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죠
어미 語尾
  1. 1. 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확인하며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話し手の考えでは聞き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と判断し、それについて聞き手に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오늘 본 영화는 좀 지루했.
    • 며칠 뒤면 벚꽃이 활짝 피겠.
    • 우리 지난해 제주도에서 아주 즐거웠.
    • 가: 이 부침개 정말 맛있네.
    • 나: 당연하. 누가 만들었는데.
    •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2. 2. 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확인하듯이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すでに知っていることを改めて確認するように尋ね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오늘 날씨가 참 좋?
    • 하루 종일 일하느라 피곤하셨?
    • 요새 결혼 준비를 하느라 바쁘시?
    • 가: 제 여자 친구 정말 예쁘?
    • 나: 응. 네가 말한 대로 정말 미인이네.
    •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3. 3. ますよ。ですよ。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자신에 대한 이야기나 자신의 생각을 친근하게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話し手が自分に関する話や自分の考えを親しみをこめて述べ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저희 아버지는 정말 따뜻하신 분이었.
    • 저와 승규는 오랜 친구라 서로를 잘 알.
    • 지금은 교사를 하고 있지만 제 어릴 적 꿈은 가수였.
    • 가: 주말에 뭐 했어요?
    • 나: 저는 집에서 책을 좀 봤. 언니는요?
    •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4. 4. ますか。ですか。でしょうか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친근함을 나타내며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話し手が聞き手に親しみを表明しながら尋ね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지금 몇 시?
    • 이 사과는 얼마?
    • 승규는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
    • 가: 아이가 참 예쁘네요. 아이가 몇 살이?
    • 나: 이제 세 살이에요.
    •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5. 5. ましょう (略待上称)
    (두루높임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기를 권유할 때 쓰는 종결 어미.
    聞き手にある行動を一緒にしようと誘う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커피 한 잔 드시.
    • 비가 와요! 빨리 빨래를 걷!
    • 일찍 출발해야 되니 그만 일어나.
    • 가: 시간이 늦었으니 우리도 이만 돌아가.
    • 나: 그러자꾸나. 시간이 벌써 이렇게 되었네.
    • ※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6. 6. ればよかったです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원했던 것을 말하며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은 아쉬움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 話し手が願っていたことを述べながら、願い通りにならなくて残念だ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그러니까 조금 일찍 일어나. 늦었잖아요.
    • 이렇게 갑자기 오시다니, 전화라도 하시고 오시.
    • 몸도 안 좋으신데 집에서 쉬시. 왜 무리하셨어요.
    • 가: 어제 과음했는지 속이 쓰려.
    • 나: 그러니까 적당히 마시.
    • ※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본말 -지요
-주4 (主)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接辞
  1. 1. しゅ【主】
    ‘주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主体」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고용
    • 광고
    • 소유
  2. 2. しゅ・ぬし【主】
    ‘소유권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所有権を持っている人」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공장
    • 구단
    • 기업
    • 농장
-주5 (酒)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しゅ【酒】
‘술’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酒」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과실
  • 과일
  • 매실
  • 이별
  • 인삼
  • See More
죔죔1
발음 : [죔ː죔 /쥄ː쥄 ]
명사 名詞
にぎにぎ【握握】
젖먹이가 두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
赤ん坊が両手を握ったり広げたりする動作。
  • 죔죔 놀이.
  • 죔죔 동작.
  • 죔죔을 떼다.
  • 죔죔을 배우다.
  • 죔죔을 하다.
  • 십 개월이 되니 지수가 죔죔을 곧잘 따라한다.
  • 아기가 처음에는 죔죔을 흉내내다가도 다시 짝짜꿍을 해버렸다.
  • 가: 이것 보세요. 우리 아기가 죔죔을 해요.
  • 나: 와. 작은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게 정말 귀여워요.
죔죔2
발음 : [죔ː죔 /쥄ː쥄 ]
감탄사 感動詞
にぎにぎ【握握】
젖먹이에게 두 손을 쥐었다 폈다 하라고 내는 소리.
赤ん坊に両手を握ったり広げたりさせるときにいう語。
  • 우리 아기, 곤지곤지 죔죔!
  • 아빠 따라서 주먹 죔죔!
  • 가: 지수야! 도리도리 죔죔! 곤지곤지 죔죔!
  • 나: 아기가 잘 따라하네요.
죗값 (罪 값)
발음 : [죄ː깝 /줻ː깝 ]
활용 : 죗값이[죄ː까비/ 줻ː까비], 죄값도[죄ː깝또/ 줻ː깝또], 죗값만[죄ː깜만/ 줻ː깜만]
명사 名詞
つみのつぐない【罪の償い】
지은 죄에 대하여 치르는 대가.
犯した罪に対して行う埋め合わせ。
  • 무서운 죗값.
  • 죗값이 무겁다.
  • 죗값을 물리다.
  • 죗값을 받다.
  • 죗값을 치르다.
  • 김 사장의 해임은 거짓말에 대한 죗값치고는 큰 편이었다.
  • 아버지는 죄가 크든 작든 누구든지 죄가 있다면 죗값을 받아야 한다고 하셨다.
  • 가: 죄를 지었으니 죗값은 치러야죠.
  • 나: 네, 제가 잘못했으니 어떤 벌이든 달게 받겠습니다.
1 (主)
발음 : [주 ]
명사 名詞
しゅ【主】
기본이나 중심이 되는 것.
基本や中心となること。
  • 가 되다.
  • 가 비다.
  • 를 구성하다.
  • 를 맡다.
  • 를 이루다.
  • 우리 팀이 가 되서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 이번 전시회는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이 를 이뤘다.
  • 가: 콩이 가 되는 요리에 뭐가 있을까?
  • 나: 두부를 이용한 요리가 있지.
2 (株)
발음 : [주 ]
명사 名詞
  1. 1. かぶ【株】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株式会社の資本を構成する単位。
    • 회사의 .
    • 를 구입하다.
    • 를 보유하다.
    • 를 사다.
    • 를 팔다.
    • 김 사장은 자신의 회사 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 주가가 오르자 투자자들은 서둘러 주를 팔아 치우기 시작했다.
    • 가: 괜찮은 식이 있나요?
    • 나: 네, 신생 회사인데 지금 를 사두면 나중에 많은 이익을 얻을 거예요.
  2. 2. かぶ【株】
    주주가 출자한 금액에 대하여 발행하는 유가 증권.
    株主が出資した金額に対して発行する有価証券。
    • 를 발행하다.
    • 회사는 를 발행했다.
    • 승규는 자신이 산 주식에 대한 주를 받았다.
  3. 3. かぶ【株】
    주식이나 주권을 세는 단위.
    株式や株券を数える単位。
    • .
    • 삼십 .
    • 여러 .
    • 오만 .
    • 나는 그 회사의 주식을 오십 주 샀다.
    • 오늘 하루 주식의 거래량은 삼만 주에 달했다.
    • 가: 이 회사 식을 사고 싶은데 너무 비싸.
    • 나: 그럼 한 씩만 사서 조금씩 모아.
    •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4. 4. かぶ【株】
    ‘주식회사’의 뜻을 나타내는 표시.
    「株式会社」の意を表す表示。
    • 그의 명함에는 '() 삼일기업'이라고 적혀 있었다.
    • '()대산'은 직원이 삼천 명에 달하는 식품 회사였다.
    • ※ 회사 이름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쓴다.
  5. 5. かぶ【株】
    ‘주식’의 뜻을 나타내는 말.
    「株式」の意を表す語。
    • 대량
    • 우량
    • 작전
    • 전환
    • ※ 일부 명사 뒤에 붙여 쓴다.
3 (週) ★★★
발음 : [주 ]
명사 名詞
しゅう【週】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칠 일 동안.
月曜日から日曜日までの7日間。
  • 다음 .
  • 이번 .
  • 저번 .
  • 오 일 근무.
  • 중에.
  • See More
  • 이번 는 시험 기간이라 나는 무슨 일이 있어도 공부만 할 계획이다.
  • 선생님은 주마다 그 주에 가장 착한 일을 많이 한 학생에게 상을 주었다.
  • 다음 월요일이 아내 생일이라서 오늘 저녁에는 생일 선물을 사러 갈 생각이다.
  • 가: 너희 회사 토요일에는 쉬니?
  • 나: 응, 오 일 근무라서 토요일하고 일요일에는 쉴 수 있어.
4 (註/注)
발음 : [주ː ]
명사 名詞
ちゅう【注・註】
글이나 말의 어떤 부분에 대하여 그 뜻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써 넣은 글.
文章や言葉のある部分に対し、その意味を詳しく説明しておいた文句。
  • 가 빠지다.
  • 를 달다.
  • 를 보다.
  • 를 읽다.
  • 를 참조하다.
  • 나는 에 인용 구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썼다.
  • 학생들은 논문의 본문과 의 내용을 꼼꼼하게 읽었다.
  • 가: 이 부분에는 보충 설명이 더 필요할 듯한데요.
  • 나: 보충 설명으로 밑에 따로 를 달아 놓았어요.
5 (週) ★★★
발음 : [주 ]
의존 명사 依存名詞
しゅう【週】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칠 일 동안을 묶어 세는 단위.
月曜日から日曜日までの7日間を一区切りとして数える単位。
  • 두세 .
  • .
  • 어느 .
  • .
  • 후에 봅시다.
  • 나는 답장이 올 때까지 몇 를 초조하게 기다렸다.
  • 한 주가 끝나고 새 주가 시작되는구나.
  • 가: 언제부터 학교가 시작됐죠?
  • 나: 이 전부터죠.
6 (主)
발음 : [주 ]
관형사 冠形詞
しゅたる【主たる】。おもな【主な】
기본이나 중심이 되는.
基本や中心となるさま。
  • 무기.
  • 사업.
  • 업무.
  • 역할.
  • 전략.
  • 내가 미국에 온 목적은 여행이 아니라 영어 공부이다.
  • 이십 대 여성을 고객으로 하는 화장품 산업이 크게 성장했다.
  • 가: 대표 팀의 성적이 계속 부진한 상태입니다.
  • 나: 감독의 잦은 교체가 원인으로 보입니다.
주-1
(주는데, 주니, 주는, 준, 줄, 줍니다)→줄다
줄다 ★★★
발음 : [줄ː다 ]
활용 : 줄어[주ː러], 주니[주ː니], 줍니다[줌ː니다]
동사 動詞
  1. 1. へる【減る】。げんしょうする【減少する】。ちぢむ【縮む】
    물체의 길이나 넓이, 부피 등이 원래보다 작아지다.
    物の長さや広さ、かさなどが元の水準より小さくなる。
    • 길이가 줄다.
    • 면적이 줄다.
    • 몸무게가 줄다.
    • 옷이 줄다.
    • 크게 줄다.
    • 스웨터를 세탁기에 넣고 돌렸더니 크기가 확 줄었다.
    • 사무실에 물품들을 이것저것 들여놓으니 사무실 면적이 준 것만 같다.
    • 가: 유민아, 오랜만에 보니 너 마른 것 같다.
    • 나: 예전에 우리가 만났을 때보다 몸무게가 줄긴 했어.
  2. 2. へる【減る】。げんしょうする【減少する】。さがる【下がる】。おちる【落ちる】 
    수나 양이 원래보다 적어지다.
    数や量が元の水準より少なくなる。
    • 물량이 줄다.
    • 생산량이 줄다.
    • 손님이 줄다.
    • 수요가 줄다.
    • 수입이 줄다.
    • See More
    • 그는 이직을 한 후 수입이 줄었다.
    • 올해는 가뭄으로 곡식의 생산량이 대폭 줄었다.
    • 동생이 시집을 가자 식구 한 명만 준 것인데도 집이 허전하다.
    • 우리 마을은 젊은 사람들이 다 서울로 떠나서 살고 있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
    • 가: 이 식당 주인이 바뀌어서 그런지 음식 맛이 예전 같지 않은데요?
    • 나: 그렇지? 맛이 바뀌니 손님도 눈에 띄게 줄더라고.
  3. 3. へる【減る】。げんしょうする【減少する】。おちる【落ちる】
    힘이나 세력 등이 원래보다 못하게 되다.
    力や勢力などが元の水準より弱くなる。
    • 기운이 줄다.
    • 노동력이 줄다.
    • 세력이 줄다.
    • 속력이 줄다.
    • 힘이 줄다.
    • See More
    • 사고로 몇 달을 병원에 있었던 그는 힘이 매우 줄어 있었다.
    • 지수는 요새 부쩍 기운이 준 아버지를 보고 가슴 한 켠이 저려 왔다.
    • 이 선수는 체중이 증가한 후로 공을 던지는 속력이 줄어서 경기마다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 가: 올해 들어서 우리 모임의 세력이 준 것 같아요.
    • 나: 그러게요. 회원들도 모임에 많이 빠지네요.
    • 문형 : 1이 줄다
    • 반대말 늘다
  4. 4. へる【減る】。げんしょうする【減少する】。おとろえる【衰える】。よわまる【弱まる】
    재주나 능력, 실력 등이 원래보다 못하게 되다.
    技や能力、実力などの水準が元の水準より落ちてくる。
    • 계산 실력이 줄다.
    • 능력이 줄다.
    • 연주 실력이 줄다.
    • 재주가 줄다.
    • 서서히 줄다.
    • 나이가 드니까 기억력이 눈에 띄게 준다.
    • 한동안 운전을 하지 않아서 운전 실력이 상당히 줄었다.
    • 가: 한 달 동안 영어에 손을 놓고 있었더니 회화 실력이 많이 줄었어.
    • 나: 그래서 외국어는 꾸준히 해야 하는 건데.
    • 문형 : 1이 줄다
    • 반대말 늘다
  5. 5. まずしくなる【貧しくなる】。くるしくなる【苦しくなる】
    살림이 어려워지거나 원래에 못하여지다.
    暮らしが貧しくなるか、元の水準より悪くなる。
    • 살림이 줄다.
    • 살림살이가 줄다.
    • 형편이 줄다.
    • 갑자기 줄다.
    • 허 씨는 나날이 주는 살림살이를 보며 한숨만 쉬었다.
    • 그녀는 남편의 사업 실패로 갑자기 살림이 줄자 적응을 하지 못했다.
    • 가: 요즘 너희 집이 힘들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괜찮니?
    • 나: 형편이 줄었어도 먹고 살 수는 있으니 걱정 마.
    • 문형 : 1이 줄다
    • 반대말 늘다
  6. 6. へる【減る】。げんしょうする【減少する】。ちぢむ【縮む】
    시간이나 기간이 짧아지다.
    時間や期間が短くなる。
    • 근무 시간이 줄다.
    • 수면 시간이 줄다.
    • 시험 기간이 줄다.
    • 연수 기간이 줄다.
    • 영업 시간이 줄다.
    • 우리 회사는 다음 달부터 근무 시간이 준다.
    • 올해부터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기간이 사흘로 줄었다.
    • 가: 우리 동네에 있는 호프에 가서 맥주 한잔 하자.
    • 나: 거기 지난 달부터 영업 시간이 줄어서 우리가 가면 금방 문을 닫을 거야.
    • 문형 : 1이 줄다
    • 반대말 늘다
주-2
(주고, 주는데, 주니, 주면, 주는, 준, 줄, 줍니다)→주다¹, 주다²
주다1 ★★★
발음 : [주다 ]
활용 : 주는, 주어(줘[줘ː]), 주니, 줍니다[줌니다]
동사 動詞
  1. 1. あたえる【与える】。やる【遣る】。くれる【呉れる】。あげる【上げる】
    물건 등을 남에게 건네어 가지거나 쓰게 하다.
    物などを他人に渡して持たせたり使わせたりする。
    • 가방을 주다.
    • 공책을 주다.
    • 먹이를 주다.
    • 선물을 주다.
    • 집어서 주다.
    • See More
    • 언니가 동생에게 연필을 주었다.
    • 아이는 엄마가 준 용돈을 가지고 장난감 가게로 달려갔다.
    • 그는 주위를 둘러보더니 책 한 권을 집어 그녀에게 주었다.
    • 가: 이건 뭐니?
    • 나: 친구가 저에게 준 선물이에요.
  2. 2. あたえる【与える】
    시간 따위를 남에게 허락하여 가지거나 누리게 하다.
    時間などを人に許して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
    • 너에게 3일의 시간을 주겠다.
    • 바쁜 일상이지만 나는 나 자신에게 여유를 주려고 노력한다.
    • 나에게 며칠 말미를 주면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 가: 어떻게 숨 쉴 틈도 주지 않고 일을 시켜?
    • 나: 미안해. 그렇지만 시간이 정말 촉박해서 나도 어쩔 수가 없어.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3. 3. あたえる【与える】。やる【遣る】。くれる【呉れる】。あげる【上げる】
    남에게 어떤 자격이나 권리, 점수 등을 가지게 하다.
    人にある資格や権利、点数などを持たせる。
    • 가산점을 주다.
    • 결정권을 주다.
    • 선거권을 주다.
    • 선택권을 주다.
    • 투표권을 주다.
    • See More
    • 그들은 학생들에게 이 일에 대한 결정권을 주었다.
    • 선배들은 후배들에게 선택권을 주어 엠티 장소를 고르게 하였다.
    • 가: 선생님, 문제 풀이 과정도 꼭 써서 내야 하나요?
    • 나: 네, 풀이 과정을 잘 쓴 학생들에게 추가 점수를 줄 겁니다.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4. 4. あたえる【与える】
    남에게 어떤 역할을 가지게 하다.
    人にある役割を課す。
    • 너에게 중요한 임무를 주겠다.
    • 가: 이 대리. 나라고 그 임무를 당신에게 주는 것이 즐거울 것 같습니까?
    • 나: 글쎄요. 저도 아니라고 믿고 싶습니다. 부장님.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5. 5. あたえる【与える】。くわせる【食わせる】。こうむらせる【被らせる】
    남에게 어떤 일이나 감정을 겪게 하거나 느끼게 하다.
    人にある事や感情などを経験させたり感じさせたりする。
    • 고통을 주다.
    • 기쁨을 주다.
    • 상처를 주다.
    • 안정을 주다.
    • 어머니는 동생과 싸웠다고 나에게 핀잔을 주셨다.
    • 그의 흉측한 모습은 여자에게 공포감을 주었다.
    • 민준이의 따뜻한 말은 유민이에게 평안을 주었다.
    • 가: 왜 그렇게 친구한테 화를 낸 거야?
    • 나: 나에게 무안을 준 것에 화가 많이 났었어.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6. 6. くりだす【繰り出す】
    실이나 줄 등을 풀리는 쪽으로 더 풀다.
    糸や縄などを繰って引き出す。
    • 실을 주다.
    • 연줄을 주다.
    • 줄을 주다.
    • 길게 주다.
    • 주다.
    • 아빠는 타래를 풀어 연줄을 더 주셨다.
    • 지수는 물건을 묶을 끈이 모자란 듯하여 조금 더 주었다.
    • 가: 연이 높이 안 난다.
    • 나: 연줄을 좀 더 줘야 높이 날지.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7. 7. あたえる【与える】
    남에게 경고, 암시 등을 하여 어떤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다.
    人に警告、暗示などをして、あることを分からせる。
    • 수업 시간에 친구 한 녀석이 계속 떠들자 선생님께서 그에게 주의를 주셨다.
    • 가: 왜 갑자기 남자친구랑 헤어지게 된 거야?
    • 나: 나도 모르겠어. 그 사람은 나에게 어떠한 여지도 주지 않고 떠났어.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8. 8. やる【遣る】
    시선이나 몸짓 등을 어떤 곳으로 향하다.
    視線や身振りなどをある方向に向ける。
    • 눈을 주다.
    • 눈길을 주다.
    • 시선을 주다.
    • 잠깐 주다.
    • 그는 아이에게 주던 시선을 이내 거두었다.
    • 아이가 이야기를 하다 말고 하늘로 눈을 주었다.
    • 지수는 승규가 눈길을 주는 곳으로 고개를 돌렸다.
    • 가: 승규가 지수한테 관심이 있나 봐.
    • 나: 맞아, 자꾸 눈길을 지수한테 주던데.
    • 문형 : 1이 2에/에게/로 3을 주다
  9. 9. うつ【打つ】
    주사나 침 등을 놓다.
    注射や鍼などを刺し入れる。
    • 주사를 주다.
    • 침을 주다.
    • 살살 주다.
    • 아프게 주다.
    • 한의사는 민준이의 다친 다리에 침을 주기 시작했다.
    • 간호사가 엉덩이에 주사를 주려고 하자 겁을 먹은 아이가 울기 시작했다.
    • 가: 이제 주사를 줄 거니까 엉덩이에 힘 빼세요.
    • 나: 아프지 않게 살살 놔 주세요.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10. 10. いれる【入れる】。だす【出す】
    속력이나 힘 등을 더하다.
    速力や力などを加える。
    • 속력을 주다.
    • 힘을 주다.
    • 주다.
    • 주다.
    • 그는 속력을 주어 다른 차를 추월했다.
    • 지수는 그의 옷자락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손에 힘을 꽉 주었다.
    • 가: 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는데 이제 어떻게 하면 되죠?
    • 나: 자, 천천히 페달을 밟아 차에 속력을 주세요.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11. 11. ゆるす【許す】
    남에게 정을 베풀거나 마음을 열다.
    人に人情を施したり心を開いたりする。
    • 마음을 주다.
    • 사랑을 주다.
    • 정을 주다.
    • 오래 주다.
    • 한없이 주다.
    • 그는 아무리 친한 친구에게도 쉽게 마음을 주지 않는다.
    • 지수는 한 번 정을 주기 시작하면 한없이 주는 성격이다.
    • 유민이는 승규에게 마음을 준 기간이 길었던 만큼 실망감도 컸다.
    • 가: 여자 친구랑 헤어지고 나서는 좀 어때?
    • 나: 난 걔한테 사랑을 주었지만 이제 상처뿐이야.
    • 문형 : 1이 2에/에게 3을 주다
관용구 · 속담(2)
주다2
발음 : [주다 ]
활용 : 주는[주는], 주어[주어](줘[줘ː]), 주니[주니], 줍니다[줌니다]
보조 동사 補助動詞
くれる【呉れる】。あげる【上げる】。やる【遣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이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が表す行動が他人の行動に影響することを表す語。
  • 부족한 저를 항상 바른 길로 이끌어 주시는 선생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 지수는 부모님께서 외출하신 동안 동생을 돌보아 주었다.
  • 크리스마스 때 아내는 나에게 따뜻한 목도리를 선물해 줬다.
  • 가: 오늘 즐거웠어. 파티에 초대해 줘서 고마워.
  • 나: 아니야. 네가 와 줘서 정말 기뻤어.
주-3 (駐)
참고 : 국명을 나타내는 대다수 명사 또는 그 명사의 축약형 앞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ちゅう【駐】
‘그 나라에 머물러 있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その国に留まっている」という意を添加する接頭辞。
주가 (株價)
발음 : [주까 ]
명사 名詞
かぶか【株価】
주식 시장의 시세에 따라 결정되는 주식의 가격.
株式市場で形成される相場に基づいて決定される株式の価格。
  • 주가 폭락.
  • 주가 회복.
  • 주가가 내리다.
  • 주가가 떨어지다.
  • 주가가 오르다.
  • 국내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주가도 완만한 상승세로 돌아섰다.
  • 불안정한 세계 경제로 인해 전 세계 주식 시장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 가: 박 과장은 어떻게 갑자기 돈을 벌었대?
  • 나: 주가가 엄청 오르면서 큰 이익을 본 모양이야.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