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하다 (養成 하다)
발음 : [양ː성하다 ]
동사 動詞
  1. 1. ようせいする【養成する】。そだてる【育てる】
    가르쳐서 유능한 사람을 길러 내다.
    教育で有能な人を育成する。
    • 군사를 양성하다.
    • 인력을 양성하다.
    • 인재를 양성하다.
    • 엘리트를 양성하다.
    • 전문인을 양성하다.
    • See More
    • 사범 대학은 미래의 교육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다.
    • 그 교수는 수업을 충실히 준비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데 전념하였다.
    • 가: 이 연기 학원에서 유명한 배우들이 많이 나왔대요.
    • 나: 네, 좋은 연기자를 양성한 학원으로 유명하더군요.
  2. 2. ようせいする【養成する】。そだてる【育てる】。やしなう【養う】
    실력이나 능력 등을 길러서 발전시키다.
    実力や能力などを伸ばす。
    • 기량을 양성하다.
    • 능력을 양성하다.
    • 실력을 양성하다.
    • 역량을 양성하다.
    • 좋은 습관을 양성하다.
    • 우리 축구팀은 집중 훈련으로 경기를 주도할 역량을 양성했다.
    • 승규는 어릴 때부터 계획대로 실천하는 좋은 습관을 양성해 왔다.
    • 가: 어떻게 하면 선배님과 같은 무술 실력을 양성할 수 있을까요?
    • 나: 오랜 수련과 연습이 뒷받침되면 실력이 점점 길러져요.
    • 문형 : 1이 2를 양성하다
  3. 3. ようしょくする【養殖する】
    주로 어류와 조개류를 보살펴 길러 내다.
    主に魚類や貝類を人工的に繁殖させる。
    • 물고기를 양성하다.
    • 어패류를 양성하다.
    • 우럭을 양성하다.
    • 조개를 양성하다.
    • 식용으로 양성하다.
    • 아저씨는 양식으로 양성한 조개를 수산물 시장에 내다팔았다.
    • 이 양식장에서 양성하고 있는 물고기는 대부분 식용 목적이었다.
    • 가: 우럭이 굵게 잘 자랐네요.
    • 나: 네, 저희 양식장은 첨단 장비로 우럭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 문형 : 1이 2를 양성하다
양손 (兩 손)
발음 : [양ː손 ]
명사 名詞
りょうて【両手】
양쪽 손.
両方の手。
  • 양손을 넣다.
  • 양손을 들다.
  • 양손을 비비다.
  • 양손을 쓰다.
  • 양손을 움켜쥐다.
  • See More
  • 나는 넓고 큰 그 그릇을 양손으로 받쳐 들었다.
  • 장을 본 어머니는 양손에 짐 보따리를 들고 오셨다.
  • 유민이는 날씨가 추워서 양손 모두를 호주머니에 넣었다.
  • 가: 짐이 무거우니까 양손으로 받으렴.
  • 나: 네. 두 손으로 잘 받을게요.
양송이 (洋松栮)
발음 : [양송이 ]
명사 名詞
マッシュルーム
겉은 연한 갈색이고 살은 흰색인, 독특한 향기와 맛을 지닌 버섯.
表面は薄い褐色で中は白い、独特な風味を持つキノコ。
  • 양송이 수프.
  • 양송이 요리.
  • 양송이를 따다.
  • 양송이를 먹다.
  • 양송이를 손질하다.
  • See More
  • 이 농가는 양송이와 여러 버섯을 재배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레스토랑에서 본 요리 전에 향이 좋은 양송이 수프가 먼저 나왔다.
  • 가: 불고기 양념은 어떻게 만들어요?
  • 나: 양파와 다진 마늘이 필요해요. 참, 양송이도 함께 넣어 주면 좋아요.
양송이버섯 (洋松耳 버섯)
발음 : [양송이버섣 ]
활용 : 양송이버섯이[양송이버서시], 양송이버섯도[양송이버섣또], 양송이버섯만[양송이버선만]
명사 名詞
マッシュルーム
겉은 연한 갈색이고 살은 흰색인, 독특한 향기와 맛을 지닌 버섯.
表面は薄い褐色で中は白い、独特な風味を持つキノコ。
  • 양송이버섯을 먹다.
  • 양송이버섯을 요리하다.
  • 양송이버섯을 캐다.
  • 오늘 점심 메뉴는 양송이버섯 덮밥이다.
  • 어머니는 풀밭에서 양송이버섯을 캐 오셨다.
  • 나는 배탈이 나서 양송이버섯을 넣은 죽을 쒀 먹었다.
  • 가: 손님, 주문하시겠어요?
  • 나: 네. 치킨 샐러드와 양송이버섯을 곁들인 안심 스테이크 주세요.
양수1 (羊水)
발음 : [양수 ]
명사 名詞
ようすい【羊水】。ようまくえき【羊膜液】
자궁 속에서 태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액체.
子宮の中で胎児を保護する役割をする液体。
  • 양수 검사.
  • 양수가 터지다.
  • 태아는 양수 속에 떠서 자라게 된다.
  • 출산 예정일보다 일찍 양수가 터지는 경우가 있다.
  • 태아의 염색체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양수를 검사했다.
양수2 (揚水)
발음 : [양수 ]
명사 名詞
ようすい【揚水】
물을 위로 퍼 올림. 또는 그 물.
水を高所にくみあげること。
  • 양수 발전소.
  • 양수 시설.
  • 양수 작업.
  • 양수 장비.
  • 양수를 하다.
  • 대형 양수 시설을 갖춘 저수지에서는 배수와 양수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 가뭄 때문에 저수지가 말라서 수로를 통해 강물을 끌어오는 양수 작업을 해야 했다.
  • 양수 발전은 아래쪽 저수지의 물을 위쪽 저수지로 퍼 올렸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방류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양수3 (陽數)
발음 : [양수 ]
명사 名詞
せいすう【正数】
0보다 큰 수.
0より大きい実数。
  • 양수와 음수.
  • 양수에 음수를 곱하면 음수가 나온다.
  • 0과 양수, 음수를 통틀어 유리수라고 한다.
  • 양수를 나타낼 때는 보통 ‘+’ 기호를 생략한다.
양수기 (揚水機)
발음 : [양수기 ]
명사 名詞
ようすいき【揚水機】。ポンプ
물을 퍼 올리는 기계.
水を高所にくみあげる機械。
  • 동력 양수기.
  • 양수기를 돌리다.
  • 양수기를 사용하다.
  • 양수기로 물을 대다.
  • 양수기로 물을 올리다.
  • See More
  • 아저씨가 양수기를 힘껏 돌리자 물이 펑펑 솟아올랐다.
  • 농부는 양수기로 지하수를 끌어다 논에 물을 대었다.
  • 가: 가뭄이어서 논바닥이 점점 마르고 있어요.
  • 나: 내일 양수기로 물을 끌어오면 조금 나을 거예요.
양식1 (良識)
발음 : [양식 ]
활용 : 양식이[양시기], 양식도[양식또], 양식만[양싱만]
명사 名詞
りょうしき【良識】
사물을 분별하는 뛰어난 능력이나 건전한 판단.
物事を分別するための優れた能力や健全な判断力。
  • 양식 수준.
  • 양식 있는 행동.
  • 양식이 없다.
  • 양식을 갖추다.
  • 양식에 따르다.
  • 그 신사는 양식을 갖춘 사람이어서 예의가 참 바르다.
  • 제멋대로인 그 젊은이는 매우 몰상식하고 양식이 없었다.
  • 가: 양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밤중에 전화를 걸겠니?
  • 나: 하긴 그 애가 가끔씩 엉뚱하고 뻔뻔하게 행동하긴 해.
양식2 (洋式)
발음 : [양식 ]
활용 : 양식이[양시기], 양식도[양식또], 양식만[양싱만]
명사 名詞
ようしき【洋式】。せいようしき【西洋式】。ようふう【洋風】
서양의 행동 방식이나 생활 양식.
西洋風の行動方式や生活様式。
  • 양식 건물.
  • 양식 예절.
  • 양식 옷.
  • 양식 요리.
  • 양식 풍속.
  • 시골의 초가집들은 양식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 옛날 사람들은 양식 복장을 오랑캐 옷이라고 부르며 배척했다.
  • 한복을 입은 노인들 틈에 양식 복장의 그 노인은 이방인 같았다.
양식3 (洋食) ★★★
발음 : [양식 ]
활용 : 양식이[양시기], 양식도[양식또], 양식만[양싱만]
명사 名詞
ようしょく【洋食】。せいようりょうり【西洋料理】
수프나 스테이크 등과 같이 서양식으로 만든 음식.
スープやステーキなどのような、西洋風の料理や食事。
  • 양식 요리.
  • 양식과 한식.
  • 양식을 먹다.
  • 양식을 배우다.
  • 양식을 제공하다.
  • 우리 호텔에서는 최고 수준의 한식 및 양식이 제공된다.
  • 나는 한식은 물론 일식, 양식까지도 만들 수 있다고 자부한다.
  • 가: 너 조리사 자격증은 있니?
  • 나: 네. 한식은 저번에 땄고, 양식은 얼마 전에 땄어요.
양식4 (樣式) ★★
발음 : [양식 ]
활용 : 양식이[양시기], 양식도[양식또], 양식만[양싱만]
명사 名詞
  1. 1. ようしき【様式】
    어떤 일을 하는 데에 필요한, 일정한 형식이나 방식.
    何かをするのに必要な、一定の形式や方式。
    • 보고서 양식.
    • 서류 양식.
    • 소설 양식.
    • 양식을 지키다.
    • 양식에 맞추다.
    • 논문을 쓰는 구체적인 양식은 전공 분야마다 다를 수 있다.
    • 모든 지원자들은 지원 양식에 맞추어 지원서를 작성해야 한다.
    • 가: 전에 나누어 드린 양식대로 보고서를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나: 꼭 그걸 지켜야 하나요?
  2. 2. ようしき【様式】
    오랜 시간을 거쳐 오면서 자연스럽게 정해진 공통의 방식.
    長い時間を経て、自然に形成されてきた共通の方式。
    • 생활 양식.
    • 전통 양식.
    • 행동 양식.
    • 삶의 양식.
    • 생활 양식은 사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두 사회의 가치를 비교해서 평가할 수는 없다.
    • 광고를 만드는 사람들은 소비자의 행동 양식을 파악해서 소비를 부추기는 광고를 만들게 된다.
    • 의사소통 양식에는 입으로 하는 것과 손으로 하는 것 그리고 둘 다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있다.
    • 가: 오랫동안 외국 생활을 하셨지만 여전히 한국 음식이나 문화를 사랑하신다고요?
    • 나: 네. 풍습이나 양식이 하루 아침에 바뀌는 것은 쉽지 않더라구요.
  3. 3. ようしき【様式】
    시대나 부류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나는, 예술 작품이나 건축물 등의 표현 방법이나 형식.
    時代や部類によって表れる、芸術作品や建築物などの独特な表現方法や形式。
    • 건축 양식.
    • 바로크 양식.
    • 사실주의 양식.
    • 고전적 양식.
    • 독특한 양식.
    • 예술 양식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 베토벤 양식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그의 모든 작품 안에 공통성이 있어야 한다.
    • 가: 이 성당이 어떤 양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아니?
    • 나: 고딕 양식이요.
    • ※ 주로 '~ 양식'으로 쓴다.
양식5 (養殖)
발음 : [양ː식 ]
활용 : 양식이[양ː시기], 양식도[양ː식또], 양식만[양ː싱만]
명사 名詞
ようしょく【養殖】
물고기, 김, 미역, 버섯 등을 인공적으로 길러서 번식하게 함.
魚・海苔・ワカメ・キノコなどを人工的に飼育し、繁殖させること。
  • 양식.
  • 미역 양식.
  • 조개 양식.
  • 양식 사업.
  • 양식을 하다.
  • 이 해안 마을에서는 김과 전복 양식을 대량으로 한다.
  • 김 씨는 양식 장어를 자연산 장어로 속여서 폭리를 취했다.
  • 가: 이곳의 참치 양식이 유명하다고 들었습니다.
  • 나: 네. 이곳은 무엇보다 참치의 먹이가 되는 멸치가 풍부합니다.
양식6 (糧食)
발음 : [양식 ]
활용 : 양식이[양시기], 양식도[양식또], 양식만[양싱만]
명사 名詞
  1. 1. りょうしょく【糧食】。しょくりょう【食糧】。かて【糧・粮】
    살기 위해 필요한 사람의 먹을거리.
    人が生きていくために必要な食べ物。
    • 비상 양식.
    • 남은 양식.
    • 먹을 양식.
    • 양식 걱정.
    • 양식 꾸러미.
    • See More
    • 지독한 흉년으로 마을 사람들은 모두 겨울을 지낼 양식이 없어서 걱정했다.
    • 어머니는 여러 식재료를 구입하시면서 가족들이 먹을 양식을 넉넉히 마련해 두셨다.
    • 가: 다람쥐가 도토리를 모으고 있어.
    • 나: 응, 겨울 동안 먹을 양식을 비축하고 있는 거야.
  2. 2. かて【糧・粮】
    (비유적으로) 지식, 물질, 사상 등의 근원이 되는 것.
    (比喩的に)知識、物質、思想などの根源になるもの。
    • 마음의 양식.
    • 정신의 양식.
    • 좋은 양식.
    • 훌륭한 양식.
    • 양식이 되다.
    • See More
    • 그 훌륭한 교양 강의는 내게 정신의 양식이 되었다.
    • 승규는 좋은 책을 여러 권 읽으면서 마음의 양식을 쌓았다.
    • 가: 지현아, 방학 동안 어떻게 지냈니?
    • 나: 마음의 양식을 쌓기 위해서 독서도 하고 영화 감상도 많이 했어.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