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략하다 (疏略 하다)
발음 : [소랴카다 ]
활용 : 소략한[소랴칸], 소략하여[소랴카여](소략해[소랴캐]), 소략하니[소랴카니], 소략합니다[소랴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かんりゃくだ【簡略だ】
간단하고 짧다.
簡単で短い。
- 소략한 평.
- 글이 소략하다.
- 말이 소략하다.
- 기사가 소략하다.
- 사건이 소략하다.
- 민준이가 요약한 논문은 너무 소략하여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 기자는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 전망에 대해 김 교수에게 소략한 인터뷰를 요청했다.
- 가: 이 영화 볼래?
- 나: 얼마 전에 소략한 줄거리를 보니 꽤 재미있을 것 같아.
- 문형 : 1이 소략하다
소량 (少量) ★
발음 : [소ː량 ]
소련 (蘇聯)
발음 : [소련 ]
명사 名詞
ソれん【ソ連】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에 있었던 최초의 사회주의 연방 국가. 동유럽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나 1991년 사회주의가 붕괴되면서 연방이 해체되었다. 정식 명칭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다.
1922年から1991年までユーラシア大陸の北部に存在していた、最初の社会主義連邦国家。東ヨーロッパの国々に莫大な影響力を有していたが、1991年の社会主義の崩壊と共に連邦が解体消滅した。正式名称は「ソビエト社会主義共和国連邦」。
- 참고어 러시아
소령 (少領)
발음 : [소ː령 ]
소로 (小路)
발음 : [소ː로 ]
명사 名詞
こうじ【小路】
작고 좁은 길.
狭くて細い道。
- 소로를 걷다.
- 소로를 발견하다.
- 소로로 가다.
- 소로로 빠지다.
- 소로로 접어들다.
- 산속에 나 있는 소로를 따라 걷다 보니 작은 마을이 나왔다.
- 대로에서 오른쪽으로 빠지는 소로로 접어들자 차가 막히기 시작했다.
- 반대말 대로³
소록소록
발음 : [소록쏘록 ]
부사 副詞
- 1. すやすや아기가 포근하고 곱게 자는 모양.赤ん坊が静かによく眠っているさま。
- 소록소록 자다.
- 소록소록 잠들다.
- 아기는 목욕을 하고 난 뒤 소록소록 잠이 들었다.
- 아기가 보채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 방에 들어가 보니 소록소록 자고 있었다.
- 가: 집안이 조용한 거 보니 아기가 잠들었나 봐요.
- 나: 젖병을 물렸더니 소록소록 잠이 들었어요.
- 2. しとしと비나 눈 등이 조용히 내리는 모양.雨や雪などが静かに降るさま。
- 소록소록 내리다.
- 소록소록 비가 오다.
- 소록소록 뿌리다.
- 소록소록 쌓이다.
- 소록소록 적시다.
- 밤이 되고 동네가 조용해지자 소록소록 내리는 빗소리가 들렸다.
- 눈이 소리도 없이 소록소록 내려 발목까지 수북이 쌓이는 줄도 몰랐다.
- 가: 어머, 밖에 비가 내리네.
- 나: 그러게, 창문이 닫혀 있어서 소록소록 비가 오는 줄도 몰랐어.
소론 (小論)
발음 : [소ː론 ]
명사 名詞
しょうろん【小論】。しょうろんぶん【小論文】
주제가 크지 않고 길이가 길지 않은 논설이나 논문.
主題が大きいものでなく分量が長くない論説や論文。
- 소론 한 편.
- 소론을 남기다.
- 소론을 발표하다.
- 소론을 쓰다.
- 소론을 읽다. See More
- 통일 연구소의 김 박사는 한반도 정세에 관한 많은 소론과 책을 집필했다.
- 학회에 참여한 학자들은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각자의 소론을 발표했다.
소르르
발음 : [소르르 ]
부사 副詞
- 1. するする얽히거나 뭉친 물건이 쉽게 잘 풀리는 모양.もつれた物が順調にほどけるさま。
- 소르르 빠지다.
- 소르르 풀리다.
- 매듭이 소르르 풀리도록 유민이는 봉투를 느슨하게 묶었다.
- 민준이는 나사가 소르르 빠져 버리지 않도록 드라이버로 힘껏 죄었다.
- 가: 실이 엉켜서 잘 안 풀리네.
- 나: 이렇게 차근차근 정리하면 소르르 풀려.
- 2. そよそよ바람이 천천히 부드럽게 불어오는 모양.風が穏やかに吹くさま。
- 소르르 불다.
- 소르르 불어오다.
- 소르르 날리다.
- 소르르 스며들다.
- 창문을 열자 방으로 바람이 소르르 불어 들어왔다.
- 농부들은 바람이 소르르 부는 그늘 아래에서 잠시 더위를 식혔다.
- 가: 바람이 참 시원하다.
- 나: 응, 소르르 부는 바람이 정말 좋다.
- 3. さらさら물이나 가루 등이 조용히 부드럽게 새어 나오는 모양.液体や粉末などが少しずつ漏れるさま。
- 소르르 나오다.
- 소르르 새다.
- 소르르 흘러나오다.
- 터진 구멍 사이로 설탕 가루가 소르르 새어 나왔다.
- 수도꼭지가 고장 났는지 잠갔는데도 물이 소르르 흘러나왔다.
- 가: 자꾸 바닥에 물이 흘러나오네.
- 나: 어딘가 소르르 물이 새나 봐.
- 4. とろりと。とろとろ。うとうと살며시 졸음이 오거나 잠이 드는 모양.眠気を催したり眠りに落ちたりするさま。
- 소르르 자다.
- 소르르 잠들다.
- 소르르 잠에 빠지다.
- 소르르 졸음이 오다.
- 누워서 책을 읽자 어느덧 소르르 잠이 오기 시작했다.
- 점심을 먹은 후 다시 앉아서 공부를 하려니 소르르 잠이 밀려왔다.
- 가: 아이는 잠들었나요?
- 나: 자장가를 불러 주니 소르르 잠이 들었네요.
소름 ★
발음 : [소ː름 ]
명사 名詞
とりはだ【鳥肌】
무섭거나 춥거나 징그러울 때 피부가 오므라들며 좁쌀 같은 것이 돋는 것.
寒さや恐怖、不快感などを感じた時、その反応として皮膚の毛穴が強く閉じられ、粟のような細かい突起が出る現象。
- 소름이 끼치다.
- 소름이 돋다.
- 소름이 생기다.
- 소름을 치다.
- 영하로 떨어진 한겨울의 밤은 소름이 끼칠 정도로 추웠다.
- 공포 영화에 나온 귀신을 본 유민이는 너무 무서워서 온몸에 소름이 돋았다.
- 가: 오늘 날씨 정말 춥다.
- 나: 나는 벌써 팔에 소름이 돋았어.
소리 ★★★
발음 : [소리 ]
명사 名詞
- 1. おと【音】물체가 진동하여 생긴 음파가 귀에 들리는 것.物体が振動してできた音波が耳に聞こえること。
- 라디오 소리.
- 벌레 소리.
- 사람 소리.
- 악기 소리.
- 음악 소리. See More
- 무슨 일이라도 났는지 밖에서 사람들 소리가 시끄럽게 들려 왔다.
- 훈련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사이렌 소리가 저 멀리서 울려 퍼지고 있었다.
- 그가 틀어 놓은 라디오에서는 흥겨운 음악 소리가 하루 종일 흘러나오고 있었다.
- 주민들은 쾅 하는 폭탄 터지는 소리에 놀라 어디로 도망가야 할지 모르고 있었다.
- 가: 아버지는 주무세요?
- 나: 그래, 너 기다리다 이제 막 잠드셨으니 소리 내지 말고 조용히 들어가.
- 2. こと【事】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려고 목소리로 표현한 것.考えや感じを伝えるために、声で表現すること。
- 끔찍한 소리.
- 답답한 소리.
- 말도 안 되는 소리.
- 미운 소리.
- 싫은 소리. See More
- 옆에서 쓸데없는 소리만 지껄이려면 더 이상 여기 찾아오지 마.
- 그는 내가 묻는 질문에 답은 안 하고 엉뚱한 소리만 하고 있었다.
- 승규는 자기가 외계인을 봤다며 하루 종일 이상한 소리를 하고 돌아다녔다.
- 노처녀 지수는 친척들이 언제 시집가느냐고 묻는 것이 가장 듣기 싫은 소리였다.
- 가: 혹시 걔가 죽은 게 아닐까?
- 나: 너는 어떻게 그렇게 끔찍한 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하니?
- 유의어 말¹
- 3. こえ【声】사람의 목에서 나는 목소리.人の喉から出る音。
- 비명 소리.
- 떠드는 소리.
- 소리가 나오다.
- 소리를 높이다.
- 소리를 외치다. See More
- 절벽 아래에서 도와달라는 소리가 계속해서 들렸다.
- 화가 난 우리는 점점 더 소리를 높여 그들에게 따지지 시작했다.
- 그는 웃음이 터져 나왔지만 선생님 앞이라 소리 없이 웃어야 했다.
- 아이는 장난감을 사 달라면서 시끄럽게 소리를 지르며 울고 있었다.
- 산 정상에 거의 다 왔는지 야호 하고 외치는 소리가 점점 더 가깝게 들렸다.
- 그녀에게 돈을 빌리러 간 나는 그녀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는 아무 소리도 못하고 집을 나왔다.
- 가: 여기 도서관은 진짜 조용하다.
- 나: 쉿, 소리 좀 낮춰서 얘기해.
- 4. こえ【声】。いけん【意見】。かんがえ【考え】많은 사람들의 공통된 의견이나 소문.多くの人の共通した意見や噂。
- 국민의 소리.
- 독자의 소리.
- 민중의 소리.
- 분노의 소리.
- 우려의 소리. See More
- 김 의원은 늘 국민의 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훌륭한 정치인이었다.
- 길어진 근무 시간 때문에 회사 내에서 불만의 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었다.
- 우리 동네 주변이 개발된다는 소리가 퍼지자 동네 집값이 오르기 시작했다.
- 쌀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자 농민들의 우려의 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었다.
- 가: 지수가 곧 결혼한다는 소리가 들리더라?
- 나: 그거 누가 지어낸 소리 아냐?
- 5. ソリ판소리나 창 등의 한국의 전통적 노래.パンソリやチャンなど、韓国の伝統的な歌。
- 소리 한 가락.
- 소리 한 곡조.
- 소리를 하다.
- 지수는 삼 년 동안 인간문화재인 스승에게서 소리를 배웠다.
- 우리는 그녀가 뽑아내는 흥겨운 소리에 맞춰 덩실덩실 춤을 췄다.
- 무리하게 연습을 해서 목이 상한 그는 당분간 소리를 할 수 없었다.
- 가: 자네가 창을 잘 한다면서? 한 번 불러 봐.
- 나: 그럼, 제가 소리 한 곡조 불러 보겠습니다.
관용구 · 속담(1)
- 관용구 소리 소문도 없이
'한국어기초사전 > 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망스럽다, 소망하다, 소매¹, 소매², 소매가, 소매상, 소매 시장, 소매업, 소매점, 소매치기 (0) | 2020.02.06 |
---|---|
소리글자, 소리꾼, 소리소리, 소리쳐-, 소리치-, 소리치다, 소립자, 소만, 소말리아, 소망 (0) | 2020.02.06 |
소득, 소득세, 소등, 소똥, 소띠, 소라, 소라게, 소란, 소란스럽다, 소란하다 (0) | 2020.02.06 |
소대장, 소도구, 소도둑, 소도시, 소독, 소독되다, 소독약, 소독저, 소독하다, 소동 (0) | 2020.02.06 |
소뇌, 소다, 소다수, 소단원, 소달구지, 소담스럽다, 소담스레, 소담하다, 소대, 소대원 (0) | 2020.02.06 |