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자 (後繼者)
발음 : [후ː계자 /후ː게자 ]
명사 名詞
こうけいしゃ【後継者】。あとつぎ【後継ぎ】
어떤 일이나 사람의 뒤를 잇는 사람.
業務や家の後を継ぐ人。
- 후계자를 두다.
- 후계자를 양성하다.
- 후계자를 찾다.
- 후계자로 삼다.
- 후계자에게 맡기다.
- 그는 사업을 이을 실력 있는 후계자를 찾고 있다.
- 딸은 아버지를 이어 후계자 자리에 올라 여왕이 되었다.
- 가: 회장님이 아들을 후계자로 삼겠다고 발표했대.
- 나: 우리 회사에서 일해 본 적도 없는 사람인데 괜찮을까?
- 유의어 후계
후고구려 (後高句麗)
발음 : [후ː고구려 ]
명사 名詞
ごこうくり【後高句麗】
한반도에 있던 나라. 궁예가 901년에 송도를 수도로 하여 세웠으며 후백제, 신라와 함께 후삼국을 이루었다가 918년에 고려에 멸망하였다.
韓半島にあった国。弓裔(クンイェ)が901年に松都(ソンド)を首都として建国し、後百済と新羅とともに後三国になったが、918年に高麗によって滅亡した。
후광 (後光)
발음 : [후ː광 ]
명사 名詞
ごこう【後光】
(비유적으로) 어떤 사물을 더욱 빛나게 하거나 돋보이게 하는 배경.
(比喩的に)あるものをさらに輝かせたり、目立たせる光背。
- 든든한 후광.
- 가문의 후광.
- 후광을 벗어나다.
- 후광을 입다.
- 후광을 지니다.
- 그는 돈 많은 아버지의 후광을 입어 사업을 시작했다.
- 그는 집안의 후광으로 처음부터 회사의 높은 자리를 꿰찼다.
- 가: 저 사람은 가문의 후광 덕에 별다른 고생 없이 저 자리에까지 올랐지.
- 나: 참 불공평한 세상이구먼.
후궁 (後宮)
발음 : [후ː궁 ]
명사 名詞
- 1. こうきゅう【後宮】왕이 아내 외에 데리고 사는 여자.后妃や奉仕する女官。
- 후궁이 되다.
- 후궁을 간택하다.
- 후궁을 거느리다.
- 후궁을 들이다.
- 후궁으로 들어오다.
- 왕이 후궁을 들이자 왕비는 못마땅해했다.
- 왕은 후궁에 빠져 나랏일을 돌보지 않았다.
- 가: 고려의 충혜왕은 백 명이 넘는 후궁을 거느렸다고 전해져요.
- 나: 백 명이요? 정말 많은 후궁을 들였군요.
- 2. こうきゅう【後宮】중심이 되는 궁궐의 뒤쪽에 있는 궁궐.宮中の後ろ側にある奥御殿。
- 후궁을 짓다.
- 후궁에 거처하다.
- 후궁으로 옮기다.
- 왕은 나랏일을 하지 않을 때는 후궁에 거처했다.
- 으리으리한 궁궐 뒤편으로는 아기자기한 후궁들이 들어서 있었다.
후기1 (後記)
발음 : [후ː기 ]
명사 名詞
こうき【後記】。 あとがき【後書き】
본문 끝에 덧붙여 기록함. 또는 그런 글.
本文の後ろに記すこと。また、その文。
- 후기를 기록하다.
- 후기를 붙이다.
- 후기를 쓰다.
- 후기를 읽다.
- 후기를 하다.
- 작가는 부연 설명을 위해 끝에 후기를 써 놓았다.
- 민준이는 후기를 읽고 나서야 책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
- 가: 이 소설은 결말이 안 나와 있네?
- 나: 책 끝에 있는 후기를 봐. 거기에 쓰여 있어.
후기2 (後期) ★
발음 : [후ː기 ]
명사 名詞
- 1. こうき【後期】일정 기간을 둘이나 셋으로 나누었을 때의 맨 뒤 기간.ある期間をいくつかに分けた際の一番後ろの期間。
- 조선 후기.
- 축제 후기.
- 후기가 되다.
- 후기로 가다.
- 조선 시대는 큰 전쟁을 계기로 전기와 후기로 갈라졌다.
- 이전 왕조는 후기로 갈수록 민심을 잃어 통치자의 세력이 약해졌다.
- 가: 전기 신입생 모집에서 안타깝게 떨어졌다며?
- 나: 네, 후기 신입생 모집 기간에 다시 지원해 보려고요.
- 2.뒷날에 하기로 한 약속.後日、守るとした約束。
- 후기를 깨다.
- 후기를 따르다.
- 후기를 믿다.
- 후기를 지키다.
- 국회 의원은 후기를 지키지 않아 국민들의 비난을 받았다.
- 그는 친구들과 십년 전에 한 후기를 위해 약속 장소로 갔다.
후끈
발음 : [후끈 ]
부사 副詞
- 1. ぽっと열을 받아서 갑자기 뜨거워지는 모양.熱を受けて急に熱くなるさま。
- 후끈 달다.
- 후끈 달아오르다.
- 후끈 뜨겁다.
- 후끈 오르다.
- 술을 마시자 두 뺨이 후끈 달아올랐다.
- 나는 영화에서 야한 장면을 보고 얼굴이 후끈 붉어졌다.
- 뜨겁고 매운 국물을 마시자 목구멍이 후끈 불이 붙는 것 같았다.
- 가: 지수한테 좋아하는 남자가 있냐고 물었더니 말은 못하고 두 볼만 후끈 달아오르던데?
- 나: 그럼 좋아하는 남자가 있긴 한가 보네.
- 작은말 화끈
- 2. かっと。かっかと흥분이나 긴장 등이 거세어지는 모양.興奮や緊張などが高まるさま。
- 후끈 달구다.
- 후끈 달다.
- 후끈 달아오르다.
- 후끈 달아오른 분위기.
- 그 가수의 열정적인 공연은 공연장을 후끈 달구었다.
- 경기장은 양 팀의 응원 열기로 후끈 뜨겁게 달아올랐다.
- 대선을 앞두고 인터넷상에서는 벌써 선거전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 가: 토론자가 인신공격을 하니까 토론장이 후끈 달아올랐어.
- 나: 그러게. 다들 말투도 거칠어지고 있어.
- 작은말 화끈
후끈거리다
발음 : [후끈거리다 ]
후끈대다
발음 : [후끈대다 ]
후끈하다1
발음 : [후끈하다 ]
동사 動詞
かっかとする。ひりつく【ひり付く】
열을 받아서 갑자기 뜨거워지다.
熱を受けて急に熱くなる。
- 후끈하는 기운.
- 후끈하는 느낌.
- 몸이 후끈하다.
- 볼이 후끈하다.
- 속이 후끈하다. See More
- 뜨거운 음식을 먹으니 입 안이 후끈했다.
- 여름 밤의 후끈하는 열기가 공연장 안을 가득 채웠다.
- 가: 이 파스를 붙이니까 발목이 후끈하네.
- 나: 열을 내는 파스야.
- 문형 : 1이 후끈하다
- 작은말 화끈하다¹
후끈하다2
발음 : [후끈하다 ]
활용 : 후끈한[후끈한], 후끈하여[후끈하여](후끈해[후끈해]), 후끈하니[후끈하니], 후끈합니다[후끈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むんむんする
열을 받아서 갑자기 뜨거워지는 느낌이 있다.
熱を受けて急に熱くなる感じがすること。
- 후끈한 방.
- 열기가 후끈하다.
- 바람이 후끈하다.
- 얼굴이 후끈하다.
- 분위기가 후끈하다.
- 여름의 습하고 후끈한 날씨에 모두들 지쳐갔다.
- 사람들의 열정적인 관심으로 대회는 후끈한 분위기를 이어갔다.
- 사우나에 들어가니 온몸이 후끈하게 뜨거워졌다.
- 가: 이 지역은 바람마저도 후끈하네요.
- 나: 그렇죠? 좀 더 지내셔야 익숙해지실 거예요.
- 문형 : 1이 후끈하다
- 작은말 화끈하다²
후끈후끈
발음 : [후끈후끈 ]
부사 副詞
ぽかぽか
열을 받아서 갑자기 자꾸 뜨거워지는 모양.
熱を受けて急に熱くなり続けるさま。
- 후끈후끈 내리쬐다.
- 후끈후끈 달구다.
- 후끈후끈 달아오르다.
- 후끈후끈 뜨겁다.
- 후끈후끈 부어 오르다.
- 삔 발목이 후끈후끈 뜨겁고 또 엄청 부어 올랐다.
- 8월의 태양은 온 도시를 후끈후끈 뜨겁게 달궜다.
- 후끈후끈 분위기가 달아오르자 사람들은 무대에 올라가 춤을 추기 시작했다.
- 가: 후끈후끈 달궈진 불판에 오징어를 올려 볼게요.
- 나: 정말 맛있겠네요.
- 작은말 화끈화끈
'한국어기초사전 > 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덥다, 후덥지근하다, 후두, 후두둑, 후두부, 후두염, 후둘후둘, 후드득, 후드득후드득, 후들거리다 (0) | 2020.02.07 |
---|---|
후끈후끈하다¹, 후끈후끈하다², 후년, 후다닥, 후닥닥, 후대¹, 후대², 후대하다, 후덕, 후덕하다 (0) | 2020.02.07 |
효율적¹, 효율적², 효자, 효행, 효험, 후¹, 후², 후각, 후견인, 후계 (0) | 2020.02.07 |
효력, 효부, 효성, 효성스럽다, 효소, 효시, 효심, 효용, 효율, 효율성 (0) | 2020.02.07 |
횡행하다, 효, 효과, 효과음, 효과적¹, 효과적², 효녀, 효능, 효도, 효도하다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