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1
어미 語尾
で。であり。であって
둘 이상의 사물이나 사실을 나열하거나 대조할 때 쓰는 연결 어미.
二つ以上の事物や事実を並べたり対照させるのに用いる「連結語尾」。
- 남편은 나에게 둘도 없는 벗이요 좋은 동반자였다.
- 어제는 사월의 마지막 날이요 오늘은 오월의 첫 번째 날이다.
- 오늘 강연은 이 시대의 훌륭한 소설가요 지성인이신 김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 나는 부모님께는 큰아들이요 아내에게는 남편이요 자식에게는 아버지입니다.
- ※ ‘이다’, ‘아니다’ 뒤에 붙여 쓴다.
외환 시장 (外換市場)
がいこくかわせしじょう【外国為替市場】
외국과 거래할 때 쓰는 어음을 사고파는 시장.
外国と取引する時に使用する手形を売買する市場。
- 외환 시장 개입.
- 외환 시장 거래.
- 외환 시장 규모.
- 외환 시장 불안.
- 외환 시장 안정. See More
- 외환이 거래되는 곳은 어디나 외환 시장이다.
- 은행에서 볼 수 있는 외환 취급 창구도 외환 시장이다.
- 무역 적자가 커지면 환율은 치솟고 외환 시장은 불안해진다.
왼
발음 : [왼ː /웬ː ]
관형사 冠形詞
ひだりの【左の】
왼쪽의. 또는 왼쪽에 있는.
左の。または左側にある。
- 왼 눈썹.
- 왼 다리.
- 왼 무릎.
- 왼 발목.
- 왼 손목. See More
- 운동선수는 훈련 때문에 오른 주먹이 왼 주먹보다 컸다.
- 동생은 왼 손목이 다쳐서 컴퓨터 자판을 한 손으로 치려니 힘들었다.
- 나는 왼 얼굴이 오른 얼굴보다 예뻐서 항상 사진을 왼쪽으로 찍는다.
- 반대말 오른
왼발 ★★
발음 : [왼ː발 /웬ː발 ]
명사 名詞
ひだりあし・さそく【左足】
왼쪽 발.
左がわの足。
- 왼발이 아프다.
- 왼발이 크다.
- 왼발을 사용하다.
- 왼발을 쓰다.
- 왼발로 막다. See More
- 그는 공을 찰 때 왼발을 쓴다.
- 그는 오른발보다 왼발이 조금 더 크다.
- 가: 죄송하지만 지금 제 왼발을 밟고 있으신데요.
- 나: 아이고, 정말 죄송합니다.
- 반대말 오른발
왼손 ★★★
발음 : [왼ː손 /웬ː손 ]
명사 名詞
ひだりて【左手】
왼쪽 손.
左がわの手。
- 왼손이 크다.
- 왼손을 내밀다.
- 왼손을 들다.
- 왼손을 사용하다.
- 왼손을 쓰다. See More
- 나는 오른손보다 왼손이 더 예쁘다.
- 나는 글씨를 쓸 때에는 오른손을 사용하지만 그림을 그릴 때에는 왼손을 쓴다.
- 가: 그 여자는 결혼한 것 같더라. 왼손 약지에 반지가 끼여 있었어.
- 나: 그렇구나.
- 반대말 오른손
왼손잡이
발음 : [왼ː손자비 /웬ː손자비 ]
명사 名詞
ひだりきき【左利き】
오른손보다 왼손을 더 많이 쓰거나 잘 쓰는 사람.
右手より左手のほうをよく使う人。または、右手より左手のほうがよくきく人。
- 왼손잡이 선수.
- 왼손잡이 성향.
- 왼손잡이 아이.
- 승규는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왼손잡이이다.
- 왼손잡이 복싱 선수는 왼손 공격이 더 강하다.
- 어느 손을 자주 사용하는가에 따라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구별한다.
- 반대말 오른손잡이
왼쪽 ★★★
발음 : [왼ː쪽 /웬ː쪽 ]
활용 : 왼쪽이[왼ː쪼기/ 웬ː쪼기], 왼쪽도[왼ː쪽또/ 웬ː쪽또], 왼쪽만[왼ː쫑만/ 웬ː쫑만]
명사 名詞
ひだりがわ【左側】
사람이 북쪽을 보고 있을 때 서쪽과 같은 쪽.
人が北側に向かっている時、西側と同じ側。
- 왼쪽 가슴.
- 왼쪽 귀.
- 왼쪽 눈.
- 왼쪽 눈썹.
- 왼쪽 다리. See More
- 무대의 왼쪽에는 커다란 나무가 한 그루 서 있었다.
- 남자는 심장이 아프다며 왼쪽 가슴을 잡고 고통스러워했다.
- 신사는 양복 왼쪽 주머니에 꽂혀 있던 손수건을 꺼내어 땀을 닦았다.
- 김 선생님은 왼쪽 손목에 차고 있던 시계를 풀어 책상 위에 올려놓았다.
- 남자 주인공은 버스에서 내린 다음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걸어갔다.
- 가: 화장실이 어디예요?
- 나: 저 앞에서 왼쪽으로 쭉 가시면 보여요.
왼팔
발음 : [왼ː팔 /웬ː팔 ]
왼편 (왼 便) ★★
발음 : [왼ː편 /웬ː편 ]
요1 ★★
발음 : [요 ]
명사 名詞
しきぶとん【敷布団】
사람이 앉거나 누울 때 바닥에 까는 것.
人が座ったり寝たりするとき、床に敷くもの。
- 이불과 요.
- 요를 개다.
- 요를 깔다.
- 요를 널다.
- 요를 빨다. See More
- 지수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이불과 요를 갠다.
- 깨끗하게 빤 요를 깔고 이불을 덮으니 잠이 잘 왔다.
- 여자는 두꺼운 요가 아니면 등이 아파서 잘 수 없다고 투덜댔다.
요2
발음 : [요 ]
명사 名詞
ヨ
한글 자모 ‘ㅛ’의 이름.
ハングル字母の「ㅛ」の名称。
요3 ★★
발음 : [요 ]
관형사 冠形詞
- 1. この。これ(낮잡아 이르거나 귀엽게 이르는 말로)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話し手の近くにあるか、話し手が考えている対象を卑しめて、また、親しんでいう語。
- 요 귀여운 것이 할미를 놀리는구나!
- 요 조그마한 녀석이 제법일세.
- 고작 요 물건 하나로 내 생각을 바꾸겠다고? 어림없는 소리!
- 요 아이는 누구냐? 나는 처음 보는 아이인데.
- 2. この。これ(낮잡아 이르거나 귀엽게 이르는 말로)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今話したばかりの対象を卑しめて、また、親しんでいう語。
- 방금 내가 한 말, 요 말은 평생 비밀로 간직해 줘.
- 그들은 서로를 믿지 못하고 있는데 바로 요 부분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 맵지만 당기는 맛, 손님들은 요 맛을 잊을 수가 없다며 계속 우리 식당을 찾는다.
- 가: 네가 그렇게 운동을 잘한다면서?
- 나: 아니에요. 달리기랑 축구 요 두 가지만 잘해요.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요 모양 요 꼴
요4
조사 助詞
- 1. です。ます높임의 대상인 상대방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敬う対象である相手に尊敬の意を表す助詞。
- 오늘 날씨가 참 좋군요.
- 내일 점심 같이 먹을까요?
- 벌써 공연이 시작되었는걸요.
- 남기지 않고 다 먹었지요?
- ※ 주로 두루 낮춤으로 쓰는 종결 어미나 일부 예사 낮춤으로 쓰는 종결 어미 뒤에 붙여 쓴다.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상대에게는 잘 쓰지 않는다.
- 2. です。ですね높임의 대상인 상대방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敬う対象である相手に尊敬の意を表す助詞。
- 빨리요, 버스가 떠나겠어요.
- 승규가요, 저한테요, 화를 냈어요.
- 가: 빨리 뛰어오세요.
- 나: 왜요? 무슨 일이에요?
- 가: 아들아, 점심은 뭐 먹었니?
- 나: 라면요.
- ※ 명사, 부사어, 연결 어미 뒤에 붙여 쓴다.
요-2 (要)
참고 : 서술성을 가지는 대다수 명사 앞에 붙는다.
접사 接辞
よう【要】
'그것이 필요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それを必要とする」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요시찰
- 요주의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구서, 요구자, 요구하다, 요금, 요금소, 요금표, 요기¹, 요기², 요기조기, 요기하다 (0) | 2020.02.06 |
---|---|
요가, 요강¹, 요강², 요거, 요건, 요것, 요괴, 요구, 요구되다, 요구르트 (0) | 2020.02.06 |
외항선, 외향, 외향적¹, 외향적², 외형, 외형적¹, 외형적², 외화¹, 외화², 외환 (0) | 2020.02.06 |
외투, 외판원, 외팔이, 외표, 외풍, 외피,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항¹, 외항² (0) | 2020.02.06 |
외출혈, 외치-, 외치다, 외침¹, 외침², 외탁, 외탁하다, 외토리, 외톨박이, 외톨이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