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거든요
참고 : '-라고 하거든요'가 줄어든 말이다.
  1. 1. というんです【と言うんです】。といっていたんです【と言っていたんです】
    (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말하는 사람의 행동에 대한 근거로 삼음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他人の話を話し手の行動の根拠に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준희에게 줄 선물이라거든요. 만지지 마세요.
    • 조금 있다 오신다고 먼저 드시라거든요. 먼저 드세요.
    • 큰 병아니라거든요. 걱정하지 마세요.
    • 가: 장미 말고 다른 꽃은 꽃다발에 섞지 말까요?
    • 나: 네. 친구가 제일 좋아하는 꽃이 장미라거든요.
    • 가: 승규 씨는 왜 커피 안 마시세요?
    • 나: 병원에 갔더니 장염이라거든요.
    • 가: 두통은 주로 스트레스 때문이라거든요.
    • 나: 나도 알지만 스트레스 받는 걸 어쩌겠어.
  2. 2. しろというんです【しろと言うんです】。しろといっていたんです【しろと言っていたんです】
    (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의 명령을 말하는 사람의 행동에 대한 근거로 삼음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他人の命令を話し手の行動の根拠に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전 조금 더 있다가 갈게요. 친구가 여기서 기다리라거든요.
    • 이 옷 은 지수에게 주세요. 누나가 지수에게 물려주라거든요.
    • 의사 선생님께서 환자분 이쪽 침대로 누우시라거든요.
    • 가: 더 작은 사이즈를 찾으시는 거예요?
    • 나: 네. 아내가 제일 작은 사이즈로 사 오라거든요.
    • 가: 주말인데 집에서 쉬지 않고 왜 나왔어요?
    • 나: 집에 있으면 부모님께서 자꾸 뭘 하라거든요.
    • 가: 그렇게 좋아하던 라면도 안 먹고 웬일이야?
    • 나: 병원에서 밀가루 음식은 먹지 말라거든요.
    • 가: 요새 다이어트하나 봐요?
    • 나: 네. 남편이 살 좀 빼라거든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난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라고1
참고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からといって
    어떤 행위의 목적, 의도를 나타내거나 어떤 상황의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ある行為の目的や意図を表したり、ある状況の理由や原因を表す「連結語尾」。
    • 너 지금 승규 친구라고 승규 편드니?
    • 아직 어려도 남자라고 엄마보다 힘이 세구나.
    • 주말이라고 잠만 자지 말고 우리 산책이라도 나가자.
    • 가: 형, 나랑 팔씨름할래?
    • 나: 그래. 동생이라고 안 봐줘.
  2. 2. といって。というように
    흔히 속담에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諺などにおける「その言葉通りに」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부전자전이라고 승규는 아빠를 꼭 빼닮았구나.
    • 시작이 반이라고 계획을 잘 세우면 반은 성공한 것과 같다.
    • 싸기에 장난감을 하나 샀더니 싼 게 비지떡이라고 바로 고장이 났다.
    • 가: 엄마, 이 옷 새로 산 건데 어때?
    • 나: 옷이 날개라고 너 꼭 영화배우 같구나.
-라고2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ように
어떤 행위의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ある行為の目的や意図の意を表す「連結語尾」。
  • 동생이 책을 밝게 보라고 책상 등을 샀어.
  • 내가 피곤해 하니까 푹 쉬라고 지수가 자리를 피해 주더라.
  • 어머니께서 겨울에 춥게 입고 다니지 말라고 내게 옷을 사 주셨어.
  • 부모님께서 내가 여행을 갈 때 풍경을 즐기면서 가라고 기차표를 끊어 주셨어.
  • 가: 너 오늘 굉장히 어려 보인다.
  • 나: 그래? 귀여워 보이라고 머리띠도 했어.
-라고3
참고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って。だってば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주장을 듣는 사람에게 강조하여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話し手の考えや主張を聞き手に強調して述べ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선생님이 얼마나 무서운 분이라고.
    • 네가 말하는 일은 내 알 바 아니라고.
    • 광화문으로 가려면 큰길로 가는 게 맞더라고.
    • 가: 이 책이 재밌있다는 거야?
    • 나: 아니, 이 책이 아니라 저 책이라고.
  2. 2. って。だと。だって
    (두루낮춤으로) 들은 사실을 되물으면서 확인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聞いた事実を聞き返しながら確認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뭐? 전부 다 내 탓이라고?
    • 국산이 아닌 외국 제품이면 뭐든 다 좋은 거라고?
    • 누나를 따라다니며 괴롭히던 사람이 저 사람이라고?
    • 가: 이번에도 형이 떨어졌어요.
    • 나: 뭐라고?떨어진 사람이 형이라고?
  3. 3. とおもった【と思った】
    (두루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이 예상했던 것과 다름을 확인하고 깨닫는 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ある事実が予想したものとは異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悟ったような口調で述べる意を表す「終結語尾」。
    • 난 또 네가 찾는 사람이 동생이라고.
    • 난 또 선생님이 내가 주운 책의 주인이라고.
    • 에이, 난 또 지수랑 민준이가 서로 아는 사이라고.
    • 가: 준수가 누군데?
    • 나: 몰라? 난 또 둘이 같은 반 친구라고.
    • ※ 주로 구어에서 ‘난 또’라는 말이 문장 앞에 나와 의문이나 긴장 또는 걱정이 해소되었다는 뜻을 나타낼 때 쓴다.
    • 참고어 -ㄴ다고², -는다고², -다고²
-라고4
  1. 1. と
    다른 사람에게서 들은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거나 주어의 생각, 의견 등을 나타내는 표현.
    他人から聞いた話の内容を間接的に伝えたり主語の考えや意見などを述べ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아이는 화분을 자기가 깬 것이 아니라고 했어요.
    • 그는 자기가 둘의 싸움에 끼어 난처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 많은 사람들이 오늘날에는 정보가 힘이라고 이야기한다.
    • 가: 지수는 이 행사가 마지막이라고 하는데?
    • 나: 너 누구한테 들었어? 난 마지막이 아닌 걸로 아는데.
  2. 2. しろと
    다른 사람에게 들은 명령이나 권유 등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는 표현.
    他人の命令や勧誘などの内容を間接的に伝えるのに用いる表現。
    • 지수야, 유민이가 너도 나오라고 하는데?
    • 아버지께서 전화가 오면 이 말을 전하라고 하셨어요.
    • 박 부장은 김 과장에게 일이 진행된 과정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 민준이가 자기는 좀 늦는다면서 우리보고 먼저 극장에 들어가라고 말했어.
    • 가: 그쪽에서 연락한 이유가 뭐예요?
    • 나: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료를 보내달라고 연락했대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난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라고³
-라고요
  1. 1. んだってば。んですって
    (두루높임으로) 자신의 말을 되풀이하거나 강조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自分の話を繰り返したり強調したりするのに用いる表現。
    • 그건 제가 한 일이 아니라고요.
    • 저 사람은 우리 회사 직원이라고요.
    • 그 일은 저에게 맡기고 좀 쉬시라고요.
    • 가: 좀 전에 뭐라고 말씀하셨어요?
    • 나: 이 자료 좀 지수 씨에게 전해주라고요.
  2. 2. というんですか【と言うんですか】。んだって。んですって。
    (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확인하거나 따져 물을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他人の話を確認したり問いただしたりするのに用いる表現。
    • 저분이 유명한 시인이라고요?
    • 오늘은 금요일이 아니라고요?
    • 저기 보이는 산이 한라산이라고요?
    • 가: 민준 씨, 제 가방과 민준 씨 가방이 바뀐 것 같아요.
    • 나: 그럼 이 가방이 승규 씨 가방이라고요?
  3. 3. んですよ
    (두루높임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듯이 말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他人に対して自慢げに述べるのに用いる表現。
    • 저 키 큰 친구가 우리 반 반장이라고요.
    • 그 베스트셀러 도서가 우리 출판사 책이라고요.
    • 제 딸이 바로 장학생이라고요.
    • 가: 우리 집 옆 고등학교 야구부가 이번 대회에서 우승을 했대요.
    • 나: 제 조카가 그 학교 야구부 주장이라고요.
  4. 4. しろといっているんですよ【と言っているんですよ】。しろだってば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한 제안, 명령, 주장 등을 되풀이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話し手の提案や命令、主張などを繰り返したり強調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시끄러워서 집중이 안 되니까 제발 조용히 좀 하시라고요.
    • 확인하는 차원에서 그쪽에 다시 한번 물어보라고요.
    • 실수가 없어야 하니까 자료 목록을 확실히 확인하라고요.
    • 가: 방금 저한테 뭐라고 하셨죠?
    • 나: 다 본 책은 제자리에 두라고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라고요
  5. 5. しろというんですか【しろと言うんですか】。しろといっているんですか【と言っているんですか】。しろだと。しろだって
    (두루높임으로) 상대방의 말을 다시 확인하거나 부정하는 뜻으로 되물음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相手の話を再び確認したり否定する意味で問い返す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저더러 선을 보라고요?
    • 제가 그 자리에 대신 나가라고요?
    • 숙제는 내일까지 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오늘 내라고요?
    • 가: 박 대리, 내일 급하게 출장을 가야겠어.
    • 나: 내일 출장을 가라고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라고요
  6. 6. しろということですね【しろと言うことですね】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과 사실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함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話し手の考えと事実は違うということを確認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난 또 그쪽에 직접 가서 일하라고요.
    • 아, 버스가 아니라 택시를 타고 오라고요.
    • 아, 이불을 베란다 말고 마당에 가서 털라고요.
    • 가: 제가 추천해 드린 영화는 이게 아니라 저 영화예요.
    • 나: 아, 이 영화를 보라고요.
    • 가: 여길 혼자서 다 청소하라는 게 아니라 자기 주변만 청소하라고.
    • 나: 휴, 이쪽만 청소하라고요.
    • 가: 유민 씨, 지수 씨 도와주라니까 왜 다른 일을 하고 있어?
    • 나: 아, 이걸 하는 게 아니라 지수 씨를 도와주라고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으라고요
-라곤
とは
명령이나 요청 등의 말을 인용하며 그와 대조되는 사실을 말할 때 쓰는 표현.
命令や要請などの言葉を引用して、それと対照的な事実を言うのに用いる。
  • 너한테 짐을 맡아 달랬지 풀라곤 안 했잖아.
  • 형한테 내 숙제를 봐 달라곤 하지 않았잖아.
  • 얘야, 인형을 눈으로 구경하라고 했지 만지라곤 하지 않았잖니.
  • 민준이는 자기 컴퓨터를 얼마든지 쓰라곤 하지만 내 것이 아니라서 마음대로 쓰기가 불편하다.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주로 ‘없다', '않다’ 등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쓴다. '-라고는'이 줄어든 말이다.
  • 참고어 -으라곤
라고1
발음 : []
참고 : 받침 없는 말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앞의 말이 원래 말해진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내는 조사.
前の言葉が、元の発話内容そのまま引用されてい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동생이 나에게 “형, 인터넷이 뭐야?”라고 물었다.
  • 승규는 이름 대신 항상 별명인 ‘돼지’라고 불렸다.
  • 나는 자신감이 부족한 아들을 위해 항상 “정말 잘했어.”라고 말해 준다.
  • 가: 어? 약국이 문을 닫았네.
  • 나: 아, ‘월요일은 휴무’라고 문에 적혀 있어.
라고2
발음 : []
참고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1. 1. と。といって
    앞의 말이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前の言葉が気に入らないもの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그 시끄러운 걸 지금 노래라고 듣고 있는 거니?
    • 승규는 공부라고 두 시간 하더니 피곤하다며 잔다.
    • 술 마시는 것도 장기라고 개발한다니 너도 한심하다.
    • 가: 알았어. 그냥 내가 잘못했다고 치자.
    • 나: 너는 지금 그걸 사과라고 하니?
  2. 2. といっても。だからといって
    뒤에 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조사.
    後にくる内容の原因や理由を表す助詞。
    • 박사라고 모든 걸 다 알 수는 없다.
    • 부자라고 반드시 행복한 것은 아니다.
    • 내가 여자라고 겁도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 친한 사이라고 그렇게 심한 말을 해도 되니?
    • ※ 주로 뒤에 부정적인 내용이 온다.
    • 참고어 이라고²
  3. 3. だって。といっても
    예외 없이 다 마찬가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例外なくすべて同じ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여기가 어디라고 이렇게 소란을 피우느냐?
    • 승규가 우리 중에 힘이 제일 센데 누구라고 덤비겠어요?
    • 가: 지수가 많이 늦네.
    • 나: 뭐 언제라고 지수가 일찍 온 적이 있었어?
    • ※ 주로 의문사나 의문사가 붙는 말 뒤에 붙여 쓰고 뒤에 부정의 뜻을 가진 의문문이 온다.
    • 참고어 이라고²
  4. 4. なんて。といっても
    강조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強調して取り上げ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영화가 재미라고는 하나도 없구나!
    • 우리 부서에 여자라고는 나 하나밖에 없다.
    • 지수는 배탈이 나서 하루 종일 먹은 거라곤 물밖에 없다.
    • 가: 민준이는 정말 버릇이 없는 것 같아.
    • 나: 응. 어른에 대한 예의라곤 찾아볼 수가 없지.
    • ※ 주로 ‘-라고는’, ‘-라곤’으로 쓰며 뒤에 수나 양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 온다.
    • 참고어 이라고²
라고는
とは
강조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強調して示すのに用いる。
  • 지수는 워낙 치아 관리를 잘해서 치과라고는 가 본 적도 없다.
  • 삼촌은 주말에 하는 거라고는 텔레비전을 보고 낮잠을 자는 것 말고는 없다.
  • 나는 유민이랑 친해지고 싶었지만 그 아이에 대해 아는 거라고는 이름뿐이었다.
  • 가: 너는 여자 형제 없이 형만 있다고 했었지?
  • 나: 응. 집에 여자라고는 엄마밖에 없어.
  •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여 쓰고, 주로 뒤에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온다.
  • 참고어 이라고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