 수업 시간에 졸지 않고 선생님 말씀 다 받아 적는다면서?
- 가: 오늘까지는 이번 일을 해결할 방법을 찾는다면서?
- 나: 생각보다 쉽지 않은데 시간을 좀 더 주시면 안 될까요?
-는다면서2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1. といいながら【と言いながら】듣는 사람이나 다른 사람이 이전에 했던 말이 예상이나 지금의 상황과 다름을 따져 물을 때 쓰는 표현.聞き手や他人が以前述べた事柄が予想や今の状況と違うことを問いただすのに用いる表現。
- 당신은 술을 끊는다면서 오늘도 마셨어요?
- 아까부터 씻는다면서 왜 아직 그렇게 앉아 있니?
- 반지를 훔쳐간 도둑을 잡는다면서 며칠째 뭘 하는 거예요?
- 가: 아까는 아이스크림을 먹는다면서 왜 갑자기 안 먹겠다는 거야?
- 나: 나 다이어트 중이잖아.
- 2. といって【と言って】。といいながら【と言いながら】다른 사람이 어떤 말을 하면서 함께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他人がある話をしながらある行為をすることを表すのに用いる表現。
- 지수는 음악을 듣는다면서 방으로 들어갔어요.
- 유민이가 반찬이 입에 맞는다면서 계속 집어 먹더라고요.
- 동생은 책을 읽는다면서 글은 안 보고 그림만 봐요.
- 가: 승규는 뭐 좋은 일 있어요?
- 나: 오늘 용돈을 받는다면서 저렇게 좋아하네요.
-는다오1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는다오2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죠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んでしょう。んですって。んですよね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을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 話し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表現。
- 승규 씨는 매일 야식을 먹는다죠?
- 지수 씨는 남편과 가끔 편지를 주고받는다죠?
- 유민이는 다음날 아침 식사를 전날 준비해 놓는다죠?
- 지수 씨는 요즘 식이 요법 한다고 고기는 안 먹는다죠?
- 민준 씨가 이번 주까지 프로젝트를 마무리 짓는다죠?
- 사춘기에는 아이들이 부모 말을 잘 안 듣는다죠?
- 가: 민준 씨가 빌린 돈을 다음 달까지 갚는다죠?
- 나: 네, 다음 달에 보너스 받으면 갚는대요.
- 가: 외국인 관광객들이 제주도를 많이 찾는다죠?
- 나: 저도 그렇다고 들었어요.
-는다지1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지2
참고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는다지만
というが【というが】。というけど【と言うけど】。そうだが
들어서 알고 있거나 인정하는 사실이지만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실제의 상황이나 생각과는 차이가 있을 때 쓰는 표현.
聞いて知っているか認めている事実ではあるが、それが後に述べる実際の状況や考えとは違いがある時に用いる表現。
- 다들 여름철에는 건강을 위해서 이것저것 먹는다지만 저는 못 먹는 게 많아요.
- 추위 때문에 내복을 입는다지만 저는 좀 불편하더라고요.
- 아무리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다지만 다른 사람 책상까지 샅샅이 보는 건 좀 심한 것 같아요.
- 가: 지수 씨는 시간이 있을 때는 교양서를 읽는다지만 사실 만화를 더 좋아하는 것 같지 않아요?
- 나: 그러게요. 저도 지수 씨가 만화를 보는 걸 자주 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