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돌다
발음 : [에ː돌다 ]
활용 : 에돌아[에ː도라], 에도니[에ː도니], 에돕니다[에ː돔니다]
동사 動詞
  1. 1. とおまわりする【遠回りする】。まわりみちする【回り道する】
    곧장 나아가지 않고 멀리 돌다.
    まっすくに行かず、 遠い道を回って行く。
    • 에돌아 나가다.
    • 에돌아 피하다.
    • 에돌아 흐르다.
    • 강물이 에돌다.
    • 철도가 에돌다.
    • 배의 항로는 암초가 많은 해역을 피해 에돌았다.
    • 이 산에 터널이 뚫리기 전에는 도로가 산 옆으로 에돌아 나 있었다.
    • 가: 늦었는데 집에 조심해서 오너라.
    • 나: 어두운 지름길 말고 큰길로 에돌아 갈게요.
    • 문형 : 1이 2로 에돌다, 1이 2를 에돌다
    • 유의어 우회하다
  2. 2. うろつく【彷徨く】。うろうろする。はいかいする【徘徊する】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이리저리 빙빙 돌다.
    一か所にとどまらず、歩き回る。
    • 밖으로 에돌다.
    • 여기저기로 에돌다.
    • 뱅글뱅글 에돌다.
    • 승규는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늘 밖으로 에돌았다.
    • 나는 집에 들어갈 용기가 나지 않아 주변 골목을 몇 바퀴째 에돌고 있었다.
    • 가: 까치가 왜 저렇게 저 나무 주위를 에돌지?
    • 나: 어머, 저기 둥지가 있는 데에 저거 뱀 아니야?
    • 문형 : 1이 2로 에돌다, 1이 2를 에돌다
  3. 3. とおまわしにいう【遠回しに言う】。いいまわす【言い回す】
    말이나 글을 곧바로 하지 않고 빙빙 돌리다.
    直接的な表現を避けて、それとなく言ったり書いたりする。
    • 에돌아 말하다.
    • 에돌아 쓰다.
    • 표현이 에돌다.
    • 김 교수의 칼럼은 현 정권을 에돌아서 비판하고 있었다.
    • 나는 용기가 안 나서 쓸데없는 이야기만 에돌다가 고백을 못 했다.
    • 가: 에돌아 말하지 말고 용건을 말해 봐.
    • 나: 어려운 부탁을 해야 돼서 선뜻 입이 안 떨어져.
    • 문형 : 1이 에돌다
에라
발음 : [에라 ]
감탄사 感動詞
  1. 1. えい
    생각을 그만두거나 어떤 것을 포기할 때 내는 소리.
    考えをやめたり何かをあきらめたりする時に発する語。
    • 에라, 다 때려치울 테다.
    • 에라, 나도 이제 모르겠다!
    • 에라, 이젠 나도 포기할래.
    • 에라, 힘들어서 더는 못 하겠다.
    • 가: 이거 비가 금방이라도 쏟아질 기세인데?
    • 나: 에라, 오늘은 일찍 집에나 가세.
  2. 2. えい
    실망감이나 분노를 나타낼 때 내는 소리.
    落胆や怒りを表す時に発する語。
    • 에라, 망했다.
    • 에라, 나쁜 놈!
    • 에라, 천하에 몹쓸 놈!
    • 에라, 내 다시는 네 녀석과 말도 않겠다.
    • 가: 오늘은 고기 좀 많이 잡았나?
    • 나: 에라, 계속 헛손질이네.
  3. 3. こら。これ
    아이들이나 아랫사람에게 비키거나 그만두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子供や目下の人を退かせたりやめさせたりする時に発する語。
    • 에라, 어서 비켜라.
    • 에라, 이 녀석들! 썩 꺼져라.
    • 에라, 물러서지 못하겠느냐?
    • 에라, 그런 소리는 당장 그만두어라.
    • 에라, 시끄럽게 굴지 말고 저기 가서 놀아라.
  4. 4. えい
    노래할 때 흥겨움이나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歌を歌う時の楽しさを表す語。
    • 에라, 좋구나!
    • 에라, 신나는구나.
    • 에라, 풍악을 울려라!
    • 에라, 어깨춤이 절로 난다.
에러 (error)
명사 名詞
  1. 1. エラー
    틀리거나 잘못된 점. 또는 조심하지 않아 잘못되게 하는 행위.
    間違ったり誤ったりした点。また、気を付けなくて間違いを犯す行為。
    • 에러가 나다.
    • 에러를 바로잡다.
    • 에러를 방지하다.
    • 에러를 범하다.
    • 에러를 인정하다.
    • See More
    • 상대 팀의 에러로 우리 팀이 한 점을 올렸다.
    • 두서없이 늘어놓는 승규의 말에는 에러가 적잖이 있었다.
    • 신입 선수는 뻔히 잡을 수 있는 타구를 잡지 못하는 에러를 범하였다.
    • 가: 미안해, 이번에는 내 실수였어.
    • 나: 너처럼 꼼꼼한 사람도 에러를 저지를 때가 있네.
  2. 2. エラー
    컴퓨터의 잘못된 처리로 생기는 오차.
    コンピューターの間違った処理による誤差。
    • 에러 값.
    • 에러 메시지.
    • 에러가 나타나다.
    • 에러가 발생하다.
    • 에러가 유발되다.
    • See More
    • 컴퓨터에 잘못된 자료를 입력하여 에러가 발생했다.
    • 바이러스에 의한 에러 발생으로 시스템이 전부 멈추었다.
    • 갑자기 컴퓨터가 작동을 멈추면서 에러를 알리는 창이 나타났다.
    • 가: 갑자기 화면이 흔들리고 숫자가 입력이 안 돼.
    • 나: 갑자기 에러가 난 것 같다.
에로
참고 :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へ。に
어떤 행위가 미치는 대상에 방향성을 더하는 조사.
ある行為が及ぶ対象に方向付けをする助詞。
  • 두 국가는 이번 회담을 통해 새로운 동반자의 관계에로 진입했다.
  • 화가는 사랑에 눈뜬 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진정한 예술에로 다가갔다.
  • 지수는 어려운 사람들을 도우며 자신을 돌아보고 성숙에로 한 단계 나아갔다.
  • 우리의 사상은 소수의 자유 실현에서 다수의 자유 실현에로 진보해 가고 있다.
  • 가: 세 시까지는 마을에로 돌아오너라.
  • 나: 세 시는 어렵고 네 시까지는 마을로 돌아가겠습니다.
에로스 (Eros)
명사 名詞
  1. 1. エロス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랑의 신.
    ギリシャ神話で、愛の神。
    • 에로스의 화살.
    • 에로스는 화살을 쏘아 사람들이 서로 사랑에 빠지게 했다.
    • 나는 에로스의 사랑의 화살에 맞은 것처럼 오직 한 사람밖에 보이지 않는다.
    • 나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러 신들 중에서 사랑을 담당하고 있는 에로스가 가장 좋다.
  2. 2. エロス
    성적인 사랑.
    性的な愛。
    • 에로스의 사랑.
    • 에로스는 삶의 의욕을 가지려는 충동을 말한다.
    • 김 교수는 육체적인 사랑인 에로스 역시 사랑의 참모습이라고 설명했다.
    • 사랑의 종류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남녀간의 연애는 에로스에 해당한다.
    • 가: 이번에 본 영화도 결국 연애, 사랑, 삶에 관한 내용이었어.
    • 나: 요즘은 에로스를 빼 놓고는 인생을 말할 수는 없지.
에로티시즘 (eroticism)
명사 名詞
エロティシズム
주로 예술에서, 성적인 느낌이나 분위기를 강조하는 경향.
主に芸術分野において、性的なイメージや雰囲気を強調する傾向。
  • 에로티시즘이 가미되다.
  • 에로티시즘이 강하다.
  • 에로티시즘이 나타나다.
  • 에로티시즘을 드러내다.
  •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다.
  • 그는 에로티시즘이 강한 작품으로 인간의 본성을 자극했다.
  • 화가는 관능적인 육체의 섬세한 묘사를 통해 에로티시즘을 나타냈다.
  • 단순한 성적 쾌락을 위한 외설과 에로티시즘을 표현한 영화는 구분해야 한다.
  • 가: 이 그림을 보고 있으니 묘하게 흥분되는걸?
  • 나: 강렬한 색체가 에로티시즘을 더하고 있어.
에로틱하다 (erotic 하다)
활용 : 에로틱한, 에로틱하여, 에로틱하니, 에로틱합니다
형용사 形容詞
エロチックだ。エロい。にくかんてきだ【肉感的だ】
성적인 욕망이나 감정을 자극하는 데가 있다.
性的な欲望や感情を刺激するところがある。
  • 에로틱한 장면.
  • 에로틱하게 꾸미다.
  • 에로틱함을 연출하다.
  • 분위기가 에로틱하다.
  • 영화가 에로틱하다.
  • See More
  • 나는 결혼 후 첫날밤을 상상하며 에로틱한 상상에 사로잡혔다.
  • 달력 속에는 비키니를 입은 여자가 에로틱하게 나를 보고 있었다.
  • 벽에 걸린 누드가 에로틱했다.
  • 가: 빨간 조명은 너무 강렬하지 않을까요?
  • 나: 에로틱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이게 적당할 것 같아.
  • 문형 : 1이 에로틱하다
에를
참고 :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へ。に
앞의 말이 어떤 행위의 목적지나 도달점임을 나타내는 조사.
前の言葉がある行為の目的地や到達点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저 위에를 한번 보시죠.
  • 요즘 몸이 안 좋아서 내일은 병원에를 다녀와야 할 것 같아.
  • 가: 유민이 어디 갔어요?
  • 나: 주민 등록증을 받는다고 동사무소에를 갔어요.
  • 가: 얘야, 엄마는 어디 가셨니?
  • 나: 시장에를 가셨어요.
에미
명사
어미1
발음 : [어미 ]
명사 名詞
  1. 1. はは【母】。ははおや【母親】
    (낮춤말로) 자식이 있는 여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子どもをもつ女性をやや見下して指したり呼んだりする語。
    • 승규 어미.
    • 어미와 새끼.
    • 어미와 아들.
    • 어미가 아이를 업다.
    • 어미가 혼내다.
    • 아이는 어미 뒤를 졸졸 쫓아다니며 떼를 썼다.
    • 민준 어미는 민준이 밑으로 아이 둘을 더 가질 계획이었다.
    • 가: 유림 어미, 어디를 그렇게 바쁘게 가?
    • 나: 유림이가 학교 끝날 시간이 돼서 마중 가는 길이에요.
  2. 2.
    결혼하여 자식이 있는 딸을 그의 부모가 이르는 말.
    結婚して子どもを持つ娘を、その親が指す語。
    • 어미가 안쓰럽다.
    • 어미를 돌보다.
    • 어미를 보살피다.
    • 어미를 부르다.
    • 어미를 생각하다.
    • 어미야, 조만간 김 서방과 같이 집에 들르도록 해라.
    • 애들 뒷바라지에 고생하는 어미를 보니 철없던 모습은 다 어디로 갔나 싶다.
    • 가: 여보, 어미가 이 서방이랑 이따 저녁에 온다네요.
    • 나: 그래요? 그럼 장 봐 와서 맛있는 거 해 먹여야지요.
  3. 3.
    시부모가 아들에게 아내인 며느리를 이르는 말.
    義父母が自分の息子に対し息子の妻である嫁を指していう語。
    • 어미가 대답하다.
    • 어미가 알뜰하다.
    • 어미가 모시다.
    • 어미를 꾸짖다.
    • 어미를 부르다.
    • 어미야, 사돈어른은 잘 계시느냐?
    • 나는 다른 시어머니들과 달리 어미를 친딸처럼 챙겨 주었다.
    • 가: 어미가 음식을 참 잘하네.
    • 나: 맛있게 드셔 주셔서 감사해요.
  4. 4.
    (낮추는 말로) 자식이 있는 남자가 웃어른 앞에서 자기 아내를 이르는 말.
    子どもをもつ男性が目上の人の前で自分の妻をへりくだっていう語。
    • 어미를 아끼다.
    • 어미를 사랑하다.
    • 어미에게 말하다.
    • 어미와 사이좋다.
    • 어머니, 어미더러 저녁상을 차리라고 할까요?
    • 어르신, 어미는 애들을 학교 보내고 잠깐 시장에 갔습니다.
    • 가: 어미가 해 온 음식 어떠셨어요?
    • 나: 맛있더구나.
  5. 5.
    (낮추는 말로) 어머니가 자식에게 자기 자신을 이르는 말.
    母親が子供に対し自分自身をへりくだっていう語。
    • 어미 마음.
    • 어미 말.
    • 어미 속.
    • 어미 입장.
    • 어미를 이해하다.
    • 너 대체 언제까지 이 어미 말을 안 들을 테냐?
    • 어미가 더 나이가 들기 전에 네가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았으면 좋겠구나.
    • 가: 엄마는 왜 안 드세요?
    • 나: 어미는 괜찮으니 너희들 다 먹으렴.
  6. 6.
    새끼를 낳은 암컷.
    子を産んだ雌。
    • 어미와 새끼.
    • 어미를 잃다.
    • 새끼가 죽자 어미 개는 며칠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
    • 새끼들은 안간힘을 쓰며 어미의 젖을 빨고 있었다.
    • 사냥꾼은 어미를 잃고 우는 코끼리를 발견하였다.
    • 가: 요즘따라 개가 왜 이렇게 짖어 대는 거야?
    • 나: 어미가 되더니 자기 새끼 지키려고 그러는 것 같아.
에밀레종 (에밀레 鐘)
발음 : [에밀레종 ]
명사 名詞
エミレのかね【エミレの鐘】
한국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신라 시대의 종. 한국에 있는 가장 큰 종으로 '에밀레'라고 운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韓国の慶尚北道(キョンサンブクド)の慶州(キョンジュ)市にある新羅時代の鐘。韓国最大の鐘で、鐘をつくと「エミレ」と響いたという伝説からつけられた名前である。
  • ※ 정식 명칭은 '성덕 대왕 신종'이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