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동되다 (發動 되다)
발음 : [발똥되다 /발똥뒈다 ]
동사 動詞
  1. 1. はつどうする【発動する】
    어떤 일이나 생각 등이 일어나기 시작되다.
    あることや考えなどが起き始める。
    • 고집이 발동되다.
    • 방어 기제가 발동되다.
    • 욕심이 발동되다.
    • 직업 의식이 발동되다.
    • 호기심이 발동되다.
    • 민준이는 한번 고집이 발동되면 아무도 못 말린다.
    • 유민이는 욕심이 발동되었는지 동생이 먹던 음식도 빼앗으려고 했다.
    • 가: 야, 게임 한판만 더 하자. 이대로 질 수는 없지.
    • 나: 또 승부욕이 발동됐구먼.
    • 문형 : 1이 발동되다
  2. 2. はつどうされる【発動される】
    국가 기관에 의해 법적 권한 등이 행사되다.
    国家機関によって法的権限などが行使される。
    • 경찰권이 발동되다.
    • 공권력이 발동되다.
    • 금융 제재가 발동되다.
    • 수사권이 발동되다.
    • 정치 권력이 발동되다.
    • 금융 기관의 부실에 대해 예외 없이 시정 조치가 발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 집단 안전 보장 제도는 전쟁 직전 또는 전쟁 발발의 경우에 한하여 발동된다.
    • 가: 고위 공무원들이 부정부패를 저지른 단서가 발각됐대요.
    • 나: 안 그래도 수사권이 발동돼서 조사 중에 있어요.
    • 문형 : 1이 발동되다
발동하다 (發動 하다)
발음 : [발똥하다 ]
동사 動詞
  1. 1. はつどうする【発動する】
    어떤 일이나 생각 등이 일어나기 시작하다.
    あることや考えなどが起き始める。
    • 고집이 발동하다.
    • 오기가 발동하다.
    • 욕심이 발동하다.
    • 장난기가 발동하다.
    • 호기심이 발동하다.
    • 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하지만, 마음이 발동하여 생겨나는 감정은 선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인체의 자연 치유력은 우뇌가 발동하는 무의식에 의해서 발휘된다.
    • 가: 너 어제 휴대폰 잃어버렸었어?
    • 나: 아니. 남자 친구가 장난기가 발동해서 내 휴대폰을 가져간 거였어.
    • 문형 : 1이 발동하다
  2. 2. はつどうする【発動する】
    국가 기관이 법적 권한 등을 행사하다.
    国家機関が法的権限などを行使する。
    • 계엄령을 발동하다.
    • 공권력을 발동하다.
    • 권력을 발동하다.
    • 긴급 조치를 발동하다.
    • 명령을 발동하다.
    • 국가가 위기 사태에 처하자 대통령은 모든 공무원들에게 비상 대기 명령을 발동하였다.
    • 그 협정은 제품의 수입 행위를 직접 규제하는 권한을 발동할 수 있다.
    • 가: 지난주에 발동한 긴급 조치가 오늘 해제되었다고 합니다.
    • 나: 은행도 이제 안정을 찾았으니 마땅한 처리네요.
    • 문형 : 1이 2를 발동하다
발뒤꿈치
발음 : [발뛰꿈치 ]
명사 名詞
  1. 1. かかと・きびす・くびす【踵】
    발의 뒤쪽 발바닥과 발목 사이의 불룩한 부분.
    足の後部の足裏と足首の間の隆起している部分。
    • 발뒤꿈치 각질.
    • 발뒤꿈치 굳은살.
    • 발뒤꿈치 통증.
    • 발뒤꿈치가 갈라지다.
    • 발뒤꿈치를 들다.
    • 겨울이 되면 발뒤꿈치에 각질이 일어나고 점차 두꺼워지며 심하면 갈라지기도 한다.
    • 그녀는 구두 굽이 바닥이 닿는 소리가 나지 않게 하기 위해 발뒤꿈치를 들고 살금살금 걸었다.
    • 가: 발뒤꿈치 각질은 왜 이렇게 제거하기가 힘든가요?
    • 나: 피부 중에서도 발뒤꿈치는 각질층이 가장 두껍고 피지가 없는 부분이기 때문이에요.
  2. 2. あしもと【足元・足下】
    (비유적으로) 어떤 사람이 가진 능력이나 마음의 가장 낮은 수준.
    (比喩的に)ある人が持っている能力や心の最も低いレベル。
    • 발뒤꿈치도 못 따라가다.
    • 발뒤꿈치만 겨우 좇아가다.
    • 발뒤꿈치만도 못하다.
    • 나는 천재 감독들의 영화를 두루 보면서 그들의 발뒤꿈치라도 좇아가려고 한다.
    • 나를 향한 부모님의 사랑에 비하면 부모님에 대한 내 사랑은 발뒤꿈치도 못 따라간다.
    • 가: 자네의 이번 논문을 보니 학문적 깊이가 아주 깊어졌더군.
    • 나: 과찬이십니다. 저는 아직 교수님의 발뒤꿈치에도 못 미치는 걸요.
발등 ★★
발음 : [발뜽 ]
명사 名詞
あしのこう【足の甲】
발의 윗부분.
足の上側の部分。
  • 발등이 넓다.
  • 발등을 다치다.
  • 발등을 덮다.
  • 발등을 밟다.
  • 발등을 찍다.
  • 한겨울에 발등이 훤히 드러나는 신발을 신었더니 발이 시려워 죽겠다.
  • 승규는 빙판길에서 넘어져서 발등의 뼈가 부러지는 바람에 깁스를 하게 됐다.
  • 가: 내일 있을 축구 경기 대비는 잘되고 있어?
  • 나: 아니, 우리 팀의 주전 공격수가 발등을 다쳐서 이번 경기에 나가지 못할 것 같아.
관용구 · 속담(3)
발딱
발음 : [발딱 ]
부사 副詞
  1. 1. ぱっと。がばっと
    눕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모양.
    横になっていたり座っていた人が突然立ち上がる様子。
    • 발딱 일어나다.
    • 몸을 발딱 일으키다.
    • 아침 잠자리에서는 발딱 일어나지 말고 심호흡을 한 후에 머리부터 들어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다.
    • 같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동료의 컴퓨터가 고장났을 때, 나는 용수철처럼 발딱 일어나 그녀를 도와주었다.
    • 가: 부장님이 아직 퇴근을 안 하셔서 못 나가겠어. 조금만 더 기다려.
    • 나: 눈치 보지 말고 발딱 일어나서 나와.
  2. 2. ばったり
    갑자기 뒤로 눕거나 몸을 뒤로 기울이는 모양.
    急に寝転んだり体をのけ反る様子。
    • 발딱 눕다.
    • 발딱 뒤로 젖히다.
    • 발딱 드러눕다.
    • 그녀는 집에 돌아오자마자 가방을 던져두고 텔레비전 앞에 가서 발딱 드러누웠다.
    • 피곤해서 발딱 드러누운 그녀는 퇴근한 아버지가 들어오시자 다시 발딱 일어났다.
    • 가: 왜 미연이를 그렇게 무서워해?
    • 나: 아까 앉아 있던 미연이가 고개를 발딱 젖혀서 나를 노려보는데 좀 무서웠거든.
발라-
(발라, 발라서, 발랐다, 발라라)→바르다¹, 바르다², 바르다³
바르다1 ★★★
발음 : [바르다 ]
활용 : 발라, 바르니
동사 動詞
  1. 1. はりつける【貼り付ける・張り付ける】
    종이 등에 풀을 칠해 다른 물체의 표면에 고루 붙이다.
    紙などに糊を塗って他の物の表面につける。
    • 벽지를 바르다.
    • 신문을 바르다.
    • 한지를 바르다.
    • 벽에 바르다.
    • 창에 바르다.
    • See More
    • 어머니는 이사 갈 집에 바를 벽지를 흰색으로 고르셨다.
    • 우리가 간 카페는 창에 한지를 발라 햇빛이 은은하게 들어왔다.
    • 가: 저쪽 벽 도배는 나중에 하면 안 돼요?
    • 나: 벽지의 풀이 마르기 전에 빨리 발라야 돼.
    • 문형 : 1이 2에 3을 바르다, 1이 2를 3으로 바르다
  2. 2. ぬる【塗る】
    흙이나 시멘트 등을 벽이나 바닥에 고르게 덧붙이거나 구멍에 넣어 메우다.
    壁土やセメントなどを壁や床にあまねくつけたり、穴を詰めたりする。
    • 발라 메우다.
    • 구멍을 바르다.
    • 바닥을 바르다.
    • 벽을 바르다.
    • 석회를 바르다.
    • See More
    • 인부들은 삼촌의 지시에 따라 시멘트로 벽을 발랐다.
    • 이제 황토로 벽만 바르면 기본적인 공사는 마무리된다.
    • 아버지는 벽에 난 못 자국을 모두 시멘트로 발라 없애셨다.
    • 가: 벽을 다 황토로 바르셨나봐요?
    • 나: 네. 건강에 좋다고 해서요.
    • 문형 : 1이 2에 3을 바르다, 1이 2를 3으로 바르다
  3. 3. ぬる【塗る】
    액체나 가루 등을 물체의 표면에 문질러 고루 묻히다.
    液体や粉などを物の表面にこすって、むらなくつける。
    • 기름을 바르다.
    • 독을 바르다.
    • 로션을 바르다.
    • 립스틱을 바르다.
    • 매니큐어를 바르다.
    • See More
    • 어머니는 주방에서 빵에 버터를 바르고 계셨다.
    • 화장품 가게 점원은 손님에게 화장품을 발라 보라고 권했다.
    • 가: 다리에 왜 약을 바르고 있어?
    • 나: 아까 뛰다가 넘어져서 상처가 나서.
    • 문형 : 1이 2에 3을 바르다
바르다2
발음 : [바르다 ]
활용 : 발라, 바르니
동사 動詞
とる【取る】
생선이나 고기에서 뼈에 붙은 살을 떼어 내거나 가시를 골라내다.
魚や肉の骨に付いている肉を引き離したり、骨を除去したりする。
  • 가시를 바르다.
  • 뼈를 바르다.
  • 살을 바르다.
  • 아이들은 감자탕의 돼지 뼈를 발라 먹느라 정신이 없다.
  • 엄마는 생선 가시를 발라서 살코기를 아이의 숟가락 위에 올려 주었다.
  • 나는 아이들이 먹기 좋게 뼈는 전부 바르고 살코기만 골라 요리를 했다.
  • 가: 이건 뼈를 모두 발라 놓은 거니까 바로 먹으면 돼.
  • 나: 잘 먹겠습니다.
  • 문형 : 1이 2를 바르다
바르다3 ★★
발음 : [바르다 ]
활용 : 바른[바른], 발라[발라], 바르니[바르니], 바릅니다[바름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ただしい【正しい】。まっすぐだ【真っ直ぐだ】
    기울어지거나 비뚤어지거나 굽지 않고 곧거나 반듯하다.
    傾斜したり捻くれたり折れ曲がったりせず真っ直ぐである。
    • 바른 자세.
    • 바르게 세우다.
    • 선을 바르게 긋다.
    • 의자에 바르게 앉다.
    • 줄을 바르게 서다.
    • See More
    • 형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액자를 바르게 고정했다.
    • 나는 교과서를 읽다가 중요한 부분이 나오면 자를 대고 밑줄을 바르게 그었다.
    • 가: 그렇게 구부정하게 앉아 있으면 안 좋아. 얼른 똑바로 앉아.
    • 나: 네, 바르게 앉으려고 노력하는데도 이렇게 앉는 게 습관이 된 것 같아요.
  2. 2. ただしい【正しい】。せいとうだ【正当だ】
    말이나 행동 등이 사회적인 규범이나 사리에 어긋남이 없다.
    言動などが社会規範や世間の道理にかなっている。
    • 바른 길.
    • 바른 생활.
    • 바르게 살다.
    • 경우가 바르다.
    • 마음가짐이 바르다.
    • See More
    • 엄마는 나에게 바른 생각을 키워 주기 위해 어릴 때 책을 많이 읽히셨다.
    • 바른 몸가짐을 가지기 위해서는 마음가짐부터 바르게 해야 한다.
    • 지수는 인사성이 발라서 선생님들이 예뻐하신다.
    • 가: 아주머니, 안녕하세요?
    • 나: 아유, 민규는 인사성도 참 바르네.
    • 문형 : 1이 바르다
  3. 3. ただしい【正しい】。あっている【合っている】
    사실과 어긋남이 없다.
    事実と変わらない。
    • 바른 말.
    • 바르게 대답하다.
    • 바르게 설명하다.
    • 바르게 이해하다.
    • 바르게 파악하다.
    • 김 실장님은 직원들 사이에서 바른 말을 잘 하기로 소문이 나 있다.
    • 어휘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글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
    • 가: 바른 대로 대답해. 이거 정말 네가 한 게 아니니?
    • 나: 네, 정말이에요. 저는 안 했어요.
    • 문형 : 1이 바르다
  4. 4. ひあたりがよい【日当たりが良い】
    햇볕이 잘 들어 밝고 따뜻하다.
    日当たりが良くて、明るくて暖かい。
    • 양지가 바른 곳.
    • 햇볕 바른 남쪽.
    • 나는 햇볕 바른 창가에 화분을 놓아두었다.
    • 쌀쌀한 날씨에도 바른 곳에는 벌써 새싹들이 돋아나고 있었다.
    • 가: 내가 죽거든 양지가 바른 곳에 묻어 다오.
    • 나: 그런 말씀 마시고 어서 기운 차리세요.
    • ※ 주로 '바른'으로 쓴다.
    • 문형 : 1이 바르다
발라내다
발음 : [발라내다 ]
활용 : 발라내어, 발라내니
동사 動詞
とる【取る】
생선에서 가시를 골라내거나 고기에서 뼈에 붙은 살을 떼어 내다.
魚の骨を除去したり、肉の骨に付いている肉を引き離したりする。
  • 껍질을 발라내다.
  • 뼈를 발라내다.
  • 살을 발라내다.
  • 살코기를 발라내다.
  • 생선 가시를 발라내다.
  • 그녀는 족발에 붙어 있는 살을 발라내어 아이의 입에 넣어 주었다.
  • 아버지는 생선 가시를 발라내서 나의 밥숟가락 위에 생선 살을 얹어 주시곤 하셨다.
  • 가: 여보, 술상 좀 얼른 내와요.
  • 나: 닭고기 살 좀 발라내서 가지고 갈게요. 조금만 기다리세요.
  • 문형 : 1이 2를 발라내다
발라당
발음 : [발라당 ]
부사 副詞
  1. 1. すてん
    팔과 다리를 활짝 벌려 뒤로 가볍게 넘어지는 모양.
    手足を大きく広げて、仰向けに軽く倒れるさま。
    • 발라당 나가떨어지다.
    • 발라당 넘어지다.
    • 발라당 뒤집히다.
    • 발라당 드러눕다.
    • 뒤로 발라당 자빠지다.
    • 그녀가 키우는 강아지는 사람처럼 발라당 누워서 잠을 잔다.
    • 그는 뒷걸음질을 치다가 하필 돌부리에 걸려서 발라당 넘어지고 말았다.
    • 가: 체육 시간에 배구하다가 발라당 자빠져서 엄청 창피했어.
    • 나: 들었어. 전교에 소문에 쫙 퍼졌던데.
  2. 2. ちゃっかり
    순박하거나 순수하지 않고 되바라진 모양.
    純朴、純粋でなく、ずる賢いさま。
    • 발라당 까지다.
    • 그는 고등학생이 발라당 까져서 벌써부터 줄담배를 피운다.
    • 그녀는 결석을 밥 먹듯이 하는 발라당 까진 동생이 걱정되어 동생을 학교까지 데려다 주곤 한다.
    • 가: 너 중학생이 벌써 화장을 하고 다니는 거야? 아주 발라당 까져 가지고.
    • 나: 저도 이제 꾸밀 나이가 되었다고요.
    • ※ 주로 '발라당 까지다'로 쓴다.
    • 준말 발랑
발라드 (ballade)
명사 名詞
バラード 
대중음악에서, 주로 사랑을 주제로 한 감상적인 노래.
大衆音楽で、主に恋をテーマにした感傷的な歌。
  • 감성 발라드.
  • 감미로운 발라드.
  • 슬픈 발라드.
  • 애절한 발라드.
  • 발라드 가수.
  • See More
  • 1990년대 최고의 발라드 가수였던 그들은 크리스마스를 맞아 콘서트를 열었다.
  • 그가 이번에 들고 나온 신곡은 기존에 보여 주던 폭발적인 가창 스타일에서 벗어난 감미로운 발라드이다.
  • 가: 어떤 노래를 즐겨 들으세요?
  • 나: 저는 슬픈 발라드 곡을 주로 들어요.
발랄하다 (潑剌 하다)
발음 : [발랄하다 ]
활용 : 발랄한[발랄한], 발랄하여[발랄하여](발랄해[발랄해]), 발랄하니[발랄하니], 발랄합니다[발랄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はつらつだ【溌剌だ】
표정이나 행동, 말투, 분위기 등이 밝고 생기 있다.
表情・行動・言葉遣い・雰囲気などが明るくて生き生きとしている。
  • 발랄한 느낌.
  • 발랄한 성격.
  • 발랄한 소녀.
  • 발랄하게 옷을 입다.
  • 상큼하고 발랄하다.
  • 빨간색에서 오렌지색으로 연결되는 색들을 주로 쓰면 젊고 발랄한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 그녀는 대여섯 명의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특유의 발랄한 말솜씨로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고 있었다.
  • 가: 연말 모임에 입고 갈 옷을 고르고 있어. 어떤 게 좋을까?
  • 나: 너는 밝고 발랄한 느낌이 잘 어울리니까, 이 옷이 좋겠어.
  • 문형 : 1이 발랄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