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 (美術史)
발음 : [미ː술싸 ]
명사 名詞
びしゅつし【美術史】
미술이 발달해 온 역사. 또는 그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
美術が発達してきた歴史。また、その歴史を研究する学問。
- 서양 미술사.
- 한국의 미술사.
- 미술사를 강의하다.
- 미술사를 전공하다.
- 이탈리아는 서양 미술사의 보고로서 유명한 화가들을 배출해 낸 나라이다.
- 이 책은 원시 시대의 벽화에서부터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 미술사를 기술하고 있다.
미술품 (美術品)
발음 : [미ː술품 ]
명사 名詞
びじゅつひん【美術品】
그림, 조각, 공예 등의 미술 작품.
絵・彫刻・工芸などの美術作品。
- 현대 미술품.
- 미술품 경매.
- 미술품을 수집하다.
- 미술품을 전시하다.
- 미술품을 진열하다.
- 어젯밤, 미술관에서 미술품 몇 점이 도난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 미술관에서는 옛 미술품뿐만 아니라 현대 미술품도 전시하고 있다.
- 가: 집에 미술품을 소장하고 계신 것을 보니 미술에 관심이 많으신가 봐요.
- 나: 네. 미술품을 수집하는 게 취미예요.
미숫가루
발음 : [미수까루 /미숟까루 ]
명사 名詞
ミスカル。むぎこがし【麦焦がし】。こうせん【香煎】。はったいこ
찹쌀, 멥쌀, 보리쌀 등을 찌거나 볶은 다음 가루를 내어 물에 타 먹을 수 있게 만든 먹을거리.
もち米やうるち米、麦などを蒸したり炒ったりして挽いた粉を水に混ぜて飲めるようにした物。
- 미숫가루 음료.
- 미숫가루를 마시다.
- 미숫가루를 만들다.
- 미숫가루를 좋아하다.
- 미숫가루를 타다.
- 승규는 아침마다 미숫가루를 타 먹는 것으로 식사를 대신한다.
- 여름에 얼음을 띄워 만든 미숫가루는 남녀노소가 좋아하는 음료이다.
- 가: 미숫가루를 더 맛있게 먹는 방법을 아세요?
- 나: 우유나 꿀을 넣으면 더 맛있어요.
미스1 (miss)
명사 名詞
ミス
잘 알지 못하거나 조심하지 않아서 저지르는 잘못.
よく分からなかったり、十分気をつけていなくておかす間違え。
- 패스 미스.
- 미스가 나오다.
- 미스가 되다.
- 미스를 범하다.
- 미스를 하다.
- 수비 선수의 패스 미스가 상대 팀의 득점으로 이어졌다.
- 이 문서에는 오타 등의 미스가 많아서 교정에 시간이 걸렸다.
- 참고어 실수
미스2 (Miss)
명사 名詞
- 1. ミス결혼하지 않은 여자의 성 앞에 붙이는 호칭 또는 지칭.未婚女性の姓の前につける呼称。
- 저기 안경 쓴 사람이 미스 최입니다.
- 미스 정이 오늘부터 이 일을 하도록 해요.
- 미스 박은 일도 잘 하고 성격도 야무져서 상사들의 신뢰가 두텁다.
- 가: 미스 김은 어디 갔어요?
- 나: 지금 회의실에 있을 거예요.
- 2. ミス。みこんじょせい【未婚女性】결혼하지 않은 젊은 여자.未婚の若い女性。
- 나는 아직은 미스인 게 좋아 남자 친구에게 결혼을 좀 미루자고 했다.
- 저렇게 얼굴도 예쁘고 능력도 있는데, 아직 미스라니 믿을 수가 없다.
- 결혼해서 애까지 있는 나를 미스로 착각한 것이 기분 나쁘지는 않았다.
- 가: 결혼하셨어요?
- 나: 아니요. 아직 미스예요.
- 참고어 아가씨
미스터 (mister Mr.)
미스터리 (mystery)
명사 名詞
- 1. ミステリー。なぞ【謎】。ふかしぎ【不可思議】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일.説明したり、理解したりできない異様なこと。
- 미스터리 사건.
- 미스터리를 다루다.
- 미스터리를 풀다.
- 미스터리로 남다.
- 미스터리로 여기다.
- 그 살인 사건은 몇 년째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로 남겨져 있다.
-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많은 자연의 미스터리들을 해결해 주었다.
- 가: 이 다큐멘터리는 무슨 내용이야?
- 나: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스터리를 다루고 있어.
- 2. ミステリー。すいりしょうせつ【推理小説】。たんていしょうせつ【探偵小説】범죄 사건을 추리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다루는 소설.犯罪事件を推理して解決する過程を書いた小説。
- 미스터리 소설.
- 미스터리 작가.
- 미스터리를 쓰다.
- 미스터리를 읽다.
- 미스터리를 좋아하다.
- 민준이는 탐정 소설 같은 미스터리를 즐겨 읽는다.
- 나는 미스터리 소설을 쓰기 위해 각종 범죄 수법 등에 대해 조사를 했다.
- 가: 너는 어떤 종류의 소설이 가장 재미있니?
- 나: 뭐니 뭐니 해도 연쇄 살인이 등장하는 미스터리가 흥미진진하지.
- 유의어 추리 소설
미시 (微視)
발음 : [미시 ]
명사 名詞
びし【微視】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개별이나 부분으로 작게 나누어 생각함.
事物や現象を個別か部分に小さく分けて考えること。
- 미시 경제.
- 미시 세계.
- 미시와 거시는 종종 나무와 숲에 비유된다.
- 미시 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들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 주로 '미시 ~'로 쓴다.
- 참고어 거시
미시적1 (微視的)
발음 : [미시적 ]
명사 名詞
びしてき【微視的】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개별이나 부분으로 작게 나누어 생각하는 것.
物事や現象を個別か部分に小さく分けて考えること。
- 미시적인 관점.
- 미시적인 관찰.
- 미시적인 방법.
- 미시적인 수준.
- 미시적으로 분석하다.
- 그 경제학자는 경제 문제의 원인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입장이다.
- 그의 소설은 개인의 갈등의 원인을 사회 구조와 연관시키지 않고 미시적으로 다루고 있다.
- 참고어 거시적¹
미시적2 (微視的)
발음 : [미시적 ]
관형사 冠形詞
びしてき【微視的】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개별이나 부분으로 작게 나누어 생각하는.
物事や現象を個別か部分に小さく分けて考えるさま。
- 미시적 고찰.
- 미시적 관점.
- 미시적 방법.
- 미시적 분석.
- 미시적 접근.
- 그 국회의원은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미시적 관점에서 그 동안의 과정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 가: 제 연구는 사회 변화의 주체인 개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
- 나: 미시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군요.
- 참고어 거시적²
'한국어기초사전 > 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심쩍다, 미싱, 미아, 미아보호소, 미안, 미안스럽다, 미안쩍다, 미안하다, 미약하다, 미얀마 (0) | 2020.02.06 |
---|---|
미시족, 미시즈, 미식¹, 미식², 미식가, 미식축구, 미신, 미신고, 미신적¹, 미신적² (0) | 2020.02.06 |
미수죄, 미숙, 미숙련, 미숙성, 미숙아, 미숙하다, 미술, 미술가, 미술계, 미술관 (0) | 2020.02.06 |
미세, 미세스, 미세하다, 미소, 미소년, 미소하다¹, 미소하다², 미소하다³, 미수¹, 미수², 미수³, 미수금 (0) | 2020.02.06 |
미상, 미색¹, 미색², 미생물, 미생물학, 미성, 미성년, 미성년자, 미성숙, 미성숙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