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1
참고 : 주로 구어나 혼잣말에서, ‘이다’,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だ)ね。(だ)なあ
    (두루낮춤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하거나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新しく知った事実に注目したり感嘆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오늘따라 날씨 참 화창하.
    • 별일도 아닌데 칭찬을 들으니 왠지 쑥스럽.
    • 지금부터 저렇게 상사에게 굽신거리니 곧 출세하겠.
    • 일하는 폼을 보니 새로 들어온 사람도 얼마 못 버티다가 그만두겠.
    • 민준이 녀석 어제 시합에서 그렇게 열심히 달리더니 아마도 몸살이 난 모양이.
    • 가: 길이 많이 막히네요.
    • 나: 경찰차가 서 있는 걸 보니 앞에서 사고가 난 모양이.
  2. 2. (だ)ね。(だ)なあ
    (아주낮춤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어떤 느낌을 실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下称) ある事実を新しく確認したり悟ってから感嘆する意を表す「終結語尾」。
    • 딱 봐도 꽤나 시간이 걸리겠.
    • 정 대리, 중요한 사항을 알려 줘서 고맙.
    •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
    • 그동안 마음 고생을 해서 그런지 얼굴이 좀 상했.
    • 자네가 역시 젊어서 그런지 생각하는 게 확실히 다르.
    • 가: 벌써 꽃이 다 졌.
    • 나: 금방 여름이 오겠어요.
-군3 (群)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接辞
ぐん【群】
‘무리’나 ‘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群れ」または「集まり」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동물
  • 식물
국화빵 (菊花 빵)
발음 : [구콰빵 ]
명사 名詞
  1. 1.
    국화꽃 모양의 판에 묽은 밀가루 반죽을 붓고, 팥을 넣어 구운 빵.
    菊模様の型に水でといた小麦粉を流し込み、小豆を入れて焼いたパン。
    • 국화빵 장사.
    • 국화빵 장수.
    • 국화빵을 구워 내다.
    • 국화빵을 먹다.
    • 국화빵을 사다.
    • See More
    • 국화빵 가게를 지나자 구수한 밀가루 굽는 냄새와 달콤한 팥 냄새가 진동했다.
    • 그는 김이 피어오르는 따뜻한 국화빵을 사서 먹으며 눈 내리는 거리를 걸었다.
    • 가: 이 빵은 조그마한데 보기보다 고소하고 맛있네요.
    • 나: 이건 옛날에 간식으로 즐겨 먹던 국화빵이라는 거야.
  2. 2.
    (비유적으로) 얼굴이 매우 닮은 사람.
    (比喩的に)顔が非常に似通った人。
    • 국화빵 얼굴.
    • 국화빵 자매.
    • 국화빵 형제.
    • 아빠와 국화빵이다.
    • 엄마와 국화빵이다.
    • 친구의 아들과 딸은 생김새가 국화빵같이 똑같다.
    • 엄마와 나는 국화빵처럼 닮아서 모르는 사람들도 모녀 사이인 것을 알아보았다.
    • 가: 그 집 아들 봤어요?
    • 나: 네. 아빠랑 아주 국화빵이더라고요.
국회 (國會) ★★
발음 : [구쾨 /구퀘 ]
명사 名詞
  1. 1. こっかい【国会】
    국민의 대표인 국회 의원들로 이루어져, 법률을 만들고 행정부와 사법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하는 국가 기관.
    国民の代表の国会議員で構成され、法律を作って、行政府と司法府を監視する機能を担う国家機関。
    • 대한민국 국회.
    • 제헌 국회.
    • 국회 수립.
    • 국회를 구성하다.
    • 국회를 해산하다.
    • 우리나라 최초의 국회는 1948년에 수립되었다.
    • 국회의 권한은 법률을 제정하고 행정부와 사법부를 감시하는 것이다.
  2. 2. こっかい【国会】
    국회 의원들이 국회 의사당에 모여서 하는 회의.
    国会議員が国会議事堂に集まって行う会議。
    • 임시 국회.
    • 정기 국회.
    • 국회 운영.
    • 국회 일정.
    • 국회가 개회되다.
    • See More
    • 다음 주로 예정된 임시 국회에서는 추가 예산 편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전망이다.
    • 이번 정기 국회에서는 노동 법안 처리를 놓고 여당과 야당이 대치할 것으로 보인다.
    • 가: 의원님, 오늘 국회에서 의결된 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나: 올바른 방향으로 잘 처리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국회 의사당 (國會議事堂)
こっかいぎじどう【国会議事堂】
국회의 회의가 열리는 건물.
国会の会議が行われる建物。
  • 국회 의사당 건립.
  • 국회 의사당을 경비하다.
  • 국회 의사당을 지키다.
  • 국회 의사당에 들어가다.
  • 국회 의사당에 모이다.
  • 노동법 개정에 반대하는 노동자들은 국회 의사당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 국회 의원들은 국회 의사당에 모여 군 복무 기간 단축과 관련한 회의를 하였다.
  • 가: 어제 시위대가 국회 의사당에 난입했다며?
  • 나: 응. 국회 의원들이 분쟁 국가에 군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한 데에 강력히 반대하는 사람들이었대.
국회 의원 (國會議員)
こっかいぎいん【国会議員】
국민의 선거에 의해 뽑히는 국민의 대표로서 국회를 이루는 구성원.
国民の投票によって選出され、国民を代表して国会を組織する議員。
  • 국회 의원 선거.
  • 국회 의원 임기.
  • 국회 의원의 직무.
  • 국회 의원이 되다.
  • 국회 의원에 당선되다.
  • 국민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은 김 후보는 국회 의원으로 선출됐다.
  • 국회 의원인 김 씨는 다른 의원들의 동의를 얻어 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 가: 너는 이번 국회 의원 선거에서 누구를 뽑을 거야?
  • 나: 나는 우리 지역구의 취업률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내건 후보를 뽑고 싶어.
국회 의장 (國會議長)
こっかいぎちょう【国会議長】
국회를 진행하고 총괄하는 일을 하는, 국회를 대표하는 국회 의원.
国会の議事進行と総括の役割をする、国会を代表する国会議員。
  • 국회 의장 선출.
  • 국회 의장의 권한.
  • 국회 의장의 역할.
  • 국회 의장이 되다.
  • 국회 의장을 맡다.
  • See More
  • 그는 국회 의원들의 무기명 투표 결과 국회 의장으로 당선되었다.
  • 오늘 오후 국회 의사당에서 열린 정기 국회 개회식에서 국회 의장이 개회사를 했다.
  • 가: 해외 파병 건은 결정되었어?
  • 나: 응. 찬성이 더 많은 표를 얻어서 국회 의장이 가결되었음을 선포했어.
1 (軍)
발음 : [군 ]
명사 名詞
  1. 1. ぐん【軍】。ぐんたい【軍隊】
    일정한 지휘 계통과 규율에 따라 조직된 군인들의 집단.
    一定の指揮系統や規律によって組織された軍人の集団。
    • 생활.
    • 에 가다.
    • 에 소속되다.
    • 에 입대하다.
    • 군에 입대한 아들은 늠름한 군인이 되었다.
    • 내 남자 친구는 삼 년간의 생활을 마치고 오늘 제대했다.
    • 가: 왜 남자만 대에 가야 해?
    • 나: 그러게 말야. 남자만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게 억울할 때도 있지.
  2. 2. ぐん【軍】
    군사에 관련한 일을 맡은 군의 지도부. 또는 그것을 중심으로 한 세력.
    軍事にかかわる仕事を受け持つ軍の指導部。また、それを中心とした勢力。
    • 이 개입하다.
    • 과 관련하다.
    • 쿠데타로 이 정권을 잡았다.
    • 검찰은 총기 난사 사건을 일으킨 피의자를 구속 기소했다.
    • 김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해 이 정치적 중립성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2 (郡) ★★
발음 : [군ː ]
명사 名詞
  1. 1. ぐん【郡】
    한국에서, 도 아래이며 읍이나 면보다 위인 지방 행정 구역.
    韓国で、道の下で、邑・面よりは上の地方行政区域。
    • 대표.
    • 에 속하다.
    • 으로 편입되다.
    • 우리 에는 세 개의 읍과 여섯 개의 면이 속해 있다.
    • 삼촌은 지난달에 열린 충청도 체육 대회에 우리 의 대표로 참가하였다.
    • 가: 너희 동네 이름이 바뀌었다면서?
    • 나: 응. 원래 이었는데 인구가 늘어나서 이번에 시로 승격됐거든.
  2. 2. ぐん【郡】
    군의 행정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
    郡の行政業務に取り組む機関。
    • 공무원.
    • 서기.
    • 청사.
    • 이 들어서다.
    • 우리 삼촌은 에서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 우리 군에서는 막대한 돈을 들여 군청을 새로 지을 계획이다.
    • 가: 홍수 때문에 올해 농사는 다 망했네요.
    • 나: 그래도 에서 피해 복구 비용을 지원해 줘서 정말 다행입니다.
3 (君)
발음 : [군 ]
대명사 代名詞
きみ【君】
(조금 높이는 말로) 듣는 사람이 친구이거나 손아래 남자일 때 그 사람을 가리키는 말.
(軽い敬語をこめていう語)聞き手が友人か目下の男性である時、その人をさす語。
  • 의 아버님은 어떤 일을 하시나?
  • 이야말로 내가 안심하고 일을 맡길 수 있는 사람일세.
  • 할아버지는 한 늠름한 청년에게 ‘은 무슨 일을 하고 싶은가’라고 질문하셨다.
  • 가: 내가 에게 여러모로 실례를 많이 했네.
  • 나: 선생님, 아닙니다. 그런 말씀은 하지 마십시오.
4 (君)
발음 : [군 ]
의존 명사 依存名詞
くん【君】
남자인 친구나 아랫사람을 친근하게 부르거나 이르는 말.
友達や目下の男性を親しみを込めて呼ぶ、または指す語。
  • .
  • 내가 승규 에게 많은 폐를 끼쳤구먼. 미안하네.
  • 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한번 말해 보게.
  • 이번 주말에 김민준 과 박유민 양의 결혼식이 있습니다.
  • 가: 박 , 어디를 그렇게 급하게 가나?
  • 나: 아, 선생님. 과 사무실에 볼일이 있어서 그곳에 가는 중이에요.
  • ※ 성이나 이름 뒤에 쓴다.
군-2
참고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접사 接辞
  1. 1. むだ【無駄】
    ‘쓸데없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無駄な」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기침
    • 소리
    • See More
  2. 2. ふようの【不要の】
    ‘필요 밖으로 더한’이나 ‘덧붙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必要以上の」や「余計についている」という意を付加する接頭辞。
    • 사람
    • 식구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